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야 면장을 하지
우리가 그 유래를 잘은 모르지만,
평소 자주 쓰는 몇 가지 말을 소개할까 합니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을 자주 쓰는데,
여기서 면장은 행정구역상의 읍.면의 장을 뜻하는 面長(면장)이 아니고
담벼락을 벗어난다는 뜻의 免面牆(면면장)에서
유래된 免牆(면장)입니다.
중국이 자랑하는 聖人(성인)
孔子(공자)가 아들에게 訓戒(훈계)할 때,
"사람은 모름지기 공부를 하지 않으면
마치 담장(牆)을 마주 대하고(面) 서 있는 것과 같다." 라고
말한데서 유래하였습니다.
즉,
우리가 뭔가에 대한 지식이 없을 때
담벼락(牆)에 얼굴(面)을 마주 대하는 것처럼 답답함을 느끼는데,
이때 알아야 피할(免) 수 있다는 免牆(면장)의 뜻입니다.
뭔가를 알아야 답답함에서 벗어난다는 뜻이겠죠.
또 하나,
몰상식하게 남을 辱(욕) 할 때 '×만한 새끼'라는 말을 쓰는데,
이 말은 남자의 생식기만큼 작다는 뜻으로,
보잘 것 없는 사람에게 辱(욕)을 하는 것으로 잘못 쓰이는데,
이 말의 유래는 이렇습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성이 趙(조)씨인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밤에 그의 부인이 건장한 말 한 마리가 품속으로
달려드는 꿈을 꾸고 나서 아침에 남편 趙(조) 씨에게 꿈 이야기를 합니다.
남편의 解夢(해몽)은,
"이 꿈은 말과 같이 활달하고 건강한 아들을 順産(순산)할
胎夢(태몽)이라며 무척 좋아했습니다.
胎夢(태몽)과 동시에 姙娠(임신)을 하고
산달이 되자 그야말로 우량한 아들을 順産(순산)하였습니다.
趙(조)씨는 아들 이름을 胎夢(태몽)이 말 이었기에
따뜻할 溫(온) 자를 써서 "溫馬(온마)"라고 지었습니다.
당연 말꿈을 꾸었으니,
모든 병을 이겨내는 강한 힘을 지니면서 따뜻하고
情(정)이 있으라고 따뜻할 溫(온) 자를 썼다고 합니다.
어느덧 溫馬(온마)가 성년이 되자
건장한 말처럼 陽氣(양기)가 뛰어난 건 사실이지만,
부모가 기대했던 희망과는 전혀 다르게 넘치는 정력으로 동네
아녀자들을 닥치는 대로 욕보이는 천하의 난봉꾼이 되었습니다.
결국, 마을 사람들에 의해 관가에
고발당한 趙溫馬(조온마)는 관가로 끌려갔습니다.
판관의 판결은 이렇습니다.
"趙溫馬(조온마)는 色氣(색기)로 인하여
마을에 풍파를 일으켜 어지럽게(亂) 하였으니,
去勢(거세)를 하여 다시는 이런 悖倫的(패륜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함이 마땅하다."라고 판결하였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趙溫馬亂色氣(조온마난색기)라는 말이 유래 되었는데,
발음이 엇비슷하다 보니 '×만한 새끼'로 전혀 엉뚱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하나 더
고사성어에 보면 施罰勞馬(시벌노마)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이 요즘 "× 할 놈아!"라고 잘못 쓰이는데,
'× 할 놈!'은 건강하다는 뜻이니 욕이 아니죠.
오히려 '× 도 못할 놈아!'라고 해야 욕이 되나요?
어쨌든 이런 욕은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말인데요,
무더운 여름날, 지나가던 나그네가 목격한 이야기입니다.
밭에서 열심히 일하는 말에게 끊임없이 가혹하게도 채찍질을
가하는 농부를 보게 되자 나그네는 참지 못하고
농부에게 달려가 다짜고짜 다그치듯 물었습니다.
"아니 열심히 일하는 말에게 왜 자꾸만 채찍질을 해대는 겁니까?" 라고
묻자 농부가 답하기를,
"말과 같은 짐승은 매질하며 강하게 다루어야 한눈을 팔지 않고
열심히 일하기 때문이죠."라며
오히려 왜 그러냐는 식으로 시큰둥하게 바라봅니다.
나그네는 멍한 표정으로 할 말을 잃고 생각하기를,
뙤약볕에서 힘들 게 일하는 것도 모자라
채찍질을 당하는 말이 안타깝고 불쌍하여 이렇게 중얼거립니다.
'施罰勞馬(시벌노마)'
즉,'열심히 일하는 말에게 벌을 주다니.!'라며
혀를 끌끌 차며 현장을 벗어났습니다.
오늘날 이 말이 '× 할 놈아!로 잘못 쓰이고 있습니다.
덧붙여, 우리는 80세의 나이가 되면
인생의 黃昏期(황혼기)에 접어들었다고 해서
저물 모(暮)자를 써 暮年(모년)의 나이라고 합니다.
暮年(모년)이 되면 90세까지 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바랄 망(望)자를 써서 望九(망구)라고 합니다.
그래서 80세에 접어들면
90대를 바라보는 할머니라고 해서 '할망구'라고 합니다.
따라서, 노인이라고 해서
아무에게나 함부로 '할망구'라고 해서는 안 됩니다.
최근 저질스러운 정치인이 동물에게나
호칭하는 '암컷'이란 발언을 해서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佛眼佛示 豚目豚示(불안불시 돈목돈시)란 고사성어가 있는데,
부처의 눈에는 부처로 보이고,
돼지의 눈에는 돼지로 보인다.'는 뜻입니다.
아마도 '암컷'이라고 말한 사람은
사람이 아니고 동물 새끼인가 봅니다.
아무튼, 辱(욕)은 상대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길 뿐만 아니라,
본인의 인격에도 깊은 상처를 남길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