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지난달 29일 쏘카·그린카와 업무제휴를 맺고 "대리기사들이 기름값과 주행료(톨게이트비 등)만 내면 쏘카·그린카를 무료로 쓸 수 있는 제도를 1개월 간 시범운영 하겠다"고 밝혔다. 근무 특성상 교통편이 열악한 기사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취지였다. 카카오는 운영 결과를 토대로 정식 도입을 검토할 예정이다.
하지만 요금 책정 방식과 면책금을 놓고 잡음이 나왔다. 대리협은 지난 2일 보도자료를 내고 "카카오의 소카·그린카 무료대여 정책은 욕심만 앞선 탁상행정"이라면 "한심한 발상이 나릴 수 없다"고 비판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수도권에서 운행 중인 사설 버스는 300대 안팎이다. 거의 모든 대리기사가 이 버스를 타고 고객이 있는 장소에 가거나, 고객을 내려 준 곳에서 출발지로 돌아온다. 요금은 노선마다 다르지만 대개 2,000-3,000원 수준이다.
사설 버스 대부분은 사용용 허가가 나지 않은 12인승 승합차다. 이는 개인의 유상(유료)운송을 막고 있는 현행법(호물자동차 운수사업법 33조)상 불법이다. 하지만 기사들은 마땅한 대안이 없어 사설 버스를 이용한다. 카카오의 무료 대여 정책에는 이런 열악한 현실을 개선하겠다는 의도도 깔려있다.
하지만 사설 버스와 쏘카-그린카는 요금차가 상당하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안양에서 서울 강남까지 가는 사설버스 요금은 3,000원 정도다. 같은 거리를 쏘카·그린카로 이동할 경우 통행료(2,500원), 보험료(4,500원), 기름값(2,411원)을 합쳐 약 9,000원 정도가 나온다. 버스의 3배 수준이다.
김회장은 "대리기사들은 (경제적으로) 정말 힘든 사람들이다. 오죽하면 밤,새벽에 일을 하겠냐"며 "그런데 누가 저 비싼 돈을 내고 쏘카·그린카를 쓸까. 말도 안되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쏘카·그린카 무료화로 줄어든 탁송 업무 수익도 반발을 사고 있다. 대리기사들은 왕복으로만 소카·그린카를 쓸 수 있다. 즉 대리기사가 차를 빌리면 빌린 자리에 다시 가져놔야 한다.
예전에는 대리기사들이 원래 자리를 벗어난 차량을 제자리로 가져다 놓으면 카셰어링 업체로부터 일부 금액을 받았다. 이를 '탁송'이라고 한다. 하지만 왕복 의무화로 쏘카·그린카로 제자리 이탈율이 적어지면서 탑송업무도 줄었다. 이 때문에 기사들의 탁송 수입이 예전 같지 않고 카카오만 '반사이익'을 누린다는 게 김회장과 대리협측 주장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면책금도 불만 요소다. 쏘카는 사고 발생시 상대방 과실 100%가 아닌 경우 면책제를 적용해 국산차는 최대 50만원, 수입, 승합차는 최대 70만원의 수리비를 받는다. 그린카는 차종 관계 없이 최저 30만원, 최대 70만원을 받는다. AJ 등 카셰어링과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렌트업체와 비교할 때 많게는 40만원 가량 비싸다.
대리기사 A씨는 "(예전처럼) 셔틀이나 버스로 복귀하면 그만이데 누가 비싼 사용료에 면책금 폭탄까지 덤으로 안겨주는 쏘카를 이용하겠냐"며 불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