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31장.show
통청424.hwp
도덕경 31장
(1) 원문
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
부가병자, 불상지기. 물혹오지, 고유도자불처. 군자거즉귀좌, 용병즉귀우. 병자
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불상지기, 비군자지기. 부득이이용지, 염담위상. 승이불미, 이미지자, 시락살인.
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부락살인지, 즉불가득지어천하의. 길사상좌, 흉사상우. 편장군거좌, 상장군거우,
言以喪禮處之. 殺人之衆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
언이상례처지. 살인지중이애비흡지, 전승이상례처지.
-------------------------------------------------------------
가(佳) : 아름답다. 좋다. 좋아하다.
상(祥) : 상서롭다. 복되고 좋다.
혹(或) : 혹. 혹은. 어떤 경우. 늘. 항상.
처(處) : 살다. 머물다. 자리 잡다.
거(居) : 있다. 살다. 거주하다. 차지하다.
염담(恬淡) : 조용하고 담담하다. 들뜨지 않는다.
요(樂) : 좋아하다. 바라다. 좋아할 (요). 즐길 (락), 노래 (악)
상(尙) : 오히려. 높다. 높이다. 높게 여기다. 바라다. 숭상하다.
편장군(偏將軍) : 좌우장군. 부장군
상장군(上將軍) : 대장군. 대장.
비(悲) : 슬픔. 비애. 애도
읍(泣) : 울다. 울음.
-------------------------------------------------------------
(2) 번역
대개 좋은 병기는 상서롭지 못한 물건이다. 만물은 늘 그것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도에 맞게 사는 자는 그런 (병기를 사용하는) 곳에 머물지 않는다. 군자는 (편안히) 거주할 때 왼쪽자리를 귀하게 여기고, 군사를 부릴 때 오른 쪽을 귀하게 여긴다. 병기란 상서롭지 못한 물건이어서 군자가 쓸 물건이 못되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그것을 사용하더라도 조용하고 담담하게 쓰는 것이 최상이다. 승리 하더라도 이것을 미화해서는 안 된다. 승리한 것을 미화하는 사람은 바로 살인을 즐기는 것이다. 대개 살인을 즐기는 사람은 천하의 뜻을 얻지 못한다. 좋은 일에는 왼쪽을 높게 여기고 나쁜 일에는 오른쪽을 높게 여긴다. 부장군은 왼쪽에 자리하고 대장군은 오른쪽에 자리한다. 말하자면 이것은 상례에 따라 처신하는 것이다. 즉 살해당한 많은 사람에 대해 슬픔과 애도의 마음으로 읍을 하면서 (예를) 갖추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쟁에 승리했어도 상례로 처신해야 한다.
(3) 해설
이 31장의 핵심은 전쟁에 임하는 마음가짐을 제시하고 있는데,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전쟁에서 사용하는 병기는 상서롭지 못한 물건(兵者不祥之器)이라서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非君子之器 故有道者不處)이다. 그 이유는 만물이 그것을 싫어하기 때문(物或惡之)이다. 만물이 싫어하는 이유는 만물이 모두 살기를 원하고 죽기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그 근거를 음양이론에서 유출한다. 양의 기운을 많이 받는 남쪽을 향하여 왼쪽은 해가 뜨는 동쪽이고, 오른쪽은 해가 지는 서쪽이다. 해 뜨는 동쪽은 살려는 기운이 커져가는 쪽이며, 해지는 쪽은 죽으려는 기운이 커져가는 쪽이다. 그래서 이것을 아는 군자가 평상시에는 삶의 기운이 커져가는 동(왼)쪽을 상석(上席)으로 하고 전쟁시에는 죽음의 기운이 커져가는 서(오른)쪽을 상석으로 한다.(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그리고 기쁜 일이 있는 길사에는 왼쪽이 상석이고 슬픈 일이 있는 흉사에는 오른쪽이 상석이다.(吉事尙左, 凶事尙右) 전쟁시에는 대장군은 오른쪽에 위치하고, 편장군은 왼쪽에 위치한다.(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그래서 전쟁은 흉사이며 만물이 싫어하는 행위이고, 그 전쟁에서 쓰이는 병기는 상서롭지 못하니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노자는 말한다.
둘째,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되는 경우에는 조용하고 담담하게 써야 한다(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는 것이다. 특히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들떠서 잔치를 하면 안 되고, 차분하게 상례에 임하듯이 해야 한다(言以喪禮處之)는 것이다. 즉 전쟁에서 승리하였어도 죽은 사람들을 애도하고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슬픔을 위로하면서 그들을 예로서 대해야 한다(殺人之衆以哀悲泣之, 戰勝以喪禮處之)는 것이다. 전쟁에서 승리하였다고 잔치를 하는 사람은 살인하기를 좋아하는 사람(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이라고 노자는 단호하게 말하고 있다. 더욱이 그 전쟁에서 자기가 공을 세웠다고 내세우거나, 자신의 능력이 훌륭했다고 미화한다면 그 사람은 천하를 얻을 수 없다(夫樂殺人者, 則不可得志於天下矣)고 말한다. 그 이유를 유추하면, 만물이 죽음을 싫어하며 만물에 포함된 인간들도 당연히 죽음을 싫어한다. 전쟁을 통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는데, 그것에 대해 애도의 마음이 없고 오직 승리에만 도취되어 좋아서 잔치를 하는 사람에게 민심(民心)이 돌아갈 일이 없다. 민심을 얻지 못하면 천하를 취득하기도 어렵고 취득해도 쉽게 잃게 되는 것은 자연의 이치임을 노자는 지적하고 있다.
병법의 대가인 손자가 오나라 왕 합려를 도와서 당시 가장 강력한 군대를 지닌 초나라를 격파하고 큰 세력을 떨치게 된다. 그러나 결국은 합려의 의심을 받아서 쫓겨나게 된다. 쫓겨나는 길에 백성들의 원성을 듣게 된다. “손자라는 놈이 우리나라에 나타나서 전쟁을 즐기는 바람에 우리 자식들을 모두 잃었고, 논⋅밭도 황폐하게 되어 못살게 되었다.” 이 말을 듣고 나서야 손자는 전쟁에서 이기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그래서 『손자병법』을 지을 때, 가능하면 상대를 해치지 않고 승리하는 방법을 최상으로 하는 방식을 기술하였다. "장군은 공격함에 자신의 명예를 구하고자 하지 않는다.(進不求名) 후퇴를 함에 패전의 책임을 피하고자 하지도 않는다.(退不避罪) 장군은 오직 자신을 믿고 따르는 병사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든 힘을 다할 뿐이다.(惟民是保)"라고 말하면서 인명(人命)을 가장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전쟁을 치를 것을 강조하였다. “용병의 방법은 적국을 온전하게 두고 이기는 것이 최상책의 용병이고 적을 파괴하여 이기는 것은 차선책의 용병이다.(凡用兵之法, 全國爲上, 破國次之)” 그는 아군은 말할 것도 없이, 비록 적이라 하더라도 파괴하지 말고 온전하게 두는 것을 최선으로 여겼다. 이것은 노자가 살인을 하는 전쟁을 즐겨서는 안 되고, 마지못해 전쟁을 해서 승리하더라도 죽은 자들을 생각해서 상례에 따라 처신해야 한다(戰勝以喪禮處之)는 견해를 피력한 것과 유사하다.
노자는 전쟁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다툼에 대해서도 동일한 생각을 지니고 있다. 8장에서 “물처럼 사는 것이 좋다(上善若水)”고 말하면서 그 이유를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기 때문(水善利萬物而不爭)”이라고 했다. 그리고 8장의 끝에 가서 물은“오직 다투지 않기 때문에 재앙이 없다(夫唯不爭 故無尤)”라는 말로 마무리 짓는다. 세상의 모든 다툼은 자신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무시당하지 않으려는 마음 때문이다. 그래서 돈을 악착같이 벌려고 하고, 지위나 명예와 학벌 등을 높이려 하며, 가능하면 권력을 쥐려고 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남들로부터 무시당한 이유가 이런 것들이 부족해서 그렇다고 생각한다. 즉 이런 것들을 내가 지니고 있다면 그들이 나를 감히 무시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그런데 노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남들이 나를 그러한 이유로 무시하면 그것은 그들의 생각에 문제가 있는 것이지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에게 문제가 있어서 상대가 나를 무시하는 경우는 내가 만물이 싫어하는 행위를 했을 때이다. 즉 상대를 파괴시키는 쪽으로 물고가면서 잘난 체 했을 때이다. 그래서 노자는 다툼에서 이겼을 때 상대의 아픔을 함께 하는 마음을 지닐 것을 강조한다.
[도덕경 31장 요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