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퍼푸드로 알려진 한국산 조미김(김스낵, Nori Snack) 수요 증가 –
- 호주 식품 바이어, 포화된 시장에서 차별화된 오가닉 인증 김 선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김 (HS Code 121221 – Seaweeds and Other Algae, 해초류 및 기타 조류(藻類))
□ 호주 김 시장규모 및 동향
ㅇ 호주는 김의 생산이 적어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 김 제품의 전체 수입액은 2605만 호주달러임.
- 현지에서 유통되는 주요 품목은 김밥용김, 스시용김, 김스낵 , 김자반 등이 있음.
- 스시용김의 경우 현지 식당에서 식자재로 꾸준히 수요가 있으며 특히 호주에서 스시전문점 및 편의점용 스시롤을 기계로 대량 생산하고 있어 잘 찢어지지 않는 김을 선호하며, 중국산이 시장을 점유한 상태
- 최근 한국산 조미김이 super food 즉 건강식 김스낵(Nori Snack)으로 알려지면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기농 식품 전문 뉴질랜드 업체인 Ceres Organics사의 한국에서 OEM으로 생산된 김스낵이 호주 대형 슈퍼마켓 체인 Woolworths에 입점
Ceres Organics의 한국산 김스낵 제품 및 레시피
자료원: Ceres Organics
□ 수입규모 및 동향
ㅇ HS Code 121221로 살펴 본 호주 김의 총 수입규모는 2017년 기준 2605만 달러로 전년 대비 3% 상승
- 호주의 전체 수입액은 2015년 2119만 달러에서 2016년 1901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2017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약700만 달러가 증가함.
- 중국에서의 수입량이 1788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68%를 차지하며, 한국(20%), 일본( 7%) 순으로 높음.
ㅇ 호주의 대한 수입액은 2017년 522만 달러로 최근 3년 간 지속 상승
- 한국에서의 수입량은 전년도 대비 47%가 상승하며 상위 10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임.
호주 김 수입통계 - HS Code 121221
구분 | 수입량(미화 백만달러) | 점유율(%) | 증감율(%) |
순위 | 국가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17/'16 |
전체 | 21.19 | 19.01 | 26.05 | 100 | 100 | 100 | 37.05 |
1 | 중국 | 15.44 | 12.61 | 17.88 | 72.9 | 66.31 | 68.61 | 41.82 |
2 | 대한민국 | 3.24 | 3.55 | 5.22 | 15.3 | 18.65 | 20.04 | 47.24 |
3 | 일본 | 1.21 | 1.73 | 1.87 | 5.72 | 9.11 | 7.17 | 7.89 |
4 | 프랑스 | 0.22 | 0.28 | 0.21 | 1.06 | 1.49 | 0.82 | -24.43 |
5 | 필리핀 | 0.00 | 0.00 | 0.21 | 0 | 0 | 0.82 | 0 |
6 | 영국 | 0.41 | 0.33 | 0.16 | 1.95 | 1.75 | 0.62 | -51.42 |
7 | 대만 | 0.12 | 0.12 | 0.15 | 0.58 | 0.64 | 0.57 | 21.09 |
8 | 미국 | 0.28 | 0.13 | 0.14 | 1.31 | 0.69 | 0.55 | 8.76 |
9 | 캐나다 | 0.06 | 0.10 | 0.10 | 0.29 | 0.51 | 0.38 | 0.27 |
10 | 뉴질랜드 | 0.12 | 0.09 | 0.06 | 0.55 | 0.49 | 0.23 | -37.33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한국 및 아시안 식품점에서는 한국 기업의 김밥용김, 김스낵, 김자반 등이 주로 판매되고 있으나 스시용김의 경우는 대부분 중국산임.
김밥용김 및 스시용김 소매가격표
제품명 | 두번구운 김밥김 | 섬마을 구운생김 | Yaki Sushi Nori | Roasted Seaweed Yaki Nori |
제조사 | ㈜광천김 | 샘표 | Jun Pacific | Kido |
용량 | 20g/10매 | 20g/10매 | 25g/10매 | 25g/10매 |
원산지 | 한국 | 한국 | 중국 | 중국 |
소비자가격 | A$2.19 | A$2.34 | A$3.49 | A$3.49 |
김스낵 소매가격표
제품명 | 소문난 광천김 | 광천 해저김 | 새우표 완도김 | 석쇠구이김 |
제조사 | 광천김 | 해저식품 | 완도물산 | 종가집 |
용량 | 5g/10봉 | 4g/10봉 | 5g/10봉 | 4g/10봉 |
원산지 | 한국 | 한국 | 한국 | 한국 |
소비자가격 | A$4.39 | A$4.34 | A$4.20 | A$4.29 |
김자반 소매가격표
제품명 | 녹차 김자반볶음 | 광천 올리브 녹차 돌자반 | 소문난 광천 돌자반 | 고소한 옥동자 돌자반 |
제조사 | 완도물산 | 솔뫼F&C | 광천김 | 효성코퍼레이션 |
용량 | 60g | 70g | 70g | 70g |
원산지 | 한국 | 한국 | 한국 | 한국 |
소비자가격 | A$3.59 | A$2.99 | A$2.99 | A$3.69 |
자료원: 멜버른 무역관 방문조사
ㅇ 호주 대형 슈퍼마켓 체인과 현지 유기농 식품점에서도 현지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스낵으로 먹는 한국산 김스낵을 유통
- 한국 브랜드와 호주, 뉴질랜드 기업이 자체 브랜드로 한국에서 생산한 김스낵이 메인시장에서 경쟁 중임.
- 특히 해외 기업의 경우 김스낵에 유기농 인증을 받아 기존 제품과 차별화하였으며 인증 로고와 함께 패키징을 하여 건강한 이미지를 부각시킴.
해외 브랜드의 한국산 김 제품
기업명 | 제품 | 상세설명 |
(뉴질랜드) Ceres Organics
www.ceresorganics.com.au |

Organic Roasted Seaweed 5g - A$1.80 | - 1982년에 설립된 뉴질랜드계 오가닉 전문 유통사로 유기농 인증을 받은 제품만 취급 - 약 150여 가지 유기농 식품을 호주와 뉴질랜드 시장에 공급 - 자체 브랜드인 Ceres Organics로 한국에서 생산된 김이 현지 대형 슈퍼마켓 Woolworths에 입점 - 오리지날과 마일드 칠리, 데리야키 3가지 맛의 김스낵 판매 |
(호주) Honest to Goodness 
www.goodness.com.au |
 Organic Roasted Seaweed Snack 4g - A$1.95 | - 호주의 대표적인 오가닉 및 천연 제품 유통사로 유기농 인증을 받은 제품만 취급 - 호주와 해외에서 소싱한 제품을 도매와 소매로 판매 - 자체 브랜드인 Honest to Goodness 로 한국에서 생산된 김을 현지 식품점에 공급 |
(호주) Sea Shanti 
seashanti.com.au |

Seasoned Seaweed Snack 10g - A$4.45 | - 2011년 타즈매니아에 설립된 한국산 김 전문 유통업체로 OEM으로 한국에서 생산된 수제김을 호주와 뉴질랜드 시장에 공급 - 김스낵과 김자반이 메인 제품으로 주로 유기농 및 천연 식품점을 통해 판매 - 김스낵은 오리지날과 칠리, 호주인들이 좋아하는 소금&식초 맛이 있음 |
자료원: 각 기업 웹사이트
□ 유통구조
ㅇ 호주 소매업체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김을 공급받고 있음.
- 아직까지 한국식품의 시장규모가 작고 직접 수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현지 도매업체 및 벤더가 한국에서 직접 수입하지 않고 현지의 김 수입업체를 통해 구매하기도 함.
- 대부분의 한인교포 업체에서 수입과 도매업을 병행하고 있어 한국산 김을 수입하여 아시안 식품점 및 슈퍼마켓 등에 공급하고 있음.
- 이외에도 현지 유기농 식품점, 건강식 식품점, 온라인 매장 등에서도 김스낵을 판매 중임.
호주 시장의 김 유통구조

자료원: 멜버른 무역관 작성
멜버른 시내의 한국 식품점에서 판매 중인 김

자료원: 멜버른 무역관 촬영
□ 관세율 및 수입규제
ㅇ HS Code 121221의 관세율
- 해당 HS Code의 호주 일반 관세율은 0%로 한국의 경우도 무관세 적용
ㅇ 호주 정부는 한국 식품 수입상을 위한 식품안전기준, 수입조건 그리고 차단 방역 관련 카테고리를 따로 만들어 안내함.
- 품목별로 수입 시 요구하는 조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호주 농림부에서 운영하는 BICON(Biosecurity Import Conditions System)에 기재되어 있는 해외 식품, 동물, 광물 등에 관한 수입규정과 자세한 정보를 미리 조회해 볼 필요가 있음.
- 호주 농림부 웹사이트: www.agriculture.gov.au/import/goods/food/importing-korean-food, www.agriculture.gov.au/import/online-services/bicon
ㅇ 호주에서 요구하는 식품 라벨링 규정에 맞게 영문 패키징을 하거나 스티커를 부착해야 함(멜버른 무역관의 해외시장뉴스 - 새롭게 바뀐 호주의 원산지 표시 라벨 참고).
□ 시사점
ㅇ 호주에서 한국산 김이 품질과 가격면에서 인지도가 상승하면서 한국에서의 수입량이 지속 증가할 전망임.
- 김스낵이 건강 스낵으로의 알려지면서 OEM으로 한국에서 제조된 김 제품이 현지 대형 슈퍼마켓 체인과 유기농식품 전문점에 입점
- 호주에서는 조미김을 밥반찬이 아닌 스낵으로 먹으며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소포장 제품이 경쟁력이 있음.
ㅇ 호주 식품 바이어 K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호주 시장에 한국의 김 업체가 많이 진출해 있어 가격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임.
- 이미 현지 시장에 있는 제품과 차별화를 위해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다양한 맛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함.
- 특히 차별화 전략으로 호주 식품 시장에서 오가닉 트렌드가 확산되고 김스낵이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있는 만큼 유기농 인증을 받은 한국산 김을 선호함.
호주의 유기농 인증기관 로고

ㅇ 호주에서 가장 큰 규모의 오가닉 및 건강식품 관련 전시회인 Naturally Good Expo Australia이 시드니에서 매년 개최
- 국내업체에서는 현지 시장조사와 함께 호주 전시회에 참가해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제품을 홍보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음.
- 이와 더불어 샘플 및 영문 카탈로그를 관련 업체에 발송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거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이 요구됨.
호주 Naturally Good Expo 정보
전시회명 |
|
개최도시 / 행사일 | 호주 시드니 / 2019.6.2-3 |
전시품목 | 건강, 오가닉, 천연 제품 |
규모 | 매년 450개 전시업체와 6000명의 방문객 참가 |
웹사이트 | naturallygood.com.au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Retail World Magazine, 호주 농림부, The Australian, KOTRA 멜버른 무역관 인터뷰 및 자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