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주의 빠진 자의 욕구를 위해 종단을 도구화하고 있지는 않은가?… | |
[법응스님 특별기고]‘쇄신주체와 목표가 분명한가?’ “결사추진본부, 종단 정체성 유지․발전 도움 안돼” | |
기사등록 : 12-07-03 18:16 미디어붓다 | ▣ 법응스님 chonbe@naver.com |
‘조계종의 쇄신 주체와 목표’를 주제로 한 불교사회정책연구소 법응 스님의 기고문을 게재한다. 법응 스님은 기고문을 통해 조계종 중앙종회와 ‘자성과쇄신결사추진본부’의 문제점을 심도 있게 비판했다.<편집자 주> 조계종 쇄신 주체와 목표가 분명한가? 필자는 2006년 2월 4일 <불교포커스>에 “황금발우를 깨뜨려라 - 종단혁신 제1의 사찰 수입금에 대해 시초부터 꼬리표를 달아서 그 흐름의 과정을 투명하게 하자고 주장한지 20여년만의 결과니 얼마나 더디고 더딘 조직인가? 통합선거법으로 인해 금권선거의 방지는 어느 정도 가능해졌지만, 의식과 방향성의 일대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패거리 정치는 가능하고도 남음이 있다. 종단이 모처럼 맞이한 기회이기에 이제는 이기주의와 패거리 정치의 흐름에서 벗어나 “공유와 공감”으로 선회해야 한다. □ 주장의 말 1. 중앙종회 본연의 소임에 충실했나? 모니터단의 세밀한 지적과 같이 이번 쇄신법안의 통과를 보면서 느낀 점은, 중앙종회가 상정된 쇄신입법에 대해 정밀한 심의를 통해 좀 더 낳은 법안의 생산을 지향했어야만 대의와 입법기관으로서의 본연의 역할에 충실했다 할 것이다. 상정된 법안처리에 대한 느낌은 무엇인가에 떠밀린 듯하며, 상황을 수단삼아 목적하는 바를 얻고자 하는 데마고기(demagogy)적 프로파간다(propaganda)라는 인상이 깊었다. 쇄신입법에 대한 시비가 아니다. 종단쇄신법안의 처리는, 법의 제∙개정에 대한 ‘당위성 인식 → 숙의 → 대안 → 검토 → 재검토’라는 긴장되고 성의 있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구와 문장 하나하나를 검토하고 심의해야 했어야 했다는 이야기다. 인천의 도사인 승려들이 제정한 법이 모니터단의 지적과 같이 허점투성이라면 망신을 스스로 자초함이 아니고 무엇인가? 한번 제․개정한 법률은 이내 고치기 어렵다. 그렇다면 중앙종회는 모처럼 온 종단쇄신의 기회를 차수를 변경해서라도 심도 깊게 다루어야 했다. 총무원에서 입안한 법안들을 대부분 그대로 통과시킴으로써 종단발전에 기여하는 듯하지만, 냉철한 시각에서 보면 종단쇄신에 대한 사회요구에 몰리고 현상적 분위기에 동승한, 너무나 정치적이고 프로파간다적인 모양세가 짙다. 다분히 정치적이고, 선동적 분위기에 휩쓸린 무책임성이 더하지 않고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여기에 종단 주변의 단체나 대중들 또한 법안의 통과 자체에만 천착했지 그 많은 단체와 인력들이 문제의 지적을 외면했다. 법안의 통과 후 여기저기서 환영을 했는데, 그렇다면 모니터단이 잘못된 의견을 냈다는 것인가? 법안통과에 박수를 보낸 그룹은 모니터단의 평가서를 어찌 받아들일 것인가? 근래 종단과 주변의 돌아가는 형국을 보면 무엇인가 최면에 걸린 듯하다. 2. 자성과 쇄신결사추진본부 무엇하는 곳인가? 총무원-원장스님-의 고유기능은 재정권과 인사권이며, 중요한 기능중 하나가 기획실의 기획기능이다. 세계적 기업 삼성그룹은 2008년 삼성 특검의 여파로 전략기획실이 해체되고 2010년 ‘미래전략실’을 출범시켰다. 기획업무가 그룹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종단의 미래전략과 불교중흥안은 기획실에서 생산되어야 마땅하다. 실질적인 조직의 핵심에서 종단의 백년대계를 위한 정책과 대안이 준비되어야만 조직이 건강하게 발전하며 지속성이 보장된다. 참고로 제33대 집행부의 종단발전 4개년 계획안은 결사추진본부 홈페이지 한 귀퉁이에 있다. 종회의원 주경 스님은 지난 5월 30일 <미디어 붓다>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총무원 집행부가 나서야 한다. 밤을 새는 한이 있어도 집행부를 통해 대안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경 스님의 주장대로라면 쇄신법안이 총무원이 아닌 쇄신위원회, 결사추진본부에서 나왔다는 뉘앙스다. 그렇다면 매우 잘못됐다. 쇄신위원회나 결사추진본부의 안은 제안단계로써 족하며, 최종 마무리는 총무원의 기획실 차원에서 이루어졌어야 한다. ‘자성과 쇄신결사추진본부’ 사이트를 보면 “결사” 대해서는 중언부언 하나, 정작 결사의 토대이고 핵심인 “자성”이나 “쇄신”에 대해서는 단어조차도 찾기 힘들다. 「쇄신안 도출」이라 해서 “-각 분야별로 실시된 대중공사의 내용과 결과물에 대해 취합, 정리, 분석을 통해 쇄신안 마련”, “-각 교구는 중앙종무기관 및 수도권 교구 대중공사의 도출 내용과 마련된 쇄신안을 바탕으로 하반기부터 대중공사가 확산되도록 추진”이라고 한 정도가 고작이다. 이어「민족화해ㆍ평화통일ㆍ한반도 생명평화 공동체를 위한 1000일 정신사업 추진방법」이라 명시함으로써 통일운동이 결사의 지향점임을 홍보하고 있다. 결사의 본래 의미는 어디까지나 “조계종과 대중의 자성과 쇄신”이 주어이자 목적어가 돼야 마땅하다. 결사추진본부의 ‘결사사업소개’를 보면 그 마지막에 “민족화해 평화통일 한반도 생명평화공동체 1000일 정진은 국민과 함께하는 결사운동의 첫걸음입니다.” 라고 결론을 내려놓고 있다. 하는 일 자체가 시민운동에 가깝다. (http://www.buddhism.or.kr/bbs/board.php?bo_table=DN_Content_com&wr_id=10&DNUX=com_02_05)
조직도에서도 ㅇ(사부대중)결사위원회 ㅇ화쟁위원회 ㅇ종교평화위원회 ㅇ(사)민족공동체추진본부로 되어있는 바, ‘종단과 대중의 자성과 쇄신에 대한 기본 조직’은 찾지 못했다. ‘결사실천과제’ 역시 실천안과 긴장감이 없다. ㅇ종단 및 사찰운영에 사부대중 공동체를 실천하겠습니다. ㅇ‘사찰 및 문화재 보호를 위한 불사 심의를 강화하겠습니다.’에서 ㅇ‘1불자 2연등 달기’ 식이니 김이 빠진다. 본질과 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이해가 안 된다. 필자가 보기에 ‘도법 스님’이 본부장인 “자성과 쇄신결사추진본부”는 종단과 출가대중의 자성과 쇄신이 아닌 도법 스님이 늘 주장한 생명평화운동이나 통일운동이 주목적의 조직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지난해 문제가 된 ‘종교평화 실현을 위한 불교인 선언(아쇼카 선언)’과 같이 이 조직의 “종교평화위원회” 역시 민주주의와 상식에 입각한 실질적인 종교 간 갈등해소와 종교윤리의 현실적 공감대 확산보다는 도법 스님 개인과 주변 지지자들의 다분히 추상적이고 이상주의적 관념을 실현하기 위한 일에 천착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주의에 빠진 개인의 욕구를 위해 종단을 도구화하고 있다는 의혹이 그래서 나온다. 이러니 종단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그 추구하는 바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결사추진본부가 종단의 정체성유지나 발전에 단연코 도움이 안 된다고 본다. 종단 집행부는 어디까지나 총무원장 중심으로 각 종헌기구가 고유의 기능을 잘 수행하면 된다. 조직이 외형만 방대해지면 책임의 소재가 불분명해지고 나태와 무능이 드러나게 되며 사업이 모호해진다. 종단의 인사 및 재정 그리고 기획기능은 총무원장스님의 고유권한이며, 고유권한으로 나가야만 종단이 건강하게 발전하고 유지된다. 근래 종단 인사에 대한 온갖 소문이 나돈다. 소문이 그저 소문이기를 바라나 사실이라면 종단은 무주공산의 집단으로 전락하기 쉽다. 3. 종단 무엇을 해야 하나? 국가든 종단이든 어려울 때일수록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몇 번이고 강조하는 말이지만, 일은 사람이 한다. 부처님의 근본가르침에 맞게 종단시스템과 대중의 인식세계를 쇄신하기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사람이, 우리가 스스로부터 바뀌어야 한다. 중앙종회의 쇄신법안 통과로 안도하고 자축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진정한 쇄신은 조계종 지도부와 출가대중의 의식과 인식의 전환이며, 이를 통해 종단권력과 삼보정재의 “대중 중심”으로의 공유다. 또한 비불교적 요소의 척결이다. 불교가 신의 종교인지 아닌지 분간이 안 되는 우리의 현실이다. 이기화 교수는 7월 2일자 <법보신문>의 논설에서 “재산을 공개하여 정치승들을 종단의 요직에서 축출하는 것이 사찰운영위원회 못지않은 중요한 쇄신책이다. 그것이 한국불교의 미래를 열고 청정한 승가의 명예를 회복하고 재가불자들의 깊은 상처를 치유하는 길이라 생각한다.” 라는 주장을 폈다.
이기화 교수의 주장이 하루아침에 성사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라도 차근차근 고쳐나가야 한다. 의식개혁이든 승가 본래의 의미로 돌아가기 위해서이든, 종단이 할 일은 양심 있는 대중과 상부구조인 원로급 스님들부터 권력과 돈으로부터 자유를 선언해야한다. 원로급 스님들부터 주지직을 내놓음으로써 주지소임이 결코 권력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 아님을 증명해야 한다. 그리함으로써 재정투명화 등 쇄신의 강도 높은 진행과 지속성을 위한 촉매제 역할에 기여해야 한다. 그 어느 종교보다도 물질문명의 폐해를 경계하고 중생을 제도하여야 할 불교계가 스스로 문명의 이기를 앞서 쫒으며 물질과 명예숭배의 형국으로 치닫는다면 가당키나 한 일인가? 종단이 어지러운 것은 해묵은 업이다. 그 해묵은 업장을 원로와 중진 그리고 33대 집행부부터 스스로 녹여 내려야한다. 그러지 않고서는 조계종과 승려의 의식개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 나오는 말 글이 길어졌다. 조계종을 책임진 현 33대 집행부의 평가가 흥미로울 것이다. 그러나 어디에서 진정성을 느껴야 하는지 참으로 난감하다. 자성과 쇄신결사추진본부의 행보가 종단과 출가대중을 자성하게 하고 쇄신하게 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며, 기여도가 미미하다면, 차라리 해체에 버금가는 그야말로 내부 쇄신이 필요하다. 그것이 총무원장스님은 물론 조계종의 앞날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우리 종단의 쇄신은 본래의 자리, 본래의 의미로 돌아가고자 하는 불사여야 한다. 흔히 하는 말로 “공수래공수거”라 했다. 이제 그만 이기적이고 검증이 안 된 것들, 그리고 거머쥔 권력과 부를 던져버려야 한다. 진정으로 이 사회로부터, 불자 대중으로부터 33대 집행부는 물론 조계종과 한국불교가 존경받는 길을 찾아야 한다. 목마른 자가 샘물을 찾듯이 말이다. |
네티즌이 만드는 정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