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고향 학산(鶴山)의 굴산사지(崛山寺址) 고찰(考察)
당간지주(幢竿支柱) /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 / 좌권인(左拳印), 우권인(友拳印) / 굴산사(崛山寺) / 발굴된 유물들
목 없는 불상(佛像) / 승탑(僧塔) / 승탑 받침 / 비석 좌대 귀부(龜趺) / 학(鶴)바위
굴산사는 신라 하대(下代)에 형성된 9개의 선종(禪宗) 산문(山門) 가운데 사굴산문(闍崛山門)의 본거지였으며, 851년(문성왕 13) 범일선사(梵日禪師, 810~889)가 명주도독(溟州都督) 김공(金公)의 요청으로 사굴산문(闍崛山門)을 처음 열었던 곳이 학산(鶴山)이다. 굴산사는 역사서 기록된 것이 거의 없으나 유적 유물들이 산재하여 엄청난 대찰(大刹)이었음이 확인되었고 고려말에 폐사(閉寺)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현재 굴산사지 주변 일대에는 통일신라 시대 석조공예의 우수성을 잘 보여주는 유물유적이 다수 출토되었는데 범일국사(梵日國師)의 승탑(僧塔)으로 전해오는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85호, 1963년 지정)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가장 큰 굴산사지 당간지주(보물 86호, 1963년 지정), 얼굴이 평면으로 마모된 강릉 굴산사지 석불좌상(강원도 문화재자료 38호, 1984년 지정), 범일의 탄생설화(誕生說話)가 깃든 석천(石泉:우물)과 학바위 등이 남아 있어 당시 굴산사의 옛 모습과 그 위상(位相)을 증명하고 있다.
굴산사(崛山寺)는 일제강점기인 1936년, 대홍수로 밭 경작지(耕作地) 일대에서 주춧돌과 계단 등 일부 건물지(建物址)와 기와조각이 발견되면서 그 존재가 처음으로 알려지는데 그 후 굴산사지(崛山寺址)에 대한 학술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1975년에 이르러 가톨릭관동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地表)조사를 실시하면서 범일의 부도탑비로 추정되는 비석편을 비롯해 부도탑, 석조불상, ‘굴산사(屈山寺)’ 명문(銘文) 기와 등 많은 유물이 수습되어 절터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었다.
위 사진에서 두번째 머리에 관을 쓴 비로자나불이 강원도 유형문화재 38호, 다음 검은 색의 두 부처가 발굴된 우권인과 좌권인인데 오른쪽 끝의 흰 색은 근래 조각하여 모신 것으로 삼존불을 모셔야하니 새로 조각한 모양인데 어울리지 않는다.
근래 자그마한 대웅전을 짓고 삼존불을 모시면서 굴산사(崛山寺)라고 이름했는데 글쎄 과연 그래도 되는 것인지....
너무 작은 규모라 지은 분을 존경하는 것이 옳겠지만 헛웃음이 나온다.
아래의 목없는 불상은 석천(石泉) 인근에서, 승탑은 조금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는데 하부 기단의 섬세한 조각이 신비하고, 다음 사진은 위에 비석을 세워놓았던 비석(碑石) 좌대(座臺)로 거북(龜)의 모습인데 이 또한 정교한 조각이 신비롭다.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해 굴산사지 동쪽 앞을 흐르던 어단천(於丹川/鶴山川)이 범람하여 절터의 중심부였던 곳이 유실(流失)되면서 여러 건물지(建物址)의 주춧돌과 축대, 기와 파편들이 다수 드러나자 강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해 긴급수습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동·서 140m, 남·북 250m에 이르는 절터(寺址)의 범위가 대략 파악되었고, 법당으로 추정되는 제법 큰 규모의 건물지와 승방(僧房), 회랑(回廊) 등 건물지 일부가 확인되었으며, 많은 양의 고려(高麗)시대 청자와 기와들도 출토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 굴산사지(崛山寺址)는 역사적 중요성이 인정되어 처음에는 강원도 지방기념물 11호로 지정되었다가 나중 국가사적(國家史蹟) 488호(2003년)로 지정되었다.
지금까지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보면, 건물지(建物址) 30개소를 비롯해 담장, 연못, 배수로, 출입문, 보도(步道)시설, 방아터, 계단지(階段址), 부도탑(浮屠塔), 지하석실 등 다양한 유구(遺構)들이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동종(銅鐘), 쇠와 흙으로 구워 만든 철마(鐵馬)와 토마(土馬), 탑비(塔碑)의 귀부(龜趺), 탑비석편(塔碑石片), 소조불상(塑造佛像) 등의 유물을 비롯해 ‘천경삼년(天慶三年)’, ‘오대산금강사(五臺山金剛寺)’, ‘굴산사(屈山寺)’ ‘굴산사(崛山寺)’, ‘천계5년(天啓五年)’ 명문(銘文), 평(平)기와류, 사래기와(추녀 밑의 네모난 서까래에 쓰이는 기와), 치미(鴟尾/용마루 끝에 얹는 기와), 이형기와(異形기와) 등의 특수기와(特殊기와) 및 고려시대 청자(靑磁)와 백자(白磁), 중국 도자(陶磁), 분청사기(粉靑沙器)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
굴산사라는 명칭은 출토된 기와에 두 가지로 새겨져(崛山/屈山) 있는데 예전 이곳 학산에 굴산(崛山)이라 부르는 작은 산이 있어 동네 이름이 굴산(崛山)이었다가 학이 날아들자 학산(鶴山)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신라 말, 중국에서 유행하던 선종(禪宗)이 우리나라로 들어오면서 신라의 스님들도 선종(禪宗)에 매혹되어 구법승(求法僧/學僧)들이 확산되는데 선종(禪宗)은 당시 불교의 새로운 신사조(新思潮)로 이른바 선풍(禪風)을 일으키게 되었다고 하며, 범일(梵日/品日)도 그 중 한 분이셨다고 한다.
범일(梵日:810~889)의 아버지는 명주(溟州:강릉) 도독(都督)을 지낸 김술원(金述元)이고 어머니는 문(文)씨 였으니 범일의 고향은 이곳 학산(鶴山)인 셈인데 당시 이곳 지명은 굴산(崛山)이었다고 한다.
중국에 가서 불법을 공부하던 범일(梵日)은 847년에 귀국하면서 개성(開城) 부근에 있는 영파(寧波) 개국사(開國寺)에 잠시 들르는데 그곳에서 왼쪽 귀가 잘려 없는 어린 사미승(沙彌僧)을 만나서 간곡한 부탁을 받았다고 한다.
고향이 명주 익령현(翼嶺縣) 덕기방(현 양양 부근)인데 자기 집이 있는지 궁금하다고 찾아보아 달라고 한다. 범일도 고향이 강릉으로 같은 동향인지라 그러마고 약속하고는 돌아온 후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10년이 지난 858년 2월 보름날 밤, 범일은 기거하던 암자의 창문 밖에서 ‘조사(祖師)께서는 예전 개국사에서 하신 약속을 잊으셨습니까?’하는 속삭임이 들린다. 범일국사는 깜짝 놀라 눈을 떠보니 꿈이었다고 한다.
범일 국사는 즉시 익령현(양양) 덕기방을 찾아 나섰는데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다 굴산(鶴山)마을을 지나다 이름이 ‘덕기’라는 여인을 만났는데 그녀의 아들이 개울물에서 건져 가지고 놀았다는 불상을 보게 되었는데 놀랍게도 한쪽 귀가 없는 불상이었다. 그때까지 오로지 견성성불(見性成佛)을 지향하며 입산수도(入山修道)에 정진하던 범일은 크게 깨달음을 얻고 이곳 굴산(崛山/鶴山)에 절을 세우니 바로 굴산사(崛山寺)라고 한다.
당시 신라(新羅)의 경문왕(景文王), 헌강왕(憲康王), 정강왕(定康王)은 범일이 서라벌(徐羅伐/慶州의 옛 이름)로 오면 왕사(王師)와 국사(國師)로 모시겠다고 간청하지만 범일(梵日)은 거절하고 이곳 학산(굴산)에서 40년 간 대중교화(大衆敎化)에만 정진하였다고 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847년(문성왕 9) 범일국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온 후 굴산사를 개창(開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고, 또 조당집(祖堂集/選語錄)’ 권17에는 ‘851년(문성왕 13), 명주의 도독(都督) 김공(金公)이 청하여 범일이 굴산에 입산하여 지냈다.’고 되어 있다. 굴산사의 창건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851년(문성왕 13년) 범일(梵日)이 주석(主席)으로 선종 산문 중심의 사찰로서 세력이 확대된 것으로 짐작된다고 한다.
어느 절에 가든 대웅전(大雄殿)에는 가운데 본존불(本尊佛)을 모시고 양 옆에 협시불(脇侍佛)을 모신다.
협시불은 좌측(左側)에 좌권인(左拳印), 우측(右側)에 우권인(右拳印)을 모시는데 권인(拳印)은 이(理)와 지(智), 중생(衆生)과 부처(佛),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이라고 한다.
권인(拳印)이라 함은 한 손으로 반대편 손의 손가락을 감싸 쥐고 있는 모습인데 굴산사지(崛山寺址) 주변에서 발굴된 3구의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은 모두 좌권인(左拳印), 우권인(右拳印)인 수인(手印) 모습이다.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춘다는 의미라고 한다.
이 세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중 하나는 얼굴을 밀어버려 평면인데 당간지주 근처에 작은 사당(舍堂)을 지어 모셨고, 다른 두 부처님은 근래 작은 사찰형식의 건물(崛山寺)을 짓고 함께 모시고 있다.
굴산사(崛山寺)는 신라 문성왕 9년(847)에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창건(創建)한 사찰이고, 당간지주(幢竿支柱)는 절에 행사가 있을 때, 또는 절이 있는 곳이 신성한 지역이라는 의미의 당(幢)을 걸어두던 기둥을 말하는데 학산(鶴山)의 굴산사지당간지주(崛山寺址幢竿支柱)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당간지주라고 하며 우리나라 보물 제86호로 지정되었는데 높이가 5.4m, 기둥 간격이 1m 정도이다.<幢-깃발, 竿-장대>
2002년 우리나라를 휩쓸고 지나간 태풍 루사(Rusa) 때 학산(鶴山)도 큰 피해를 입었는데 이때 학산천(鶴山川)의 범람으로 흙이 휩쓸려 나가며 땅 속에 묻혀있던 상당부분이 드러났고, 굴산사(崛山寺)의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되었으니 어찌 보면 부처님(?) 뜻이었을까?
국립문화재연구소(國立文化財硏究所)의 조사(調査)에서, 승려들의 생활공간인 승방(僧房)과 차를 마시던 다실(茶室) 흔적을 발견하였고, 거란족이 세웠던 요(遼)나라 연호 중 하나인 ‘천경(天慶)’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瓦)도 발견되어 굴산사의 역사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천경3년(天慶三年)’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의 발견으로 1113년에 지어진 부속건물임이 밝혀졌는데 천경(天慶)이란 거란족이 세운 요(遼)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천조제(天祚帝)가 1111년에서 1120년까지 사용한 연호(年號)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총 7개의 건물터를 비롯해 담장터, 계단, 보도(步道)시설과 배수로, 돌다리(石橋), 디딜방아 시설 등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 방형(方形) 초석(礎石)의 정면 5칸, 측면 2칸짜리 건물터와 정면 6칸, 측면 4칸인 대형 건물지(建物址)를 중심으로 동·서에 긴 행랑 터가 드러났다고 하는데 공중에서 내려다볼 때 그 내부에는 ‘□’자 형(型)의 중앙 정원(中庭)을 갖춘 것으로도 밝혀졌다. 한창 번성할 시기의 굴산사는 얼마나 스님들이 많았던지 아침에 스님들 밥을 지으려고 쌀을 씻으면 그 뿌~연 쌀뜨물이 남항진(南港津) 바다까지 이어졌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그 밖에 유물 유적들도 수없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위의 사진에 있는 거대한 비석(碑石) 받침인 귀부(龜趺), 범일국사의 탄생설화가 얽힌 ‘학바위’, 3위(位)의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좌상(坐像), 정교한 조각의 부도탑(浮屠塔/僧塔) 등, 가는 곳마다 유적이 널려있다.
<학(鶴)바위 전설(傳說)<범일국사(梵日國師) 탄생설화(誕生說話)>
신라의 고승 범일국사(梵日國師)는 이곳 학산(鶴山)에서 태어났는데 재미있는 탄생설화가 전해온다.
동네 양갓집 열다섯 살 먹은 처녀가 아침에 우물 석천(石泉)에 물을 길러 갔는데 표주박으로 물을 뜨니 마침 동해에서 떠오르는 해(日)가 표주박에 떠(泛) 있었다. 처녀는 목이 말라 우선 그 바가지 물을 마셨더니 곧바로 태기(胎氣)가 있었고, 열 넉 달(14個月)이 지난 후 아이를 낳았는데 처녀가 아이를 낳았으니 남들에게 소문이 날까 두려워 부모가 아이를 뒷산 바위 밑에 가져다 버렸다.
처녀는 마음이 애틋하여 사흘이 지난 후 바위로 올라가 보았더니 학(鶴)이 날개를 벌려 아이를 감싸고 있고 새벽이 되자 아이 입에 단실(丹實/石榴) 세 알을 넣어주고는 날아간다. 깜짝 놀란 처녀가 아이를 안고 내려와서 키우니 바로 훗날 범일국사(梵日國師)이다.
학(鶴)이 아이를 감싸고 단실(丹實)을 먹이던 바위를 학(鶴)바위라 부르게 되었고, 아기의 이름을 범일(泛日:해가 떠 있다)이라 지었다고 한다. 범일(梵日)은 자라면서 모든 것이 비범(非凡)하여 신라의 서울인 경주(慶州)로 보내 공부를 시켰는데 훗날 신라의 최고 승려로 추앙받아 국사(國師)의 칭호를 받은 범일국사(梵日國師)가 되었다는 탄생설화이다.
어릴 때는 범일(泛日:해가 뜨다)이라 불렀지만 훗날 품일(品日:품행이 방정하다.), 범일(梵日:부처)라고 불렀다.
강릉의 자랑인 천년단오(千年端午)의 주신(主神)이 대관령 국사성황(國師城皇)으로 모시는 범일국사(梵日國師)이다.
<학(鶴) 마을의 풍광(風光)>
내가 어렸던 시절, 학산(鶴山)의 장안재(長安峙) 노송 밭에는 학(鶴/白鷺-왜가리)이 무리를 지어 깃들이고 수 백 마리의 왜가리(白鷺) 떼가 날아들어 둥지를 틀고 새끼를 쳐서 끼룩거리는 울음소리가 항상 들렸고, 논이나 개천가에 먹이를 찾아 어정거리는 백로도 항상 볼 수 있었다.
예전 사람들은 왜가리(白鷺)를 학(鶴)으로 알고 있어서 마을이름이 굴산(崛山)에서 학산(鶴山)으로 바뀌었고 또 봄철이 되면 마을은 온통 꽤(자두/紫桃) 꽃으로 새하얗게 꽃밭을 이루었으며, 흰 날개를 활짝 펴고 비상(飛翔)하는 우아한 학(鶴)의 모습과 어울려 학산은 ‘백색의 천국(天國)’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꽤 꽃이 피는 봄철이 되면 강릉 시내 사람들은 꿈속을 걷는 것 같다며 학산으로 몰려오곤 했었다.
고려 말, 우왕(禑王)이 이성계로부터 쫓겨 귀양을 와 잠시 머물던 곳이 학산으로, 왕이 있으니 서울이라는 의미였는지 여찬리(余贊里)에서 학산(鶴山)으로 넘어오는 고개이름이 ‘왕(王)고개’인데 우왕이 쫓겨 오며 울면서 넘었다는 고개이다.
이 왕고개는 현재 자동차가 다니는 비교적 완만한 고개지만 여찬리 가장 동쪽의 장현저수지 근처에 있는 새끼미(幼山) 마을에서 학산으로 넘어오는 고개는 가파른 언덕으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고개인데 이곳이 학(鶴)이 떼지어 둥지를 틀던 소나무밭으로, 이 부근에서도 이따금 옛 유물들이 출토되곤 하였다.
<선문구산(禪門九山)과 사적(史蹟)>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의 주신(主神)인 범일국사(梵日國師)가 신라 문성왕 13년(851)에 창건한 굴산사는 신라 하대(下代)를 대표하는 선종 9개 종파인 9산선문(九山禪門) 중에서 사굴산문(闍崛山門) 본산이었다.
신라 말 정립된 불교 선종(禪宗)이 정립한 아홉 개의 선문구산(禪門九山)을 열거해 보면
① 전남(全南) 장흥(長興) 보림사(寶林寺)에서 가지산문(迦智山門)을 개창한 도의선사(道儀)禪師
② 전북(全北) 남원(南原) 실상사(實相寺)에서 실상산문(實相山門)을 개창한 홍척화상(洪陟:實相和尙)
③ 전남(全南) 곡성(谷城) 태안사(泰安寺)에서 동리산문(桐裡山門)을 개창한 혜철선사(惠哲)禪師
④ 충남(忠南) 보령(保寧) 성주사(聖住寺)에서 성주산문(聖住山門)을 개창한 무염대사(無染:朗慧大師)
⑤ 강원(江原) 강릉(江陵) 굴산사(崛山寺)에서 사굴산문(闍崛山門)을 개창한 범일국사(梵日)國師
⑥ 전남(全南) 화순(和順) 쌍봉사(雙峰寺)에서 사자산문(獅子山門)을 개창한 도윤국사(道允)國師
⑦ 경북(慶北)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에서 희양산문(曦陽山門)을 개창한 도헌대사(道憲:智證大師)
⑧ 경남(慶南) 창원(昌原) 봉림사(鳳林寺)에서 봉림산문(鳳林山門)을 개창한 현욱화상(玄昱:慧目山和尙)
⑨ 황해(黃海) 해주(海州) 광조사(廣照寺)에서 수미산문(須彌山門)을 개창한 이엄대사(利嚴:眞澈大師)이다.
또, 부연(敷衍)하여 내 고향 학산(鶴山)의 다양한 문화재 지정(指定) 상황들을 모아보면
①굴산사지(崛山寺址) 국가지정 사적(史蹟) 제448호(2003)
②굴산사지부도탑(崛山寺址浮堵塔/僧塔) 국가지정 보물 제85호(1963)
③굴산사지당간지주(崛山寺址幢竿支柱) 국가지정 보물 제86호(1963)
④굴산사지석불좌상(崛山寺址石佛坐像)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재 제38호(1984)
⑤조철현 가옥 -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재 제87호
⑥정의윤 가옥 - 강원도지정 유형문화재 제93호
⑦학산오독떼기 - 강원도지정 무형문화재 제5호
⑧학산 은행나무 - 강원도지정 보호수 제11-21-4호
※ 어찌 보면 내 고향 학산(鶴山)은 역사(歷史)의 보고(寶庫)이자 불교의 성지(聖地) 중의 한 곳이라고 보아도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