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인류의 스승들, 현자들은 우리가 사는 이 세상, 즉 현상계- 물질영역은 환상이라고 했다.
그들은 인간의 삶을 꿈이라고 했다. 겉으론 매우 탄탄하고 실재적인 듯 보이지만 너무나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그런 것이 인간의 삶이라고 정의했다.
인간의 삶이 꿈과 같음을 장자莊子는 화접몽"花蝶夢" - "꽃과 나비의 꿈"이라고 멋지게 표현했다.
화접몽은 장자의 도道의 물화物化, 그리고 장자적 에고ego 표현이다.
도道의 물화物化: 옛날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적이 있었다.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되어 스스로 기분이 좋은 나머지 장주는 자기 자신인지를 몰랐다. 갑자기 깨어보니 놀랍게도 자기 자신이었다. 장주가 꿈꾸어 나비가 되었는지 나비가 꿈꾸어 장주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장주와 나비는 반드시 구분이 있을 것이니 이를 일러 물화物化라고 한다.
시와 비是非, 화와 복, 몽夢과 교覺, 물과 아物我, 생과 사 등 갖가지 현상은 표면적으로 다르나, 본체면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니 도道의 물화物化 현상이다.
사물을 표면적으로 보아 갖가지 차이와 대비 현상을 만들어 내는 것은 사적자아私的自我이다. 이 사적자아를 죽여야 사물들을
분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볼 수 있고, 그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장자의 제물론齊物論은 오상아吾喪我로부터 발단하여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별하는 분별심을 타파하고,
일체는 도道의 물화物化임을 밝히는 것으로 끝맺음하였다.
결국 장자가 추구한 삶의 목표는 정신의 자유이다. 자유로운 정신을 찾으려면 물질에 얽매일 수 있는 심을 닦아서 심의 정수가
현묘한 작용을 발휘하게 해야 한다.
佛자는 사람 인人변과 弗아닐 불의 조합. 두 가지를 합하면 붓다가 된다. 즉, 이는 '어떤 것임'과 '어떤 것이 아님', 형상과 형상의
부정이, 형상의 부정은 자신의 본질은 형상이 아니라는 알아차림이다.
붓다가 말씀한 제법무아諸法無我란 모든 형상은 환상.
허구의 개념적 정체성의 당신의 마음이 당신 자신에 대해 만든 개념적 이미지가 당신이 창조해낸 그 상대방에 대한
개념적 이미지와 관계를 맺는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대니얼 카너먼'의 책,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휴리스틱heuristic 개념은 고정관념에 기초한 무의식적
관성에 의한 행동과 판단을 의미한다. 우리의 일반적 무의식을 의미한다.
카너먼이 소개한 또 다른 개념이 소유효과이다. 즉, 물질과 자신의 동일화이다.
에고가 사물과 동일화되면 '사물에 대한 집착과 강박관념'이 생겨난다. 제품을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해주는 상품을 산다.
無我란 에고는 우리 삶의 내용물이다. 자아의식은 의식이 일으키는 시각적 환상이다.
無我란 에고는 형상과 동일화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자아의식을 부여해준 형상이 무너지거나 사라질 때 에고도 함께 붕괴된다.
에고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이며, 그 정신적 이미지는 그 개인이 살아온 배경에 따라 결정된다. 인간의 머릿속에서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목소리가 생각의 흐름이다. 이 목소리가 명령하고, 판단하고, 비교하고 불평하고
좋아하고 싫어하고, 과거를 떠올리고 미래를 상상한다. 그러나 이것이 인간 존재의 전부가 아니다.
생야일편부운기, 사야일편부운멸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태어남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나는 것이요, 죽음은 한 조간 구름이 사라자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한 바탕 일어났다가, 순간 사라지는 환상인 우리 육신에 욕망과 두려움의 밧줄을 묶어 영원히 붙잡아 놓으려는 이 꿈 속의 迷妄 미망에서 벗어나야 한다.
장자로 시작했으니, 장자로 끝맺음을 해본다. 장자는 우리가 미망에서 벗어나는 길로 성수반덕(性修反德)을 제시했다.
장자에 따르면 천지만물의 근원은 도道이고, 사람의 근원은 덕이다. 덕은 어떤 개체에 전개되어 내재한 도이다. 따라서 나의
뿌리에 있는 덕을 회복한다면 천지만물의 뿌리인 도와 막힘없이 통할 수 있다.
장자는, 사람의 성품은 물질세계에서 육신과 물질의 영향을 받아 마치 진흙 속의 진주처럼 구정물에 물들어 있다.
그러한 성품을 맑게하여 본연의 성품인 덕을 찾는 것을 성수반덕이라고 한다.
장자가 제기한 성수반덕의 구체적 방법은 심제心齋와 전일 專一 , 좌망坐忘이다.
심제는 마음속의 욕념을 씻어내버리는 것을 말한다. 전일은 분산된 의식을 하나로 집중하는 방법이다. 정진집중을 (장자)
달생편에서는 용지불분用志不分(마음을 나누어 쓰지 않음)이라 표현했다. 좌망은 정좌하고서 자아-사회-자연 등 일체를
잊어버리는 정신적 경지이다.
장마가 지나가니 8월을 시작되다.
구경회 202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