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성 문제로 수년째 개발 ‘제자리’… 주민들 불만 키워
市·LH 안팎서 “매달 이자 100억 내도 잠정 중단” 기류도
수년째 지지부진한 인천의 구도심 재생프로젝트인 루원시티(Lu1 City) 도시재생사업이 사업성 제고 등 문제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사업 지구 내에 남아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주민들의 반발도 더욱 거세져 민·관 갈등만 증폭되고 있다.
2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공동으로 2004년부터 2조8천억 원을 들여 서구 가정동 가정오거리 일대 97만1천892㎡ 규모의 구도심을 철거하고 1만1천291가구가 들어서는 국내 최초의 입체복합도시(루원시티) 건설을 추진 중이다.
시와 LH는 수년째 루원시티 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하자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전문가 그룹 등을 통해 개발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6개월이 지나도록 대책회의만 반복한 채 뚜렷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당초 5번의 회의를 통해 상반기 중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었으나 루원시티 중앙부에 인천지하철 2호선 및 청라 연결도로 조성 계획을 일부 확정했을 뿐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을 찾지 못한 채 회의 개최 수만 20번으로 늘려놨다.
시와 LH 안팎에서는 ‘현재 사업을 강행해봤자 1조원 이상의 손실이 나는 만큼 차라리 매달 100억 원의 이자를 내더라도 사업을 잠정 중단했다가 부동산 경기가 좋아지는 시점에 다시 사업을 재개하자’는 기류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7월 사업을 재개한다며 건물 2개 동을 철거하다 또 다시 중단되자 주민들의 반발은 더욱 커지고 있다.
공동대책위원회는 지속적으로 주민들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토지·주택에 대한 소유권을 원상회복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주대책에 대한 반발도 크다. 이날 법원에서 미철거 일부 가구에 대한 명도집행을 나왔지만 가정동생존권위원회와 인천지역 재개발 대책위 등 50여 명의 주민이 강하게 반대해 결국 무산됐다.
시 관계자는 “침체된 부동산 경기 때문에 개발 콘셉트인 입체구조를 살리면서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주거용지 및 상업용지 비율 조정 등이 쉽지 않다”면서 “빠른 시간 내 LH와 해결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