德川家康長子有意禪學求語再勤仍示之-유정(惟政, 1544-1610)
도쿠가와의 아들에게
一太空間無盡藏(일태공간무진장)
寂知無臭又無聲(적지무취우무성)
只今聽說何煩問(지금청설하번문)
雲在靑天水在甁(운재청천수재병)
텅 빈 태 허공에 한없이 쌓였어도
고요히 아는 그건 냄새도 없고 소리도 없다네.
지금 듣고 말하는 게 그것인데 번거로이 왜 묻나?
구름은 하늘에 있고 물은 병에 있다 하지 않았던가?
無盡藏(무진장) : 쓰도 쓰도 줄어들 줄 모르는 곳집.
無臭無聲(무취무성) : 냄새도 없고 소리도 없다. 도(道)를 비유하는 표현.
何煩問(하번문) : 어찌 이다지 번거롭게 묻는가?
사명대사 惟政(유정)은 임진왜란 때 전쟁의 와중에서 많은 고뇌를 하면서도 큰 활약을 하였다.
그의 문집에는 전쟁의 참상을 그린 시도 많이 전해진다. 그는 스승 서산대사의 뜻과 임금 선조
의 명을 받들어 구국의 선봉장에서 맹활약을 하였다. 일본에 건너가 전쟁 포로를 환송해 온 일
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일본에 갔을 때 도꾸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아들이 법을 물어
그에게 준 것으로 알져진 이 시는 선의 지취를 설해준 내용이다.
‘구름은 하늘에 있고 물은 병에 있다’는 말은 원래 중국의 약산유엄(藥山惟儼, 745~828) 선사
가 거사 이고(李)에게 해준 말이다.
첫댓글 只今聽說何煩問
雲在靑天水在甁
잘 감상합니다. 고맙습니다.
오늘도 惟政의 좋은 詩,잘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도(道)는 냄새도 없고 소리도 없지.
그렇다면 이 도를 어디 가서 찾을까?
굳이 찾고야 말겠다는 그 생각을 버려라.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렴.
푸른 하늘엔 흰 구름이 걸려 있다.
고개를 숙여 물병을 보아라.
샘물은 또 그 안에 담겨 있질 않느냐?
도란 이런 것이다.
선의 취지를 설명해준 내용의 시입니다. 감사합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고맙습니다.
감상 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漢詩와 함께 하면서 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한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물병에 비친 구름을 보며. . .
하늘인가? 물병인가?
감사합니다.
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감상 잘 했습니다.
진리가 하늘 가득히 한없이 쌓였어도
냄새도 소리도 없는데 어찌 알 수가 있으랴
구름은 하늘에 물은 병에 있음이 진리인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