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리소스 (402490) 초전도선재 IBAD 증착 양산 설비 개발 부각 등에 급등
▷내달 4일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공동 연구자인 김현탁 미국 윌리엄앤매리대 연구교수가 미국물리학회(APS) 학술대회에서 'PCPOSOS' 초전도성 실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초전도선재 양산의 필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주목받고 있다고 전해짐.
▷동사는 내식성 및 내플라즈마 코팅 소재와 초고밀도 특수코 팅, 초전도선재 제조장비 등을 제품으로 제공하고 있음. 특히, 초전도선재 IBAD 증착 양산 설비 개발을 완료했고 현재 미국 소재 글로벌 기업 현지 공장을 최종 승인만을 앞두고 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글로벌 핵융합 시장이 가시화되면서 초전도선재를 공급하려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고 당사가 공급하는 곳 역시 관련 기업"이라며 "현지 공장에서 양산 관련 검증을 최종적으로 진행 중인 상황"이라고 밝힘. 이어 "해당 기업과는 추가 수주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며 준비 중에 있다"고 설명.
그린플러스 (186230) 尹 대통령, 농지 규제 혁신 공략 속 스마트팜 사업 부각에 급등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폭넓게 해제하도록 허용하며, 농지에 수직농장을 설치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한 농지 규제 개선 방안도 함께 추진할 계획임. 윤석열 대통령은 전일 민생토론회 모두발언을 통해 “스마트팜, 수직 농업은 농업기술 그 자체로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라며 “첨단농업 발전을 위한 농지규제도 혁신하겠다”고 밝힘.
▷이어 “산업단지, 택지, 도로 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농지의 규제를 풀어 체험시설이나 수직농장 같은 첨단 농업시설 입주와 학교와 병원, 도서관 등 주민 후생시설 건립도 가능하게 하겠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스마트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에이프릴바이오 (397030) 바이오 장세 도래 시 기업 가치 퀀텀 점프 전망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APB-R3(IL18 타겟 융합단백질, 면역질환/NASH)의 경우 올해 상반기 1상 결과 확보 및 추가 기술수출 타진을 목표로 내부적으로는 최대한 빠른 L/O 기조를 보이고 있다고 밝힘. 임상 진전에 따른 추가 마일스톤 달성과 신규 기술수출, 그리고 플랫폼 사업의 본격화를 통해 올해 흑자 전환을 목표(BEP 약 150억원)로 하고 있다고 설명.
▷APB-A1(CD40/CD40L 상호작용 억제, 면역질환)의 경우 올해 3분기 갑상선안병증(TED) 임상 2상 진입, 연말 다발성경화증 2상 진입이 기대된다고 밝힘. CD40/CD40L 타겟 가치가 빅파마로부터 입증되었으며 파트너 룬드벡의 개발 의지가 높아 파이프라인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 적응증 추가 시 추가 계약 가능성 존재(현재 적응증 최대 3개)한다고 밝힘.
▷국내 바이오텍 중 조 단위 기업 공통 특징으로 자체 신약개발 플랫폼, 유의미한 L/O 이력이 꼽히는데 동사는 두 가지 모두 충족함에도 아직 낮은 시총을 기록하고 있다며, 바이오 장세 도래 시 기업 가치 퀀텀 점프가 가능하 다고 밝힘.
엠로 (058970) 견조한 매출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연결 매출액은 704억원으로 11.4%(yoy) 증가할 것으로 전망. 내수 경기 부진으로 기업들의 IT투자 위축세가 이어지겠지만, 안정적인 수주잔고(23년말 509억원) 및 신규 고객사 확보에 기인한 외형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또한, 4월 중 개발 완료 예정인 통합 공급망 관리(SCM) SaaS 플랫폼이 글로벌 시장에 조기 안착한다면 더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출시를 앞둔 통합 공급망 관리 SaaS 플랫폼은 세계 최초로 공급망계획(SCP_오나인 솔루션즈)과 구매 공급망관리(SRM_ 엠로), 공급망물류(SCE_ 삼성SDS)를 통합한 솔루션이라는 점에서 시장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더욱이 국내 시장 규모의 50배를 상회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공급망계획 분야 선도 업체 오나인솔루션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점에서 빠른 시장 안착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설명.
알테오젠 (196170) 티쎈트릭 SC 버전 영국 출시 1분기만에 전환율 18% 달성에 따른 키트루다SC 출시 기대감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 최초의 PD-(L)1 면역항암제 피하주사(SC) 제품인 로슈/할로자임 티쎈트릭SC가 지난 8월 영국에서 승인된 후 1분기만에 혈관주사 시장을 무려 18% 전환하는데 성공했으며, 이 속도라면 1년 이내 50% 수준까지 순식간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머크는 25년 키트루다SC 출시 후 28년까지 약 40조원 매출액 중 약 50%를 전환하는 것이 목표인데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동사가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키트루다SC의 품목 독점 계약 변경 후 수취할 수 있는 로열티와 목표매출 달성 시 수령하는 마일스톤 인식 속도 또한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할로자임의 특허만료에 따른 동사의 특허 방어에 대한 우려가 많았는데, 유럽은 2032년까지 보호될 것으로 보이며 미국은 2034년까지 보호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5,000원[유지]
펌텍코리아 (251970) 우호적인 수주 환경으로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화장품 용기사들의 잇따른 피인수에 따라 고객사들과 이해관계가 없는 동사에 대한 수혜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브이티, 가히, 조선미녀 등 핵심 인디 브랜드를 고객으로 확보한 상황에서, 해당 기업들이 수출 확대 집중하고 있는 점도 수주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라고 밝힘. 동사는 수주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4월부터 4공장 증설을 시작할 계획 이며(4Q25 준공 예상), PE 및 알루미늄 튜브 라인 증설도 추진 중에 있다고 설명.
▷또한, 동사는 올해 매출액 성장률 가이던스를 +10%(국내 +5%, 해외 +20%)로 제시했는데, 이는 업황 예측이 배제된 보수적인 수치로, 향후 전방 산업의 성장 강도에 따라 추가 업사이드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라온피플 (300120) 자회사 라온로드, 정부 AI 반도체 응용실증과제 우수 등급 평가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의 자회사 라온로드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수행한 AI 반도체 응용실증지원 정부사업에서 '우수' 등급 평가를 받았다고 밝힘. 라온로드는 이번 과제에서 저렴하고 우수한 성능의 국산 AI반도체와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개발함으로써 장비와 기술을 국산화하고, 최적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객체, 차량, 번호인식, 도시관제까지 다중검지 및 실증에 주력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인식율은 높이고 GPU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효용성을 검증했으며, 데이터 확보와 복합 AI 엣지 분석을 통한 교통 디지털트윈 구현 기술을 개발하는 등 스마트도시 완성에 최적화된 제품과 소프트웨어로 '우수'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셰플러그룹·KETI와 AI-이동형 양팔로봇 공동 개발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모션 테크놀로지 기업 셰플러 그룹,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과 공동으로 '인공지능(AI)-이동형 양팔 로봇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로봇 운영 AI 솔루션 개발 및 완제품 생산을 수행하고, 셰플러는 이동형 양팔 로봇 관련 감속기 등 핵심부품을 개발 및 공급하고, KETI는 국제표준 기술 기반 제조공정에 AI 기술 적용을 지원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이정호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오랜 기간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춘 글로벌 자동차 및 산업기계 전문기업 셰플러와 AI 기반의 제조 혁신 기술 연구에 앞장서 있는 KETI와 함께 AI 이동형 양팔로봇 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 내 자율제조 상용화에 힘을 모으게 되어 뜻깊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