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지수가 높은 사람이 성공한다
당신은 자신의 삶에 다가오는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성공이란 역경에서 얼마나 일어섰느냐, 즉 역경을 극복한 자기행복감이 높은 경지라고 말할 수 있다. 인생에서 역경은 항상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필연적 존재다. 또한 세상은 점점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런 미래에서는 더 많은 역경이 출현할 것이기 때문에, 명품인재가 갖추어야 할 필수자질로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이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다.
1997년 미국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가 폴 스톨츠는 IQ나 EQ보다 AQ(Adversity Quotient)가 높은 사람이 성공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역경지수(AQ)란 수 많은 역경에도 굴복하지 않고, 냉철한 현실 인식과 합리적인 판단을 바탕으로 끝까지 도전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능력을 말한다.
폴 스톨츠 박사는 자신의 저서 '장애물을 기회로 전환시켜라(Turning Obstacles into Opportunities)'에서 사람들이 역경에 대처하는 스타일을 등반에 비유하여 3가지 타입으로 분류했다.
첫째는 힘든 문제나 역경이 다가오면 도망가거나 포기하는 사람을 쿼터(Quitter).
둘째는 역경 앞에서 뚜렷한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현상유지 정도로 적당히 안주하는 사람이 60~ 70% 정도인데, 이 사람을 캠퍼(Camper)라고 했다.
셋째는 시련이 다가올 때 자신의 모든 능력과 지혜를 동원하여 기어코 정복하고 마는 사람을 클라이머(Climber)라고 했다.
클라이머의 주요한 특징은 자신만 역경을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을 격려하고 북돋우면서 함께 정복한다. 최근 3명의 동료들과 함께 북극점에 도달한 박영석 대장이 대표적 인물이다. 폴 스톨츠는 이 클라이머들의 능력을 역경지수라고 말했다.
역경지수가 높은 클라이머가 되는 최고의 방법은 역경마저 즐기는 것이다. 부가하여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습득하자.
역경에서 진주를 캐자
삶은 모든 것에서 배울 수 있다. 필자의 경험에 따르면 잘 나갈 때 보다, 역경에서 훨씬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역경은 당신의 가치를 높여주는 최고의 스승이다. 진주는 조개가 역경을 극복하고 만든 작품이다.
미국 심리학자 스키너는 50명의 실험 대상자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A집단의 사람에게는 그들이 원하는 환경을 완벽하게 만들어 주었다. 의식주뿐만이 아니라 여행을 가고 싶다면 즉각 갈 수 있게 해 주었고, 가지고 싶은 보석 등도 구해주었다.
반면 B집단의 사람들은 역경을 넘어야 하는 불리한 환경을 조성했다. 그들에게는 모든 것이 부족하였고, 행동까지 자유롭지 못하게 했다.
이렇게 6개월을 지나고서, 두 집단의 마인드나 성장률의 변화에 대하여 측정했다. A집단은 처음보다 5점이 떨어졌고, B집단은 8점이 상승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간은 완벽한 조건을 갖추면 오히려 퇴보하고, 불리한 환경에서 더 발전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권세종(29)씨는 3세 때 교통사고로 부모를 여의고 경북 영주 할머니댁에서 어렵게 자랐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신문배달을 시작하여 5학년 때는 3개의 신문을 배달하였다.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중학교 1학년을 중퇴하고 무작정 서울로 상경했다. 갈 곳이 없어 파출소로 들어간 소년에게 경찰이 먹고 잘 수 있는 봉제공장 견습공으로 취직시켜 주었다. 월급으로 받은 23만원은 몽땅 할머니와 누나에게 송금하였다.
봉제공장을 마치고는 검정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야학에서 공부했다. 야학 선생님의 소개로 작은 컴퓨터 회사에 취직했지만, 회사 바로 옆 건물의 삼성 SDS에 들어가기 위해 고장난 자판을 들고 타자 연습을 하며 컴퓨터에 매달렸다. 이런 각고의 노력으로 1998년 중?고졸 검정고시에 모두 합격하고 2001년에는 경희대학교에 입학했다. 결국 꿈에 그리든 삼성 SDS까지 입사했다.
지금은 삼성 SDS의 컴퓨터 강사를 하면서 영어로 시험을 친 국제 공인 자격증만 팀내 최고인 7개를 소지하고 있다. 앞으로의 꿈은 조그만 사업이나 자영업을 해서 돈을 많이 벌면 이웃들에게 나누어 주고,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청소년 상담 자원봉사도 해볼 생각에 부풀어 있다.
1%의 가능성에도 포기하지 말자
인생은 도전의 연속이다. 현실에 안주하는 순간 도태가 시작된다. 인간은 안주하라고 만든 것이 아니고 계속적으로 발전하라고 만든 것이다. 몸과 마음이 멈춘 상태가 바로 죽음의 상태다. 결국 인간은 움직이면서 전진할 때 삶의 발전이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것이다.
박영석(42)씨는 세계 최초로 지구의 3극점 도달과 히말라야 14좌 및 7대륙 최고봉 완등을 모두 성취하는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인간의 도전과 극기의 정신을 일깨운 위대한 승리다.
영하 50도를 오르내리는 강추위와 눈보라 속에서 54일 동안 100㎏의 썰매를 짊어지고 설원을 한 걸음 한 걸음 가로질러, 북극점에 도달한 일은 한민족의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준 국민적 쾌거이다.
누적된 피로로 인한 골절과 설맹증세, 동상도 그들의 전진을 막지 못했다.
엄청난 역경에 포기하고 싶을 때는 “1%의 가능성만 있으면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신조를 되새기며 극한상황을 극복한 것이다.
‘내일은 반드시 더 나을 것이다’라고 생각하자
미국 400대 부자,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인 벨 연구소 소장, 재미교포 김종훈(44)씨의 대표적 약력이다. 그는 16살부터 집안 형편이 어려워 편의점에서 밤 11시부터 아침 7시까지 일하고 학교를 다녔다. 세계 최고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된다는 생각에, 학교 끝나고 2시간 정도씩 자며 공부하고 일했다.
“오늘 뭔가를 하면 내일이 오늘보다 더 나을 것이란 희망을 갖고 산다. 지금 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점점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게 행복의 비결이다.”라는 말은 그의 개인철학이다.
20대 여가수의 경쾌한 비음(鼻音)이 황금비율로 어우러진 단순명료한 멜로디의 트로트 노래 한 곡이 TV, 컬러링, 노래방 등에서 쉴 새 없이 흘러나와 사람들을 중독시켰다. ‘어머나’는 트로트의 본색을 잃지 않으면서도 러시아 폴카 분위기의 댄스를 곁들여 유치원생부터 70대 노년까지 광범위하게 어필하고 있다.
이 노래의 주인공 장윤정(25)이 하루 아침에 스타반열에 오른 것으로 많은 사람들은 생각한다. 그러나 1999년 강변 가요제에서 ‘내 안의 넌’으로 대상을 수상한 이후 그는 장밋빛 성공을 보장 받은 듯했다. 하지만 기획사들은 그를 외면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아버지 사업까지 망해 집은 빚더미에 앉았다. 그녀의 자취방은 3년간 난방도 하지 못하고 지냈다.
2003년 기획사 사장의 “너 트로트 한번 불러보지 않을래”하는 제의에 “비참하다”는 생각에 3일간 잠을 못 잤다. 그러나 마음을 추스리고 “이것이 마지막 기회일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트로트에 최선을 다하자고 결단했다. 그녀의 희망전략은 대박성공으로 보답 받았다.
날마다 더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하라. 지금의 상황보다 더 나빠질 것은 없다고 생각하라. 공은 가장 밑바닥에 떨어질 때 튀어 오르게 되어 있다. 밤이 아무리 어두워도 새벽은 밝아 오는 법이다. 혹한의 겨울에도 한편에서는 싹이 돋을 준비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