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 내 용 |
유 형 | 데릭식 하역설비의 위치는 본선의 창구(Hatch)와 창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붐의 개수에 따라 하나인 싱글데릭과 붐이 두 개인 더블데릭이 있다. |
구 성 | 양화장치 | 포스트(post), 붐(boom) 및 윈치 (winch)의 3가지 주요부분으로 구성 |
붐의 지지력 | 붐의 상부는 토핑 리프트 와이어와 가이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부는 구즈넥 브래킷 (gooseneck bracket)에 의하여 지지된다. |
제한하중 | 양하장치의 제한하중은 3톤,5톤,10톤,15톤 정도가 가장 많고 목재 및 철재 하역 등에서는 25〜30톤을 요구하는 경우 도 있다. |
싱글 데릭 | 작업 방식 | 하역 방식 | (1) 화물을 메달은 상태에서 붐의 상하 조정 및 선회(180도)가 가능하게 만든 1개의 프리 붐으로 되어 있어 양현 하역이 가능하다. (2) 화물 양적화 작업은 정면에서 이루어지므로 해치의 앞뒷부분 중앙에 1기만 설치한 방식으로 해치 1개에 대하여 창구면적의 대부분 전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3) 싱글 데릭에는 2 Guy 방식과 2 Topping 방식이 있다. |
특징 | 카고 폴에 무리한 동하중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화물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
특징 | 장점 단점 | (1) 카고 폴과 토핑 리프트를 태클로 연결하여 붐과 포스트(또는 마스트) 장력의 한계까지 하역할 수 있다(장점) (2) 하역속도가 느린 결점[단점]이 있어 훅을 높이 올려야 하는 벌키(bulky) 화물이나 중량물, 위험물 및 취약화물 등의 하역에 적합하다. |
더블 데릭 | 유 형 | 유니언 퍼쳐스식과 분동 감기식이 있다. |
유니언 퍼쳐 스식 특징 | 하역 방식 | 문형의 데릭 포스트와 두 개의 데릭 붐을 이용하며, 양쪽의 가이는 붐의 끝과 본선의 Cleat 등과 연결하여 두고 두 대의 권상 윈치를 이용하여 한쪽의 권상 와이어를 감고(감는 쪽으로 화물이 이동) 다른 한쪽의 와이어는 풀어주는 방식으로 화물을 바다 쪽과 육지 쪽으로 옮길 수 있다. |
특징 | (1) 화물을 양적하 작업시 2개의 윈치를 동시에 감거나 풀어서 작업한다. (2) 화물이 대각으로 매다려서 이동하므로 폴 앵글(Fall angle)이 발생하여 싱글 데릭과 비교시 기중능력이 낮지만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경량화물을 작업하는데 수월하다. |
분동 감기식 | 이동 붐(Moving 붐)을 본선 바깥쪽으로 선회시킬 때는 가이를 잡아당기지만 본선의 안쪽으로 선회시킬 때에는 반대편 가이에 달려 있는 분동(Dead man)의 무게에 의하여 붐이 처음의 자리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윈치에 감았던 가이 와이어를 플어 선회시키는 방식이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