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이두나!'·'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명언 기자 = 똑 부러지는 정신건강의학과 간호사 민들레('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와 천상 아이돌 이두나(이두나!'). 닮은 구석 없어 보이는 넷플릭스 최신작 속 두 여성 캐릭터 사이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사랑 대신 꿈을 좇아 떠난다는 점이다.
3일 방송가에 따르면 여주인공이 남성과의 사랑에 안착하는 '신데렐라 드라마'의 뻔한 공식을 거부하는 작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지난달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이하 '정신병동에도') 속 간호사 민들레(이이담 분)가 이런 트렌드를 잘 보여준다.
중략
통상 로맨스 드라마에선 남녀주인공이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이어질 때 해피 엔딩으로 여겨진다.
민들레와 이두나가 헤어짐을 선택한 건 전통적인 로맨스 극의 해피 엔딩과는 거리가 있지만, 시청자들은 꿈을 좇아 나선 이들을 응원한다.
"마음속 목소리를 따르는 모습이 오히려 더 멋있다"('정신병동에도'), "더 행복해지기 위한 선택이기 때문에 해피 엔딩이라고 생각한다"('정신병동에도'), "드라마치고 현실적인 결말이라 마음에 든다"(이두나!), "사랑이 이어지지 않더라도 각자의 삶을 멋지게 살아가는 것 역시 좋은 결말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이두나!) 등의 시청 평이 나온다.
첫댓글 이게 현실이지 해피 엔딩이 꼭 사랑만 있는 건 아니닌까
옛날 드라마 보면 커리어 때문에 결혼 안하려던 여주가 덜컥 임신해서 남주가 좋아하면서 해피엔딩! 이런거 많았는데 너무 싫엇서.. 그래서 이런 흐름 너무 좋아
현실적인거지.. 제목 그대로 사랑이 해피엔딩은 아니니 ㅇㅇ
들레쌤 너무 좋아
좋은 흐름이라고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