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왕산과 북악산 사이에 터를 닦은 서울의 새로운 명승지
문향(文香)이 가득 깃들여진 '윤동주(尹東柱) 시인의 언덕'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정상에 심어진 서시 비석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윤동주의 서시(序詩) |
서울 도심에서 부암동으로 넘어가는 자하문(紫霞門)고개 정상에 윤동주시인의 언덕이 도심을 굽
어보고 있다. 옛 한양도성(漢陽都城)의 성문인 창의문(彰義門, 자하문) 서쪽에 둥지를 튼 이곳
은 인왕산 동쪽 자락에 조성된 청운공원의 일부로 2009년 6월, 천하의 큰 시인 윤동주를 기리고
자
공원에서 가장 높은 곳인 북동쪽에 자리를 닦고
그의 이름을 따서 '윤동주시인의
언덕'(이하
윤동주 언덕)이라 하였다.
언덕 이름이 그의 이름에 걸맞게도 무척 시적(詩的)이면서도 서정적인데, 그 이름은 지금의 윤
동주 언덕을 있게 한 '윤동주문학사상선양회'의 회장 박영우씨가 지은
것이다.
하늘과 맞닿은 윤동주 언덕은 천하에서 가장 큰 윤동주의 유적 겸 기념지이자 38선 이남에서 거
의 유일한 윤동주 기념터로 그의 시를 머금은 비석과 그의 혼이 깃든 영혼의 터, 그를 집대성한
윤동주문학관이 있으며, 야외공연장과 정자(서시정), 벤치 등도 갖추었다. 언덕 좌우는 북악산(
北岳山)과 인왕산(仁王山)으로 막혀있지만, 대신 남북으로 뻥 뚫린 형태로 북악산과 인왕산, 북
한산(삼각산)의 산바람이 모여들며, 앞뒤로 바라보이는 조망(眺望)은 가히 천하 명품급이다. <
특히 도심 야경이 갑(甲)> 게다가 공원의 분위기도 조용하고 차분하여 시 한 수 절로 생각나게
하니 그야말로 시상(詩想)의 공간이다. <언덕의
이름도 제법 시상을 돋군다>
그럼 어째서 이곳이 윤동주의 언덕이 되었을까?
윤동주는 이곳에서 태어나지도 않았고 살지도 않았다. 다만 1941년 누상동(樓上洞)에 있던 소설
가 김송의 집에서 연희전문대학(현 연세대) 후배인 정병욱(鄭炳昱)과 하숙 생활을 했는데, 이때
하숙집에서 가까운 자하문고개와 청운공원을 수시로 찾아와 시를 구상했다고 하며, '별헤는 밤
'과 '서시'를 바로 이 언덕에서 지었다고 한다.
바로
그 인연으로 윤동주기념사업회에서 서울시청과 종로구청의 협조를 얻어
그의 언덕을
닦게
된 것이다.
그는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출간하고자 했는데, 그 서문(序文)으로 지어진 것이 바로 서시
이다. 허나
출간은 하지 못하고, 3부를 필사하여 이양하(李敭河)와 정병욱에게 1부씩 증정했으
며, 해방 이후 정병욱이 보관하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세상에 공개하였다.
|

▲ 윤동주 형님의 초상화 - 연희전문학교 졸업사진을 초상화한 것이다. |
※ 윤동주(1917~1945년)의 간략한 생애
윤동주는 왜정 시절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그의 이름 석자를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서시를 비롯한 그의 굵직한 작품들이 정말 지겹게 나오니 말이다.
숙성이 덜 되던 학창 시절, 나는 시를 싫어했다. 무조건 외우면 장땡인 암기 위주의 잘못된 교
육의 폐해 탓일 것이다. 그런 일그러진 교육과 나의 굳건한 돌머리 앞에서 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고, 국어/문학 선생이 무조건 가르친 내용대로 외워야 되는
것도 싫었다. 그래서
20세기에 활약했던 윤동주나 김영랑(金永郞), 이육사(李陸史) 등의 유명
문학가들의 이름과 그들의 작품을
보면 정말 이가 갈리곤 했다.
허나 세월이 유수와 같이 흐르고 나이도 강제로 더해지면서 나도 모르게 시에 대한 관심이 커지
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시의 내용도 조금씩 이해를 하게 되었고 김광섭(金珖燮)의 '성북동비둘
기'란 시가 무척 땡겨 그 시가 태어난 성북동 성락원(城樂苑, 명승 35호)에
걸터앉아 그 시를
읊고 싶은 생각까지 했었다. (성락원 비공개로 아직까지 실현하지 못했음) 비록 머리가 돌 수준
이라 시를 완벽히 외우지는 못하지만 즐겨찾는 관심사의 하나가 된 것은 분명하다.
학창 시절 그렇게나 나를 괴롭혔던 윤동주는 1917년 12월, 두만강(豆滿江) 이북인 북간도(北間
島)
명동촌(明洞村)에서 윤영석(尹永錫)과
어머니 김룡(金龍)의
아들로 태어났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대랍자(大拉子)학교를
다니다가 용정(龍井)으로 이사가면서 1933
년 그곳 은진(恩眞)중학교에
들어갔다.
1935년 조선 본토로 넘어와 평양 숭실(崇實)중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나 신사참배 문제로 왜정(倭
政)에 의해 강제로 학교가 문을 닫았다. 그래서 다시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光明)학원의 중학부
를 졸업하고, 남쪽으로 내려와 서울 연희전문학교(연세대) 문과에 진학하여 1941년에 졸업했다.
그때 누상동 김송의 집에서 정병욱과 하숙생활을 했었다.
학문의 열기가 뜨거웠던 그는 그걸로 만족하지 못하고 왜열도로 건너가 동경(東京) 릿쿄(立敎)
대학 영문과에 들어갔으며, 1942년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로 옮겼다.
1943년 7월 학업을 멈추고 잠시 고향에 가려고 했으나 독립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왜경에 체포되
었다. 왜경은 그에게 변론의 기회도 제대로 주지 않고 징역 2년형을 때려 후꾸오카 형무소에 집
어넣었는데 거기서 잔인한 생체실험의 희생자가 되어 결국 해방을 목전에 둔 1945년 2월,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때 그의 나이 겨우 28세였다. 목격담에 의하면 그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
를 계속 강제로 맞았다고 하니, 결국 왜국의 비인간적인 만행에 천재시인 윤동주는 제대로 꽃도
피우지 못하고 강제로 눈을 감게 된 것이다.
윤동주는 그의 조부(祖父)의 영향으로 시에 천재적인 소질을 발휘했다. 그의 동생인 윤일주(尹
一柱)와
당숙인 윤영춘(尹永春)도
시인이었다고 하니, 그의 집안은 문학적 소질이 다분한 지식
인 집안이었던 모양이다.
그는 15살에 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첫 작품은 '삶과 죽음'과 '초한대'이다. 이후 '병아리(1936
년
11월)','빗자루(1936년 12월)''오줌싸개 지도(1937년 1월),'무얼 먹구사나(1937년 3월)','거
짓부리(1937년 10월)' 등을 간도 연길(延吉)에서 발간된 '카톨릭소년'이란 잡지에 소개했다.
연희전문대학 시절에는 조선일보에 '달을 쏘다'를 냈고, 학교 교지 '문우(文友)'에 '자화상','
새로운 길'등이 실렸다. 그리고 '쉽게 쓰여진 시'가 1946년 경향신문에 실렸다.
앞서에서 언급했던 누상동 하숙 시절,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란
제목으로 시집을 내려고 했으나 내지 못했다. 그때 그가 남긴 시들은 정병욱과 윤일주에 의
해 1948년 정음사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시는 청소년 시절에 지은 시와 성년 이후의 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청소년기에 쓰여진 시
들은
암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고 대체로 어린 시절 평화를 지향하는 현실 분위기의 시가 많다.
대표작으로는 '겨울'과 '버선본' 등이 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쓴 시는 자아성찰의
철학적
감각이
강하고, 왜정 시절 민족의 암울한 역사성을 담은 시가 주류를 이루니 '서시','자
화상','또 다른 고향','별헤는 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그의 대
표 시로
어둠의 시절에 깊은 우수 속에서도 티없이 순수한 인생을 살아가려는 그의 내면 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그는 비록 뜻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나보다 더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떴지만 그의 시는
우리나
라 뿐 아니라 왜열도와 중원대륙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적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그가 다닌 왜열도의 릿쿄대학과 도시샤대학에는 그를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어 해마다
많은
이들이 헌화를 하고 그를 기린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아시아를 뛰어넘는
세계 문학계
의 큰 별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윤동주가 세상을 뜨자 그의 시신을 간도 용정으로 옮겨 묘를 썼다. 허나 그 무덤도 한때 위치를
몰라 가족들이 방황하다가 연길대학교에 교환교수로 온 왜인 교수의 노력으로 간신히 묘비를 찾
았다. 이후 우리나라와 중원대륙의 공산당 정부가 국교를 맺자 가족들은 봉분을 단장하고 묘비
도
새로 세웠으며, 그의 명동촌 생가는 1994년에 복원되었다. 또한 그가 다닌 명동소학교는 윤
동주
관련 단체의 지원으로 옛 건물을 복원하여 윤동주기념관으로 거듭났다.
우리나라에 참으로 굵직한 시인들이 많지만 윤동주만큼 인기와 사랑이 큰 시인도 손에 꼽을 것
이다. 우리나라를 넘어 다른 나라에서도 그의 팬들이 많으니 말이다. 비록 왜의 잔악무도한 만
행으로 일찍 눈을 감게 되었지만 그의 작품을 통해 그의 혼은 우리들 마음 속에 길이길이 깃들
여져 있으며,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촉촉히 적셔주는 영원한 문학신(文學神)이다. |

▲ 인왕산길 바로 옆에 자리한 윤동주시인의 언덕 |
서울의 새로운 꿀명소이자 문학의 성지(聖地)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윤동주시인의 언덕은 그 이
름만 들어도 마음의 여유가 생길 듯한 느긋한 언덕으로 생각하기 쉽다. 허나 현실은 세상처럼
가파른 언덕이다. 인왕산과 북악산이 만나는 자하문고개에
있다보니
그런 것인데, 고갯길에서
언덕 동쪽으로
오르는 길이 경사가 좀 각박하지만 지름길이며, 윤동주문학관 뒷쪽으로 오르는
길도 있다. 언덕의 날카로운 기세를 좀 피하고 싶다면 청운공원으로 가는 길(자하문로35길)을
이용하여 서시정으로 조금 우회하는 것도 괜찮다. |

▲ 늦여름 햇살 속에 한가롭게 졸고 있는 야외 공연장 |
푸른 잔디와 키 작은 나무들이 아낌없이 수식하고 있는 언덕 정상에는 언덕의 이름을 밝힌 두툼
하게 생긴 표석과 야외 공연장이 있다. 공연장에서는 윤동주 시 낭송회와 백일장,
문예 관련 여
러 행사와 공연이 열린다. |

▲ 언덕 정상에 박힌 윤동주시인의 언덕 간판 표석

▲ 시비 앞면을 장식하는 '서시'

▲ 시비 뒷면을 장식하는 '슬픈족속'
흰 수건이 검은 머리를 두르고
흰 고무신이 거친 발에 걸리우다
흰 저고리 치마가 슬픈 몸집을 가리고
흰 띠가 가는 허리를 질끈 동이다.
이 시는 윤동주가 연희전문학교 재학 초기에 쓴 것으로
어둠의 시절 속에서 살아가는 민족의 슬픈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 흰색은 조선 민중과
삶, 밝음을 상징한다고 한다. |
언덕 정상 남쪽에는 서시가 적힌 커다란 시비(詩碑)가 있는데, 대부분은 앞면만 보고 지나친다.
허나 뒤에도 시가 숨겨져 있으니 시비의 속임수에 속지 말자. 뒤에 새겨진 시는 슬픈족속이다. |

▲ 윤동주 시인의 언덕 북쪽을 장식하는 한양도성 성곽길 (사적 10호) |
언덕 북쪽에는 옛 한양도성의 성곽(城郭)이 길게 둘러져 있다. 이 언덕은 성곽 안쪽으로 성곽을
따라 길이 나 있는데, 서쪽으로 인왕산과 이어지나 인왕산길로 잠깐 끊기며, 동쪽으로 자하문과
이어지지만 문 서쪽에 언덕을 깎고 창의문로를 뚫으면서 서로가 끊겨버렸다. 그래서 윤동주 언
덕의 성곽은 양쪽이 강제로 끊긴 외로운 처지가 되었다. |

▲ 윤동주 시인의 언덕 소나무 (윤동주 소나무) |
언덕 성곽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청청한 소나무 1그루가 마치 성곽을 지키는 군사처럼 서 있다.
나무
곁에 서면 성곽 여장 너머로 도성 밖 경승지이자 도심 속의 전원(田園) 마을인 부암동(付
岩洞)과
평창동(平倉洞)이 앞다투어 두 눈 밑에 펼쳐지고 그 너머로 서울의 진산(鎭山)인 북한
산(삼각산)이 든든한 모습으로 서울을 살핀다.
이 소나무는 윤동주가 시를 구상하던 곳이라 하여 일명 윤동주 소나무라 불린다. 흔히 이 땅에
서
볼 수 있는 소나무이지만 어둠의 시절, 독야청청(獨也靑靑)한 그의 얼이 깃들여진
듯 청초하
고 고고해 보이며, 높은 곳에 우뚝 솟아 주변을 보는 모습도 예사롭지가 않아
보인다.
정말 그
가 저 나무 그늘에서 시를 구상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윤동주 언덕을 상징하는 의미 깊은
나무로
나름 분주한 삶을 살고 있다. |

▲ 윤동주 소나무에서 바라본 천하
인왕산과 북악산, 북한산(삼각산) 사이에 포근히 둥지를 튼 부암동과 홍지동(弘智洞)을
비롯하여 북한산 남쪽 봉우리들도 바라보인다.

▲ 윤동주 영혼의 터 |
야외공연장에서 자하문 쪽으로 내려가면서 오른쪽 잔디밭을 유심히 살펴보면 땅에 박힌 표석 하
나가 눈에 달려올 것이다. 그 표석은 윤동주 영혼의 터로 서시 시비의 뒷면처럼 많이들 지나치
는데, 이곳은 간도 용정에 있는 그의 무덤에서 흙 한줌을 가져와 뿌린 것으로 그 위에 표석을
박았다. 즉 그의 소소한 가묘(假墓)가 되는 셈이다.
영혼의 터라고 하니 조금은 오싹한 기분도
들긴 하지만 그만큼 근사한 시적 표현이기도 하다. |

▲ 솔내음이 나래를 펼치는 서시정(序詩亭) |
언덕 서쪽 밑에는
서시정이라 불리는 단촐한 모습의 정자가 도심을 굽어보고 있다. 2009년 언덕
을 꾸미면서 지은 것으로 윤동주의 대표작인 서시를 따서 서시정이라 하였다. 정면 1칸, 측면 1
칸의 시원스런 팔작지붕 정자로 이곳에 몸을 들여 남쪽을 보면 천하 제일의 도시로 콧대가 이만
저만이 아닌 서울의 심장부가 두 눈 밑에 그림처럼 펼쳐진다. (특히 야경이 멋짐) |
첫댓글 부암동 쪽으로 몇번 가본적이 있는데 청운공원 윤동주 언덕엔 가보질 못했네요.
꽃피는 지금의 풍경도 참 좋을 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이렇게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봄꽃이 한참 무르익은 4~5월 풍경도 무지 장관입니다.
사정이 허락하면 꼭 가고픈 곳입니다.
부암동, 백사골(백사실)과 같이 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글보셨으면 손가락 뷰온좀 굳건히 눌러주시길 ㅠㅠ
@도봉산거사 네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데 꼭 가보고 싶네요
교통편이나 주차공간이 있는? 이런 정보도 알려주시면 졸겟네요~
교통편은 본글 끝에 이미 나와있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