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박정희 대통령이 1971년 가을 충북 청원군에서 벼 베기 대회에 참석, 벼를 베고 있다. 작은 사진은 무기명 투표로 진행된 ‘통일쌀밥 시식회’에서 박 대통령이 서명한 밥맛 조사표. 통일벼 ‘맛’에 대한 시비를 단숨에 잠재웠다. [중앙포토] | |
1998년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 오창과학단지 건설 현장. 선사시대 유적을 발굴하던 이융조(선사문화연구원장) 충북대 교수는 탄화된 볍씨 59톨을 발견했다. 1만5000년 전 것으로 공인 받은 세계 최고(最古)의 볍씨다. 이 볍씨 59톨이 기원전 2000년께 중국을 거쳐 들어왔을 것이라는 벼의 한반도 재배 기원설을 흔들어놓았다. 이융조 원장은 “지난달 중국 후난(湖南)성 도현옥섬에서 출토된 볍씨가 1만4000여 년 전 것으로 판명됐다”며 “당시 한반도를 포함해 동북아 전체에서 벼농사가 광범위하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반도에는 청원군 소로리를 비롯해 경기도 여주(약 3000~2500년 전), 경기도 김포(약 4000~3000년 전), 평양 대동강 유역(약 3000~2500년 전), 충남 부여(약 2600년 전) 등에 탄화미 흔적이 남아 있다. 한민족이 본격적으로 벼농사를 지은 게 보수적으로 잡아도 3000년은 된다는 얘기다.
쌀이 이보다 전에 한반도에 들어와 있던 보리와 밀·기장·조·수수 등을 밀어내고 ‘식탁의 주인’이 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우선 보관성을 내세운다. 수분 함량이 적고 외부가 단단한 껍질로 돼 있어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한 쌀은 언제나 굶주림과 싸우던 시절, 최고의 생존 수단이 될 수 있었다. 게다가 쌀은 맛이 담백하다. 떡과 술로 빚기도 좋다. 경제성도 우수하다. 쌀은 주요 작물 중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감자, 옥수수 다음으로 많다.
삼국시대를 지나면서 쌀은 서서히 우리 민족의 주식으로 등장한다. 백제와 신라에서 벼농사는 국가 차원에서 장려됐다. 통일신라에 이르러 쌀은 주곡 중 최고로 평가받는다. 한반도 북부는 조, 남부는 보리, 귀족은 쌀을 주로 먹었다. 이때부터 조세의 주요 대상도 쌀이 됐다. 고려 때 쌀은 화폐로도 쓰였다. 관리의 봉급이 쌀로 지급되기도 했다. 그만큼 쌀의 지위가 올라간 것이다. 조선시대에 오면서 전 국민의 주식이 쌀로 바뀌면서 말 그대로 밥상의 ‘주인’이 된다(국사편찬위원회, 『쌀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일상생활 속에서도 쌀은 귀한 대접을 받았다. 햅쌀 항아리를 무명실로 묶어놓고 집을 지켜준다는 성주신(城主神)으로 모시는 것은 지금도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쌀을 밟으면 발이 비뚤어진다’ ‘키질을 할 때 쌀이 날리면 남편이 바람난다’ 같은 속담에서 보듯 쌀은 외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런 한국의 쌀 산업이 크게 위축된 것은 일제를 거치면서다. 일제는 일본의 공장 근로자에게 싼값에 쌀을 대주기 위해 조선의 쌀 생산을 늘리고자 했고, 그것이 산미증식계획으로 나타났다. 1914년부터 33년까지 일본으로 반출된 쌀이 약 8억7300만 석이었다. 당시 조선에서 생산된 쌀의 30%가 넘는다(고바야가와 규로, 『조선농업발달사』). 심지어 31년 일제는 조선의 쌀 생산량 158억7300만 석 가운데 902만 석(57%)을 자국으로 실어 날랐다. 이후 광복의 혼란, 6·25전쟁을 겪으면서 쌀 산업은 더욱 피폐해졌다.
한국이 쌀 자급을 이룬 것은 75년에 와서다. 본격적으로 벼농사를 지은 지 3000년이 지나서다. 이전에는 쌀 생산량이 턱없이 부족해 죽을 쑤어 먹거나 고구마·감자 등으로 끼니를 해결했다. 그것도 힘들 때는 풀 뿌리나 나무 껍질로 보릿고개를 넘기기도 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에게는 식량 자급이 가장 먼저 풀어야 할 과제였다.
그는 다수확 신품종 개발에 관심이 많았는데, 중앙정보부가 이집트에서 들여온 볍씨에 자신의 이름 마지막 자를 따서 ‘희농(熙農)1호’라고 이름 짓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보릿고개를 넘길 효자”라고 자랑했지만 희농1호는 우리 토양에 맞지 않아 금세 사라졌다. 이후 박 대통령은 어떤 상품에도 자신의 이름을 달지 못하도록 했다고 한다.
진짜 ‘기적의 볍씨’가 나온 것은 71년이다. 서울대 허문회 교수가 일본·대만 벼를 교배해 만든 통일벼 ‘IR667’이 그 주인공이었다. 보통 벼는 이삭당 낱알이 80~90개였지만 통일벼는 120~130개나 됐다. 당시 상황을 논픽션으로 기록한 『라이스 워』(이완주)에는 “석 섬 나던 논에서 통일벼는 닷 섬이 났다”고 적고 있다. 생산량이 40%나 늘어난 것이다. 키가 작고 줄기가 단단해 잘 쓰러지지도 않았다. 덕분에 쌀 자급 달성(76년), 쌀 막걸리 탄생(77년), 대북 쌀 지원(77년) 등이 가능했다. 지난 7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국가 연구개발 50년 10대 성과 사례를 발표할 때 ‘통일벼 개발’은 단연 첫째로 꼽혔다.
다만 푸석푸석한 맛이 흠이었다. 통일벼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차진 맛이 덜했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통일밥상 시식회’에서 참석해 이런 맛 시비를 잠재웠다. 색깔도 밥맛도 좋다며 ‘박정희’라고 서명해버린 것. 그 다음부터 아무도 통일벼의 밥맛에 대해 시비하는 사람이 없었다. 통일벼는 주곡 자급이라는 위업을 달성하고 90년대 들어 사라졌다.
그전까지 모자란 게 문제였다면 이번엔 남는 게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 쌀 소비량이 크게 준 게 문제였다. 없어서 못 먹던 귀하신 몸이 불과 20여 년에 ‘찬밥’ 신세가 된 것이다. 소비 증가를 위해 쌀국수·쌀라면·쌀맥주 등 쌀 가공식품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시장 변화도 꽤 있었다. 세계무역기구(WTO) 쌀 협상 비준안이 통과되면서 수입쌀이 다시 식탁에 오르게 됐다. 92년 대선 당시 김영삼 후보는 “대통령직을 걸고 쌀 시장 개방만은 막겠다”고 했으나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일이었다. 이후 정부는 100조원 규모의 농촌·농업 발전계획을 내놓았지만 농업 경쟁력은 제자리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2009년 현재 한국의 벼 재배 면적은 92만400여㏊. 지난해보다 1.2% 줄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 예상량은 468만t가량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484만t)보다 적지만 평년작(457만t)보다 늘어난 것이다. 연간 식량용으로 약 370만t을 소비하는 것을 감안하면 소비량의 두 달 반 분량이 재고로 남을 전망이다. 지난해 40㎏ 기준 5만1000∼5만2000원 하던 추곡수매가는 올해 4만5000원 이하로 뚝 떨어졌다. 이른바 ‘풍년의 역설’이다.
'부의 상징'이 '찬밥' 전락 … 명예회복의 길은
쌀, 명품이 미래다
한 알의 쌀이 만들어지기까지는 온 우주가 동원되었다. (중략) 쌀은 생명이다! 쌀은 사람이다! -문병란 ‘쌀은 사람이다’ 중에서 잠시 홀대를 받고 있지만 명품으로 거듭나는 날 쌀은 다시 생명이요, 사람이 될 것이다.
‘평균 신장 5㎜, 몸무게 0.2g 안팎, 피부는 반투명의 윤기 있는 흰색…
.
쌀 한 톨의 간단한 신상명세다. 체구가 워낙 작다 보니 숟가락 하나 채우려 해도 수백 개는 족히 모아야 한다. 가루를 내 빵이나 국수를 만들어 먹기도 어렵다. 원래 습지식물이었기 때문인지, 밥이 되려면 제 체구보다 훨씬 많은 물을 필요로 한다. 간편함이나 신속함과는 거리가 있다.그럼에도 쌀은 수천 년간 밀ㆍ옥수수와 함께 인류를 먹여 살려온 주식이었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인구의 40%가 날마다 쌀을 먹는다. 인류가 섭취하는 칼로리의 21%를 쌀에서 얻는다는 통계도 있다. 좁은 땅에서 많은 수확을 거둘 수 있고 우기와 건기가 뚜렷한 아시아에 특히 잘 맞는 작물이다.
인류가 야생 벼를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적어도 1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양쯔강 중류나 인도,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이 원산지로 꼽힌다. 한국에서도 짧게 잡아 3000년 전, 길게 잡아 1만5000년 전의 볍씨가 출토된다. 쌀을 떼어놓고는 우리의 삶과 문화를 설명할 수 없는 이유다. 단군이 하늘에서 내려올 때 데려온 세 참모인 우사ㆍ운사ㆍ풍사는 모두 쌀 농사와 관계가 있는 존재들이다.
효녀 심청은 아버지의 눈을 띄우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을 바쳤다. 농경사회에선 쌀로 만든 밥과 떡과 막걸리가 대표적인 주식ㆍ간식ㆍ술이었다. 쌀뜨물로 국을 끓이고 쌀겨는 거름이나 베갯속의 재료로 썼다. 지푸라기를 섞은 황토로 벽을 세우고 지푸라기를 엮은 이엉을 얹은 게 초가집이다. 이런 사회에선 쌀을 사는 게 부끄러운 일이었다. 쌀을 사러 장에 나가면서도 ‘쌀 팔러 간다’고 말해야 했다. 먹을거리가 풍족해진 1980년대 이전만 해도 많은 한국인은 ‘흰 쌀밥에 고깃국’을 먹는 것을 소원으로 여겼다. 오랫동안 쌀은 식량과 돈과 재산을 함께 아우르는 풍요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세상이 변했다. 쌀은 더 이상 돈으로 쓰이지 않는다. 샐러리맨들이 자기 월급을 ‘쌀 몇 가마’로 바꿔 계산하던 모습은 70년대 이전 풍경이 됐다. 쌀 가마를 높이 쌓은 넉넉한 곳간이 부자를 상징하던 시절도 지났다. 이젠 주식의 자리도 장담하지 못할 상황에 처했다. 1980년 한 사람당 130㎏이던 연간 쌀 소비량은 지난해 75.8㎏으로 급감했다. 하루 평균 207.7g, 채 두 공기가 안 되는 양이다. 사람이 모두 밥심으로 살던 시대는 지나갔다. 젊은 층일수록 빵이나 국수로 일상의 에너지를 얻는 경우가 많아졌다.
쌀의 위기는 문화적ㆍ사회적 갈등을 키웠다. 30년 전 혼·분식을 장려하며 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애를 쓰던 정부는 요즘 이삭 팬 논을 갈아엎는 농민들의 반발에 시달리고 있다. 가뜩이나 밥 한 공기 값이 껌 한 통 값도 안 돼 울분을 삭이던 농민들에게 쌀값이 더 떨어지고 외국 쌀이 밀려들어 오는 세태가 반가울 리 없다. 밥 대신 피자를 찾고, 떡 대신 자장면을 찾는 아이들과 이를 말리는 부모들 사이의 다툼도 가정에서 흔히 벌어지는 일이다. 풍요로움이 쌀엔 힘든 시절이 됐다. 역설이다.
정부라고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김대중ㆍ노무현 정부는 북한에 쌀을 지원해 쌀값 안정과 과다재고를 해결하려 했다. 비축미를 늘리고 농민이 다른 농사를 짓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계속되고 있다. 일부 농민은 ‘프리미엄 쌀’로 자구책을 찾고 있다. 워낙 값이 싼 외국쌀과의 경쟁에서 이기지 못할 거라면 고급화로 승부를 내보자는 생각이다. 막걸리가 부활을 노래하고 빵 대신 떡으로 아침식사를 하는 가정도 늘고 있다. 레토르트 밥에 이어 떡볶이ㆍ국수ㆍ빵으로 쌀의 변신을 앞당기려는 시도도 활발하다.
문제는 이 위기가 한때의 일로 그치지 않을 거라는 점이다. 맞벌이 부부가 늘고 식생활이 간편해지면서 되레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 경제발전이라는 대의와 농민 생계, 국민 정서 사이의 충돌도 계속될 것이다. 그렇다고 알렉산더가 단칼에 베어버린 ‘고르디우스의 매듭’처럼 한 방에 해결할 묘책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오랜 시간을 공들여 하나하나 풀어내야 한다. 추수의 계절, 가을에 중앙SUNDAY가 쌀의 고민과 희망을 짚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