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란(蕙蘭)/동양난]
일찍이 난문화가 발달한 중국(中國)에서는 예로부터 일경일화(一莖一花)를 난(蘭)이라 하고 일경다화(一莖多花/一莖九花)를 혜(蕙)
라 불렀으나 어원은 분명한 사료가 없으며 혜(蕙)는 혜초로 귀(貴)함이 난(蘭)에 이르지 못하여 "離騷經(이소경)의 屈原(굴원)"에 나
타나 있는 글을 보면,
余既滋蘭之九畹兮(여기자란지구완혜) : 내 이미 난초를 구원에 심고
又樹蕙之百畝(우수혜지백무) : 또 다시 혜초를 백무에 심었노라.
畦留夷與揭車兮(휴류이여게거혜) : 유이와 게거의 향초를 두둑에 심고
雜杜衡與芳芷(잡두형여방지) : 두형과 향기로운 방지도 섞어 심었노라.
冀枝葉之峻茂兮(기지엽지준무혜) : 가지와 잎이 무성하기 바라며
願竢時乎吾將刈(원사시호오장예) : 때 되면 장차 베어들이려 하였네.
雖萎絕其亦何傷兮(수위절기역하상혜) : 비록 시들어 버린들 어찌 해로울까마는
哀衆芳之蕪穢(애중방지무예) : 뭇 향초들 버려짐 서글퍼라.
혜초는 백무에심고 난초는 구원에 심었다 하였다. 또한 혜초(蕙草)는 영릉향(零陵香)으로 난과는 별개의 향초(香草)로 여겨저 왔으며
이로 미루어 보아 혜란 별개의 식물인데 왜 혜란이라 하였는지는 명확치 않다이러한 것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혜란이라는 원예명의 난과식물로 알려저 있다.
동양난의 분류를 보면 꽃이 개화(開花)되는 시기별로, "춘란(春蘭)", "하란(夏蘭)", "추란(秋蘭)", "한란(寒蘭)", "사계란(四季蘭)으로 되
고 있으며, 품종벌 꽃송이가 달리는 특징으로 일경일화(一莖一花), 일경구화(一莖九花) 분류 하게 되는데, 일경구화는 꽃대 하나에 피
는 꽃의 수가 규칙적으로 8~9송이 피는 품종으로 하란, 추란, 사계란이 주를 이루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혜란이라 칭한다.
또한 혜란 중에도 보세란(報歲蘭)과 대명란(大明蘭) 같은 대엽종(大葉種)과 하란(夏蘭)과 추란(秋蘭)과 같이세엽종(細葉種)으로 나누
며, 화예품도 따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중 보세란과 대명난은 새해 정월을 깃점으로 하여 꽃이 개화되여 세월을 알린다는 뜻의 보세란
부르고 있다. 혜란은 우리 나라에서는 자생하지않고 있으며, 중국의 양자강 하류의 광동성과 복건성이 자생지로 더운지방이 자생지이
다. 통상적으로 동양난으로 불리는 종이다.
또한 일경일화(一莖一花)는 춘란이 주종을 이루고 한국춘란과 일본춘란, 중국춘란이 있으며 한국춘란과 일본춘란은 식물학상으로 같
은 동일한 종에 속하고 중국춘란은 따로 분류되고 있으며, 중국춘란에서는 일경일화(一莖一花)와 일경다화(一莖多花/一莖九華)가 있
으며 혜란의 일경구화(一莖九花)와 분류하기 위해 "花"와 "華"로 표기 하며 여기서 "九"라 함은 많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춘란애호가들은 동양난의 범주에 넣지않고 따로 분류하는데 이는 아마도 품종의 환금성(換金性)인 가치(價値)에 있지 않
나싶다.
*혜란의 분 류
1.대엽혜란 -엽폭이 넓은 광엽에 크기가 품종을 말하며 대부분이 입엽성(立葉性)으로 엽성 자체가 웅장하고 남성적 기개(氣槪)가있으
며, 대명난, 중국보세란, 대만보세란등이 이에 속한다.
2.세엽혜란 -엽폭이 좁은 세엽성(細葉性)의 품종으로 대부분이 중수엽(中垂葉)으로 섬세함과 유려한 곡선은 여성적 아름다움을 가지
고 있는 품종으로 일반적으로 화예품종이 주로 여기에 속한더.
3.화예품 - 위의 세엽혜란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종류가 다양하며 향기가 좋아 문인난으로 불린다.
*관 리
1.물관리 - 건란(乾蘭)을 제외한 모든 혜란계는 수분의 요구도가 높으나 일반적으로 춘난에 준하여 관리하면 큰 무리는 없다. 단 분과
식재가 동일할 경우.
2.온도와 통풍 -춘난에 준하여 관리하면 큰 무리 없이 애배할수 있다. 단 겨울 온도는 춘난에 비해 좀 높게 관리해야 신아가 빨리나와
가을 까지 성촉으로 자라게 할수 있다.
3.햇빛 관리 - 엽예 관상용 이므로 강한 빛은 잎의 무늬를 탁하게 하므로 춘난에 준하되 조금 약한 광선하에서 배양하면 좋다.
4.비배관리 -춘난에 준하여 관리하되, 신아가 자라는 초기에는 가급적 하지 말고 잎에 무늬가 완전히 형성된 후에 주는것이 잎의 무늬
를 맑게 하는 방법이 되겠다. 속효성 비료인 화학 비료는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3000배 정도의 유비를 월1~2회 정도관주 하거나, 2
000배 정도의 나이트로자임을 엽면살포한다.
대만보세란(臺灣報歲蘭) 성기광(聖紀光)

대만과 일본에서 동시에 명명되었으며 다른 품종에서 볼수없는 무늬 유형으로 단적으로 표현할수 없는 무늬다, 잎끝에서 감색(紺色)
바탕에 호반(縞斑)을 나타내고 기부로 내려감에 따라 서(曙) 상태에서 감(紺)이 엷어저 서반(曙斑)에 감산반(紺散斑) 무늬를 나타내
다. 신아일때는 오랜지색에 황색 무늬지만 모촉이 된후에는 다소 흐려짐을 보이면서 황색 기미가 엷어지면서 하얄게 변하는 매우 독
특한 무늬 유형을 보이는 동양난으로 대만보세란의 혜란류다.(혜란성기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