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병징 |
발병 부위 |
전염형 |
병원균의 잠복장소 |
맥체에의 접종 |
껕깜부기병 |
이삭의 거의 모든 종실이 검은 가루로 변하며, 껍질이 쉽게 터져서 포장에 선 채로 검은 가루가 나옴 |
종실 |
종자 전염 |
균사상태로 종자 내부 (배)에 잠복 |
개화기에 주로 화기에 접종됨 |
속깜부기병 |
이삭의 거의 모든 종실이 검은 가루로 변하지만, 포장에서 끝까지 껍질이 터지지 않다가 탈곡할 때 터짐 |
종실 |
종자 ․ 토양전염 |
포자상태로 종자 표면 ․ 지중 또는 균사상태로 종피의 내면에 잠복 |
발아초기에 어린 식물체에 접종됨 |
비린 깜부기병 |
이삭이 늦게까지 푸른 채로 있고, 종실이 비린내가 나는 다갈색 가루로 변하며, 탈곡할 때 터짐 |
종실 |
종자 ․ 토양전염 |
속깜부기병과 같음 |
속깜부기병과 같음 |
줄기 깜부기병 |
도톨도톨한 회색의 줄무늬가 생기고, 검은 가루가 날며, 이삭이 패지 못하고 뒤틀리며, 성숙해도 종실이 잘아지고 쭈그러짐 |
잎 ․ 줄기 |
종자 ․ 토양전염 |
포자상태로 종자표면 ․ 이병맥간 ․ 지중 등에 잠복 |
속깜부기병과 같음 |
3. 방제법
-. 종자소독 : 방제효과가 가장 크다
-. 나병식물의 제거 : 포장에서 가루가 날기 전에 병든 이삭과 식물체를 제거하여 태우거나 묻어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