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라는 주차면 어떻게 할건가
[기사일 : 2008년 05월 30일]
남구 '거주자우선주차제' 시행도 하기전 부작용 속출
울산시 남구 달동의 한 주택가. 거주자우선주차제가 시범 시행중인 29일 주차구획 맞은편으로 차들이 주차돼 있어 거주자우선주차제를 무색케 하고 있다. 장지승기자 jjs@
오는 7월 전면 시행을 앞둔 남구청의 거주자우선주차제가 지역여건을 고려치 않은 세입늘리기에 급급한 졸속 행정이라는 불만이 높다.
29일 남구청에 따르면 거주자우선주차제는 울산시 남구지역의 고질적인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시행계획을 수립해 10월 시범실시됐으며, 오는 7월 1일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우선주차제가 시범실시될 당시 남구청의 홍보와 계도기간 부족으로 주민들의 불만이 강하게 제기됐으며, 전면 시행을 불과 1개월 앞둔 최근에는 지역 주거환경을 무시한 행정으로 취소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같은 반대 목소리의 주된 원인은 부족한 주차공간. 남구지역에 등록된 차량은 모두 13만5,000여대에 이르지만, 거주자우선주차제와 공공주차장 등 현재 남구청이 확보하고 있는 주차면은 불과 10만5,000대 수준이다.
이 때문에 특히 비좁은 골목에 위치한 원룸과 상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원성은 끊이지 않고 있다.
주민 이모(60)씨는 "남구 달동의 경우 골목 주변으로 40여가구가 살고 있지만 거주자우선주차제 주차면은 20면만 배정돼 있어 1가구 1주차에 맞지 않다"며 "거주자우선주차제 시행 이후 주차문제 때문에 이웃간 얼굴을 붉히는 일이 잦아진 것은 물론, 서민들의 어려운 사정은 고려치 않고 관할 구청이 자동차세에 이어 이제는 주차세까지 받으려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밖에도 기준이 모호한 주차구획면 지정, 소방도로 미확보로 인한 안전문제 등으로 인해 주먹구구식 행정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남구청 관계자는 "주택가 빈 공터, 학교 운동장, 관공서·교회·예식장 주차장, 주차가 가능한 간선도로 등을 확보 부족한 주차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며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주민들 서로간의 협의에 따른 거주자우선주차제가 안정만 되면 주택가의 불법주차, 도시미관 문제 등 주민들의 불만과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