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월(郭越)
[문과] 명종(明宗) 11년(1556) 병진(丙辰) 별시(別試) 병과(丙科) 4위(07/12)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CFDC6D4FFFFB1518X0
자(字) 시정(時靜)
호(號) 정재(定齋)
생년 무인(戊寅) 1518년 (중종 13)
졸년 병술(丙戌)(주1)【補】 1586년 (선조 19)
향년 69세
합격연령 39세
본인본관 현풍(玄風)
거주지 현풍(玄風)【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제주목사, 청송부사, 남원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시정(時靜), 호는 정재(定齋). 곽승화(郭承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안현감 곽위(郭瑋)이고, 아버지는 사성 곽지번(郭之藩)이며,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허린(許磷)의 딸이다. 아들이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이다.
1546년(명종 1)에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55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그뒤 승문원정자·영천군수를 지내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570년(선조 3)에 다시 관직에 복귀하여 1573년(선조 6)에 지평, 장령, 사간에 제수되었고, 1576년에는 의주목사, 그뒤 호조참의를 거쳐 1578년에는 동지사(冬至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이듬해 황해도관찰사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1581년에 제주목사에 제수되었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청송부사(靑松府使)로 다시 제수되었다. 1585년에 남원부사로 제수된 뒤 얼마되지 않아 파직되었다.
무재(武才)를 겸비하여 국가에 위급한 일이 있으면 큰일을 맡길만하다 여겼는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들 곽재우가 의령에서 일어나 왜를 쳐서 큰 공을 세우니 사람들이 아버지의 기품을 닮았다고 하였다.
[생원] 명종(明宗) 1년(1546)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생원] 1등(一等) 2위(2/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2명 [甲1‧乙2‧丙9]
전력 생원(生員)
관직 황해감사(黃海監司)
타과 1546년(명종 1)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등(○等) ○○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곽지번(郭之藩)[文]
[조부(祖父)]
성명 : 곽위(郭瑋)
[증조부(曾祖父)]
성명 : 곽승화(郭承華)
[외조부(外祖父)]
성명 : 허린(許磷)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강응두(姜應斗)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허경(許瓊)
본관 : 미상(未詳)
[안항(鴈行)]
제(弟) : 곽규(郭赳)[文]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가정25년병오4월15일생원진사방목증광(嘉靖二十五年丙午四月十五日生員進士榜目增廣)』(평산신씨(平山申氏) 문희공파(文僖公派) 충헌공계(忠憲公系) 승지공(承旨公[諱汝述]) 종중(宗中))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곽지번(郭之藩)
[문과] 중종(中宗) 15년(1520) 경진(庚辰) 별시(別試) 병과(丙科) 6위(09/11)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CFDC9C0BC88U9999X0
자(字) 한중(翰仲)
본인본관 현풍(玄風)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생원] 중종(中宗) 14년(15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1위(51/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1명 [甲1‧乙2‧丙8]
전력 생원(生員)
관직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
문과시제 책문(策問)
타과 1519년(중종 14)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20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곽위(郭瑋)
[조부(祖父)]
성명 : 곽승화(郭承華)
[증조부(曾祖父)]
성명 : 곽안방(郭安邦)
[외조부(外祖父)]
성명 : 신승준(申承濬)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허린(許磷)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2]
성명 : 한세신(韓世信)
본관 : 미상(未詳)
[가족과거]
자(子) : 곽월(郭越)[文]
[주 1] 거주지 : 『정덕14년기묘식사마방목(正德十四年己卯式司馬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수집 고문서-韓山李氏 문중])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곽위(郭瑋)
[생원] 연산(燕山) 1년(149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42위(72/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ACFDC704FFFFU9999X0
자(字) 유온(幼溫)
본인본관 현풍(玄風)
거주지 현풍(玄風)【補】
[관련정보]
[진사] 연산(燕山) 1년(149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6위(36/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전력 유학(幼學)
기타 양시(兩試[雙蓮])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곽승화(郭承華)[進]
[출전]
『사마방목【홍치8년을묘】(司馬榜目【弘治八年乙卯】)』(『지헌선생일고(止軒先生逸稿)』 卷之3, 李哲明, 국립중앙도서관[古3648-62-1013])
곽승화(郭承華)
[진사] 성종(成宗) 8년(1477)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등(○等) ○○위(98/100)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CFDC2B9D654U9999X0
본인본관 현풍(玄風)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一等5‧二等25‧三等70]
부모구존 ○○하(○○下)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곽○○(郭○○) 곽안방(郭安邦)
[출전]
『점필재집(佔畢齋集)』 門人錄, [부문인록(附門人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