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지학(口耳之學)
[아홉 구/귀 이/어조사 지/배울 학]
[뜻]
귀로 듣고 입으로 지껄이는 천박한 학문.
귀로 들은 것을 그대로 남에게 이야기하여 조금도 자기를 이롭게
하지 않고, 깊이가 없는 학문을 말함.
[내용]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한 순자(荀子)는 자신의 몸을 갈고 닦아 덕을 쌓기
위해 배웠던 학문이 변질되는 것을 안타까워 했다. 배움을 오로지 남을 가
르쳐 먹고 살기 위한 생활의 방편으로만 쓴다는 것이었다.
권학편(勸學篇)에서 말한 내용을 보면 '소인의 학문은 귀로 들어가
입으로 나온다. 입과 귀 사이는 네 치밖에 안 되는데, 어찌 일곱 자의
몸을 아름답게 하기에 족하겠는가'라고 했다.
즉 순자는 들은 것이나 배운 것을 깊이 새겨 자신의 것으로 만들 겨를도 없
이 즉시 남에게 그대로 전달해 자신의 학문과 지식을 자랑하는 것을 꼬집었다.
비슷한 뜻으로 남긴 공자(孔子)의 '길에서 들은 것을 길에서 그대로 옮기는
것은 덕을 버리는 짓이다'라는 말이나 맹자(孟子)의 '사람의 병폐는 남의
스승 되기를 좋아하는데 있다'고 남 앞에서 아는 체하기를 좋아하는 소인
을 꼬집었다.
옛글을 외우고 다음 질문만 기다리는 기문지학(記問之學)이나 외워서 읊기
만 하는 기송지학(記誦之學)도 옳은 학문의 태도가 아님은 물론이다.
제대로 배워서 아는 사람은 옛일을 널리 알고 현재의 일에도 두루 통한다.
바로 박고통금(博古通今)이다.
구이지학과 비슷한 말이 기문지학(記問之學)이다. 옛글을 외운 다음 배우는
자의 질문을 기다리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아는 데 한계가 있고 남의 스승
이 되기에 부족하다(記問之學 不足以爲人師). 예기 학기(學記)에 나오는 말
이다.
춘추시대 제 나라의 재상 관중의 언행을 기록한 관자(管子)에는 비이장목
(飛耳長目)이라는 말이 나온다. 문자 그대로 먼 곳의 일을 잘 보고 사물을
깊이 관찰하며 널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학문을 하는 자세와 방법
으로 새길 만하다. 장목비이(長目飛耳)라고 앞뒤를 바꿔 쓰기도 한다.
장목은 눈을 크게 부릅뜨는 것이다.
첫댓글 요즘 유튜브를 보면 구이지학(口耳之學)의 전성시대 입니다. 저는 법륜스님 즉문즉답 하나만 유튜브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