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장애인체육은 1981년 유엔이 제정한 세계장애인의 해를 맞이하여 장애인체육은 발전의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마침내 열리게 된 것이다. 그 이전까지는 정립회관이 주최하는 전국지체부자유청소년체육대회, 대한민국상이군경회가 주최하는 전국상이군경체육대회, 전국정신지체인축구대회 등 각 장애별로 몇몇 대회가 있었으나 전장애가 참여하는 종합체육행사는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최초였다. |
|
 |
|
1981년 제1회 대회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가 개최하였으며 2회부터 4회 대회까지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문화방송이 공동 주최하였다. 그러다가 1985년 발족한 서울장애인올림픽조직위원회가 대회 준비의 일환으로 제5회 대회부터 1987년 제7회 대회까지를 맡아서 주관하였다. 그 후 전국장애인체육대회는 올림픽이 열린 1988년 한 해를 거른 것을 제외하고는 1989년부터 [다함께, 굳세게, 끝까지]라는 슬로건 아래 매년 (재)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의 주최 주관으로 열리고 있다. 그러나 전국장애인체육대회가 제10회 대회 이후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서만 지속적으로 개최됨으로서 장애인 선수들의 참여의식이 결여되고, 선수촌 및 경기장이 군부대인 관계로 일반시민들의 참여가 불편하였다. 또한 서울, 경기지역의 경우 대규모 행사가 빈번하여 국민의 관심을 끌기가 어렵고 장애인체육에 대한 홍보효과가 적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
|
 |
|
따라서 장애인체육대회의 질적 수준 향상의 계기마련과 장애인복지의 시 도간 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장애인체육의 저변을 확대하고 지역주민의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장애인체전 순회개최가 시급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1995년 7월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참가 시 도 선수단장 연명으로 지방순회개최 건의서를 보건복지부에 전달하였으며, 1995년 12월 국민복지기획단의 기본구상에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순회 개최계획을 포함하였고, 1996년 3월 [노인 장애인복지 종합대책] 추진과제로 대통령께 보고하였으며, 1996년 6월 전국 장애인 체육 대회 순회개최(안)에 대한 시 도 의견조회(보건복지부), 1997년 12월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순회개최계획 구체화(2000년부터 실시), 1999년 2월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복지심의관과 전국장애인체전 지방 순회개최 방안 협회(소년체전 연계, 2000년 인천광역시 개최에 관해 설명), 1999년 3월 인천광역시청을 방문 사회복지여성국장 등과 실무협의를 거쳐, 1999년 5월 제19회 체전 개회식에서 최기선 인천광역시장이 차기대회 개최를 발표함으로써 숙원이던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순회개최가 2000년부터 시행되었다.
|
|
 |
|
인천광역시에서 제20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이어 부산광역시에서 제21회 대회를 개최하였다. 제22회 대회는 제8회 부산아ㆍ태장애인경기대회 개최 관계로 개최되지 않았으며, 제23회 대회는 충청남도에서, 제24회는 전북에서, 제25회 대회는 충북에서 개최되었다.
|
|
|
|
|
|
|
회수 |
개최기간 |
개최장소 |
개최종목/시범종목 |
참가선수단(명) |
참가대상 |
주최 |
선수 |
임원 |
계 |
25 |
05 .5 .10 ~ 5 .13 |
충북청주종합경기장외18개 경기장 |
18 |
1,885 |
701 |
2,586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24 |
04 .5 .11 ~ 5 .14 |
전북전주종합경기장외12개 경기장 |
17 |
1,656 |
635 |
2,291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23 |
04 .5 .11 ~ 5 .14 |
충남전안종합경기장외12개 경기장 |
17 |
1,500 |
520 |
2,020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22 |
제22회 대회는 한일월드컵축구대회, 아시안게임, 부산아태장애인경기대회 등으로 개최되지 않음 |
21 |
01 .5 .9 ~ 5 .11 |
부산구덕종합경기장외12개 경기장 |
17 |
1,500 |
520 |
2,020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20 |
00 .6 .13 ~ 6 .15 |
인천종합경기장외16개 경기장 |
17 |
1,375 |
492 |
1,867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9 |
99 .5 .25 ~ 5 .27 |
국군체육부대(경기,개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 (선수촌,폐회식)
|
17 |
1,334 |
432 |
1,766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8 |
98 .5 .19 ~ 5 .21 |
국군체육부대(경기,개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 (선수촌,폐회식)
|
17 |
1,312 |
423 |
1,744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7 |
97 .5 .20 ~ 5 .22 |
국군체육부대(경기,개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 (선수촌,폐회식)
|
17 |
1,340 |
416 |
1,756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6 |
96 .5 .14 ~ 5 .16 |
국군체육부대(경기,개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 (선수촌,폐회식)
|
17 |
1,305 |
435 |
1,740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5 |
95 .5 .23 ~ 5 .25 |
국군체육부대(경기,개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 (선수촌,폐회식)
|
17 |
1,276 |
419 |
1,695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4 |
94 .5 .14 ~ 5 .16 |
상무종합경기장 (경기, 개·페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선수촌)
|
16 / 1 |
1,310 |
423 |
1,733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3 |
93 .5 .25 ~ 5 .27 |
상무종합경기장 (경기, 개·페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선수촌)
|
16 |
1,222 |
415 |
1,637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2 |
92 .5 .7 ~ 5 .9 |
올림픽공원(개회식) 상무종합경기장(경기,폐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선수촌)
|
16 |
1.304 |
404 |
1,708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1 |
91 .5 .22 ~ 5 .24 |
올림픽공원(개회식) 상무종합경기장(경기,폐회식) 학생중앙군사학교(선수촌)
|
16 |
1,189 |
399 |
1,588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0 |
90 .5 .24 ~ 5 .26 |
올림픽공원펜싱경기장(개회식) 상무종합운동장(경기,폐회식) 문무대종합행정학교(선수촌)
|
15 |
1,052 |
391 |
1,443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9 |
89 .10 .15 ~ 10 .17 |
올림픽공원펜싱 경기장(개회식) 성남공설운동장 상무종합경기장 태릉국제사격장 정립회관 체육관 성남공설운동장 민정당정치연수원
|
16 |
1,129 |
340 |
1,469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8 |
제8회 서울장애인올림픽대회 관계로 개최하지 않음. |
7 |
87. 9.19 ~ 9.22 |
올림픽공원 잠실종합운동장 상무종합운동장 정립회관 보훈병원 민정당 정치연수원
|
16 |
1,500 |
432 |
1,932 |
전장애인 |
서울장애인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
6 |
86.10.11 ~ 10.13 |
잠실종합운동장 올림픽공원 태릉국제사격장 민정당정치연수원
|
9 |
1,314 |
419 |
1,733 |
전장애인 |
서울장애인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
5 |
85.10.19 ~ 10.20 |
성남공설운동장 민정당정치연수원 보훈병원 정립회관
|
7 |
1,224 |
400 |
1,624 |
전장애인 |
서울장애인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
4 |
84.10.24~10.25 |
여의도체육공원 정립회관 보훈병원 서울운동장 유도회관
|
8 |
1,157 |
350 |
1,507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문화방송 |
3 |
83. 9.15 ~ 9.16 |
여의도체육공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현대건설운동장 YMCA체육관 정립회관
|
7 |
860 |
280 |
1,140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문화방송 |
2 |
82.10.11~10.12 |
여의도체육공원 YMCA체육관서울 여자상업고등학교 정립회관
|
7 |
945 |
350 |
1,295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
1 |
81.10. 2~10. 4 |
정립회관 현대건설운동장 YMCA체육관 |
5 |
761 |
250 |
1,011 |
전장애인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
|
|
|
 | |
|
|
Symbolmark |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사랑으로 하나됨을 형상화하기 위해 하트모양으로 표현하였으며, 역동적인 붓터치는 장애극복의 도전정신과 재활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붉은 횃불은 체육대회를 상징한것이며, 파랑과 초록은 장애인의 희망찬 미래 비젼을, 노랑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화합을 나타낸다.
|
|
 |
Blue |
Pantone 661C |
|
 |
Green |
Pantone 362C |
|
 |
Red |
Pantone 1797C |
|
 |
Yellow |
Pantone 130C | |
|
Logotype |
|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함께 전국장애인체육대회 C.I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항에 예시한 것은 로고타입 가로형으로 심볼마크와 기타 다른 디자인요소와의 조화와 가독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개발된 것으로, 로고타입은 전국장애인체육대회의 독자적인 공식 표시이므로 그 사용에 있어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
|
Mascot-GOMDUURI |
|
곰두리 |
|
곰은 영특한 지혜와 불굴의 용맹을 함께 갖춘 동물로서 단군신화 이래 우리겨레와 가장 친근한 동물이다. 또, 동서고금을 통하여 하늘의 별무리 중에서 가잘 잘 모이는 별자리를 찾아 큰곰자리니 작은 곰자리니 하는 이름을 주었을 정도로 우리 생활속에 가까이하여 왔다. 아기 반달곰 두 마리가 발을 맞춰 힘차게 뛰는 모습은 모든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활기차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극복의 대제전인 '88 서울 장애자 올림픽대회의 마스코트로 함께 뛰는 두마리의 한국산 반달곰을 선정하여 곰두리로 부르기로 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