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탄고토(甘呑苦吐)
[달 감/삼킬 탄/쓸 고/뱉을 토]
[뜻]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고 유리하면 하고 불리하면 하지 않는
이기주의적인 태도
[내용]
신의를 돌보지 않고 자기의 이익만 꾀하거나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茶山(다산) 丁若鏞(정약용)이 엮은 '耳談續纂(이담속찬, 纂은 모을 찬)'에
이 말이 나온다. 이 책도 241개의 속담을 한자 8자로 표현하고 그 아래
한문으로 뜻을 적어놓아 소중한 민속자료로 되어 있다.
이 말이 나온 부분에는 '이전에는 달게 먹던 것도 지금은 쓰다고 뱉는다.
사람은 이익에 따라 교묘히 바뀐다는 뜻으로 사용됐다.
(昔以甘茹 今乃苦吐 言人情巧於自利也/ 석이감여 금내고토 언인정교어자리야)
이 말에 따르는 나무 이야기가 있다.
나무에게는 달과 바람, 새란 친구가 있다.
달은 밤을 같이 지내주고 언제나 웃을 뿐 말이 없는 이심전심의 친구다.
바람은 변덕 많고 제멋대로 찾아왔다 후딱 가버릴 뿐 아니라 세게 불어
상처를 안기기도 하고,
새는 노래를 불러 주기는 하지만 역시 제 맘대로 왔다 가서 믿을 수 없다.
그래도 나무는 달이라 환대하고 바람과 새를 박대하는 법이 없이, 오면
다행으로 생각하고 오지 않는다고 불행해 하는 법이 없다.
득에 따라 좌우되는 인간에게 믿음이 밑바탕이 되는 朋友有信(붕우유신)의
가르침을 인간에게 준다.
감탄고토의 대척점에 있는 말이 당나라 시인 두보가 지은 한시
빈교행(貧交行)이라는 제목의 말일 것이다. 빈교행은 가난한 사귐의 노래
라는 뜻으로 풀이하는데, 어려워도 우정을 소중히 잘 지켜나가는 것을
상징하는 말이다.
춘추전국 시대의 제나라 명재상 관중과 친구인 포숙이 어려웠던 시절에
우정을 잘 지켜나갔음을 사례로 들어 칭찬하고 있다. 여기서 그 유명한
관포지교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는데, 빈교행이란 바로 관포지교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첫댓글 저에게는 빈교행(貧交行) 친구가 서넛 있습니다.
참 감사하게 생각하며 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