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학지위언
☞ 언(言)은 자(字)와 같은 뜻으로 곧 ‘학자(學字)의 뜻은’이다.
*주-기진
☞ 내각본(內閣本)에 기심(其心)으로 오기(誤記)된 것을 바로 잡았다
*주-불견시이무민
☞ 견(見)은 받다의 뜻이며, 시(是)는 옳게 여기는 것으로
《주역(周易)》〈건괘(乾卦) 문언전(文言傳)〉에 보인다.
*주-거직조제왕
☞ 조(錯)를 가(加)의 뜻으로 보아 정직한 사람을 들어 써서 굽은 사람 위에 올려놓다로 해석하기도 한다.
아래의 거왕조제직(擧枉錯諸直)도 이와 같다.
*주-서
☞ 《서경(書經)》에 유효(惟孝), 우우형제(友于兄弟)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자(朱子)는 서운효호(書云孝乎)
에서 구(句)를 떼었으나, 이는 서운(書云) 효호유효(孝乎惟孝)로 떼에 《서경(書經)》에 ‘효(孝)한다 효(孝)하여’의
뜻으로 풀이하여야 한다는 설(說)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주-소이위현
☞ 본래의 뜻은 흰 비단에다가 채색을 가(加)한다는 내용인데, 자하(子夏)는 흰 비단으로 채색을 한다는 것으로
잘못 알고 의문한 것이다.
*주-일시
☞ 산일(散佚)된 시(詩). 곧 《시경(詩經)》에 수록(收錄)되지 않은 시(詩).
*주-기이
☞ 기(豈)는 어쩌면 또는 아마도의 뜻.
*주-궤우
☞ 사냥할 때에 말 모는 법식(法式)에 맞지 않게 짐승을 만나게 하여 잡는 것으로, 부정한 방법으로 성공하는
것을 비유하며, 위지범(爲之範)은 위지범아치구(爲之範我馳驅)의 줄임 말로, 말을 몰 때에 법식(法式)에 맞게
하는 것을 뜻하는 바 《맹자(孟子)》〈등문공하(¦!文公下)〉에 자세히 보인다.
*주-반지
☞ 반(反)은 복(復: 되찾다)의 뜻으로 본성(本性)을 회복했음을 뜻한다.
*주-오우
☞ 인자하고 청렴하기로 이름 높았던 오우(吳祐)가 교동후상(膠東侯相)으로 있을 때의 일이다.
그의 밑에 색부(嗇夫)라는 하급관리(下級官吏)로 있던 손성(孫性)이 은밀히 백성들에게 세금을 더 거두어 옷 한
벌을 장만해서 그의 아버지에게 바쳤다. 그의 아버지가 이 사실을 알고는 손성(孫性)을 꾸짖고 옷을 돌려주며
상관을 찾아가 사실대로 아뢰고 벌을 받게 하였다. 이 내막을 들은 오우(吳祐)는 손성(孫性)이 부친에게 옷을
만들어 드리기 위하여 부정한 일을 했으니, 이는 바로 ‘관과지인(觀過知仁)’이라 하고, 그 옷을 다시 그의 부친
에게 갖다 드리게 하였다. 《후한서(後漢書)》〈오우전(吳祐傳)〉
*주-무가무불가
☞ 가(可)는 가(可)하게 여겨 반드시 하는 것이요, 불가(不可)는 불가(不可)하게 여겨 반드시 하지 않는 것으로
아래 〈미자편(微子篇)〉에 보인다.
*주-유천지명
☞ 《시경(詩經)》〈주송(周頌) 유천지명편(維天之命篇)〉의 내용으로, 천도(天道)가 변함없이 운행(運行)함을
말한 것이며, 건도변화(乾道變化) 각정성명(各正性命)은 《주역(周易)》건괘(乾卦) 상전(象傳)의 내용으로
천도(天道)가 변화하여 만물(萬物)을 생육(生育)하면 이에 따라 만물(萬物)이 각기 성명(性命)을 얻음을 뜻한다.
*주-충서
☞ 《중용(中庸)》에서 말한 충서(忠恕)는 현인(賢人)이나 학자(學者)들이 행하는 것으로,
《논어(論語)》에서 말한 힘쓰지 않고 저절로 행하는 공자(孔子)의 충서(忠恕)와는 다름을 나타낸 것이다.
*주-애일지성
☞ 부모(父母)를 섬길 수 있는 날짜가 적음을 안타까워하여 하루라도 더 정성껏 봉양하려고 노력하는
효성(孝誠)을 말한다.
*주-하왈호
☞ 《예기(禮記)》〈명당위(明堂位)〉에 ‘하후씨지사련(夏后氏之四璉) 은지륙호(殷之六瑚)’라 하였으니,
집주(集註)의 하왈호상왈련(夏曰瑚商曰璉)은 하왈련(夏曰璉)•상왈호(商曰瑚)의 오기(誤記)이다.
*주-불기
☞ 앞 〈위정편(爲政篇)〉의 군자불기(君子不器)에서 나온 것으로, 그릇은 한 가지에만 유용하게 쓰일 뿐이며,
서로 통하지 못한다. 군자(君子)는 덕(德)이 구비되어 어디에든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에 군자(君子)는 그릇처럼
쓰임이 국한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주-행행자호
☞ 행행(탣탣)은 고집이 세고 성을 잘 내는 것이며, 자호(自好)는 자신의 지조를 아끼는 것으로,
《맹자(孟子)》〈만장상(萬章上)〉의 향당자호자(鄕黨自好者)에서 나온 것이다.
*주-장문중불인자삼
☞ 이 내용은 《춘추좌전(春秋左傳)》 문공이년조(文公二年條)에 자세히 보인다.
*주-절비노팽
☞ 아래 〈술이편(述而篇)〉에 보이는 말로, 좌구명(左丘明)을 높이고 친근히 여김을 나타내는 말이다.
*주-여소부자
☞ 언해본(諺解本)에는 ‘내 부(否)할 바인댄’으로 해석하였으나, 집주(集註)와 부합하지 않으며, ‘내 맹세하는
말이 예(禮)에 부합하지 못한다면’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단 소(所)를 약(若)의 뜻으로 보아 ‘내 행위가 만일
도리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나, 집주(集註)에 충실한다는 뜻에서 위와 같이
해석하였음을 밝혀둔다.
*주-최경
☞ 제(齊)나라 장공(莊公)을 시해한 최저(崔°5)와 이에 가담한 경봉(慶封)을 가리킨다.
*주-무가불가
☞ 가(可)는 가(可)하다고 여겨 반드시 하는 것이요, 불가(不可)는 불가(不可)하다고 여겨 반드시 하지 않는
것으로, 아래 〈미자편(微子篇)〉에 ‘무가무불가(無可無不可)’라고 보인다.
*주-민선
☞ 주자(朱子)는 이렇게 해석하였으나, ‘민선구의(民鮮久矣)’로 보아 ‘백성은 오래하는 이가 적다.’로 해석
하기도 한다.
*주-불유불감당
☞ 불유(不惟)는 비단(非但)과 같은 말. 당(當)은 자처함. 곧 비단 작자(作者)의 성인(聖人)에 당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는 뜻.
*주-불감현연자부
☞ 현연(顯然)은 드러내놓음. 공공연과 같은 말. 자부(自附)는 스스로 자신을 붙이는 것. 곧 감히 드러내 놓고
옛 현인(賢人)에게 자신을 붙이지도 못했다는 뜻.
*주-심유하
☞ 하(下)는 자신을 낮추는 것으로 겸(謙)과 같은 뜻.
*주-덕즉행도이유득어심자야
☞ 일본(一本)에는 덕자득야(德者得也) 득기도이유득어심(得其道而有得於心)으로 되어 있다.
*주-행장
☞ 행(行)은 세상에 나와서 도(道)를 행하는 것이며, 장(藏)은 은둔하여 숨는 것.
*주-기불가동년이어
☞ 동년(同年)은 동일(同日)과 같은 말로, 똑같이 놓고 말할 수 없다는 뜻.
*주-엽각
☞ 사냥하면서 서로 다투는 것으로, 《맹자(孟子)》〈만장하(萬章下)〉에 보이는데, 뜻은 분명치 않다.
*주-출기불의
☞ 상대방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틈을 타 공격을 가하는 것.
*주-자가욕지위선
☞ 맹자(孟子)는 사람의 등급을 논하면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사람을 선인(善人)이라 하고 자기 몸에 선(善)을
소유한 것을 신인(信人)이라 하고, 선(善)을 충실(充實)한 것을 미인(美人)이라 하고, 충실(充實)하여 빛남이 있는
것을 대인(大人)이라 하고, 대인(大人)이면서 저절로 화(化)한 것을 성인(聖人)이라 하고, 성인(聖人)이면서 측량
할 수 없는 것을 신인(神人)이라 한다〔可欲之謂善 有諸己之謂信 充實之謂美 充實而有光輝之謂大
大而化之之謂聖 聖而不可知之之謂神〕.” 하였으므로, 이것을 인용한 것이다.
*주-서군경
☞ 국빈(國賓)이 떠난 후에 혹시라도 미진(未盡)한 일이 있어 되돌아올까 염려하여 군주(君主)가 서 있기
때문에 “손님이 뒤돌아보지 않고 잘 갔다.”고 말하여 임금의 공경을 풀게 한 것이다.
*주-발기만용
☞ 《의례(儀禮)》〈빙례(聘禮)〉에는 ‘발기언영용(發氣焉盈容)’으로 되어 있다.
*주-인군지혜
☞ 인(仁)은 애(愛)의 뜻.
*주-소식궁핍자득아
☞ 내가 평소 알고 지내던 곤궁한 자가 나의 은덕을 감사해 하는 것으로 이 내용은
《맹자(孟子)》〈고자상(告子上)〉에 보인다.
*주-재어득이
☞ 부득이(不得已)한 경우가 아니고, 그만두어도 괜찮은 처지에 있음을 뜻한다.
*주-불천적역불입어실
☞ 성현(聖賢)의 자취를 밟지 않으면 또한 실내(室內)에 들어갈 수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주-자로유문
☞ 이 내용은 앞의 〈공야장편(公冶長篇)〉에 보인다.
*주-무기지가극
☞ 무가극지기(無可克之己)의 도치문(倒置文)으로, 이길만한 기(己)가 없음을 뜻한다.
*주-유전장지의
☞ 사마우(司馬牛)가 전장(前章)에서 ‘기언야인(其言也휖) 사위지인호(斯謂之仁乎)’라고 재차 물은 것을 가리킨다.
*주-무입이불자득
☞ 《중용(中庸)》 14장(章)에 보이는 말로, 어떠한 환경에 처하든 도리(道理)에 맞게 대처함을 뜻한다.
*주-부자지설군자야
☞ 이 일구(一句)로 보아 “부자(夫子)께서 군자(君子)를 설명하심이여”로 해석하기도 한다.
*주-칭유약자
☞ 《논어(論語)》에서 공자(孔子)는 자(子)로, 제자(弟子)들은 자(字)를 쓰고 이름을 쓰지 않는 것이 상례(常例)
인데, 여기서는 유약(有若)이라고 이름을 직접 쓴 것은, 군주(君主)인 애공(哀公)을 높이기 위하여 군전(君前)
신명(臣名)의 원칙을 따른 것이다.
*주-열이불역
☞ 앞의 〈자한편(子罕篇)〉에 자세히 보인다.
*주-효우
☞ 우(尤)는 과(過)의 뜻으로, 잘못된 행동을 본받는 것을 말한다.
*주-고기소야
☞ 《춘추좌전(春秋左傳)》 양공이십삼년조(襄公二十三年條)에 보이는 말로, 소(所)는 당연(當然)의 뜻으로
해석한다.
*주-이신교
☞ 위정자(爲政者)가 솔선수범하는 것을 말하며, 이언교(以言敎)는 말만으로 가르침을 뜻한다.
*주-선난후획
☞ 앞의 〈옹야편(雍也篇)〉에 보이는 내용으로, 어려운 일을 먼저하고 소득을 뒤에 한다는 뜻이다.
*주-궐의
☞ 의심스럽고 자신이 없는 것은 빼놓고 말하는 것. 앞의 〈위정편(爲政篇)〉에 보인다.
*주-소인지사
☞ 《맹자(孟子)》〈등문공상(¦!文公上)〉에 보이는 바, 맹자(孟子)는 진상(陳相)과의 문답에서,
대인(大人)의 일이 있고 소인(小人)의 일이 있으니, 대인(大人)은 백성을 다스리고 소인(小人)은 다스림을 받는
다고 하여, 소인(小人)을 백성으로 말하였다.
*주-불능이삼우반
☞ 이는 앞의 〈술이편(述而篇)〉에 있는 내용으로, “한 모퉁이를 들어주어 세 모퉁이를 반증(反證)하지 못하면
다시 더 말해주지 않았다〔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에서 온 말이다.
*주-형제지국
☞ 주공(周公)과 강숙(康叔)은 모두 문왕(文王)의 아들이다.
*주-서경
☞ 전한(前漢)의 수도인 장안(長安)을 가리킨 것으로, 여기서는 전한(前漢)을 뜻한다. 명제(明帝)는 후한(後漢)의
제 2대 군주이다.
*주-위징헌릉지대
☞ 당태종(唐太宗)이 자기의 부인인 문덕황후(文德皇后)가 죽자, 그 묘(墓)를 소릉(昭陵)이라 하고 정원에
층대를 만든 다음 날마다 올라가 소릉(昭陵)을 바라보았다. 하루는 위징(魏徵)을 데리고 층대에 올라가
소릉(昭陵)을 가리키며 보이느냐고 묻자, 위징(魏徵)은 눈이 아물거려 보이지 않는다고 계속 대답하였다.
이에 태종(太宗)이 “이 앞의 소릉(昭陵)이 보이지 않는단 말인가?” 하자, 위징(魏徵)은 “소릉(昭陵)은 벌써 보았
습니다. 신(臣)은 폐하께서 모후(母后)의 능(陵)인 헌릉(獻陵)을 바라보시는 줄 알았습니다.” 하였다.
이에 태종(太宗)은 눈물을 삼키고 층대를 헐어냈다. 여기서는 공자(孔子)께서 이미 내용을 알고 계시면서도
모르는 것처럼 말씀하셨기 때문에 말한 것이다.
*주-유인이도왈양
☞ 양(攘)은 무엇을 직접 훔치는 것이 아니라, 남의 집 닭이나 개가 자기 집에 들어 온 것을 계기로 훔치는 따위이다.
*주-고수살인
☞ 이 내용은 《맹자(孟子)》〈진심상(盡心上)〉에 나오는 말이다. 도응(桃應)이 맹자(孟子)에게, ‘순(舜)임금이
천자(天子)로 있을 때 아버지 고수(줥첳)가 사람을 죽였다면 사법(司法)의 책임자로 있는 고요(皐陶)가 어떻게
하였겠습니까?’ 하고 묻자, 맹자(孟子)는 ‘고요(皐陶)는 고수(줥첳)를 체포하려 할 것이요,
순(舜)임금은 천자(天子)의 자리를 버리고 이렇게 아버지를 업고 몰래 도망하였을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주-수면앙배
☞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본성(本性)을 잘 기르면 덕(德)스러운 모양이 얼굴에 나타나고, 뒷모습에까지
넘친다는 뜻으로 《맹자(孟子)》〈진심상(盡心上)〉에 보인다.
*주-독공이천하평
☞ 천자(天子)가 공경(恭敬)하는 마음을 지극히 하면 천하가 저절로 평하게 된다는 뜻으로 《중용(中庸)》
삼십이장(三十二章)에 보인다.
*주-기지유소불위
☞ 지조가 있어 나쁜 짓을 절대로 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주-화이부동
☞ 화(和)는 맹목적으로 부화(附和)하지 않고 이견(異見)이나 이의(異議)를 적절히 조화(調和)하는 것이며,
동(同)은 맹목적으로 남의 의견에 부화뇌동하는 것이다.
*주-기월삼년백년일세대국오년소국칠년지류
☞ 기월(朞月)은 1년으로, 기월(朞月)과 삼년(三年)이란 자로편(子路篇)의 ‘여유용아자(如有用我者) 수기월이이
가야(雖朞月而已可也)와 삼년유성(三年有成)’을 가리키며, 백년(百年)은 역시 앞의 ‘선인위방백년(善人爲邦百年)
역가이승잔거살의(亦可以勝殘去殺矣)’를 가리킨다. 일세(一世)는 30년으로 이 말 역시 앞의 ‘여유왕자(如有王者)
필세이후인(必世而後仁)’을 가리킨다. 대국오년(大國五年), 소국칠년(小國七年)은 《맹자(孟子)》
〈이루상(離婁上)〉의 ‘사문왕(師文王) 대국오년(大國五年) 소국칠년(小國七年) 필위정어천하(必爲政於天下)’를
가리킨다.
*주-외지지사
☞ 그를 싫어하여 외면하는 말.
*주-천하지달덕
☞ 달덕(達德)은 사람이 공통적(共通的)으로 간직하고 있는 덕(德). 《중용(中庸)》에 “지(智)•인(仁)•용(勇)은
천하지달덕(天下之達德)이다.” 하였는데, 지지명(知之明)은 지(智), 신지독(信之篤)은 인(仁), 행지과(行之果)는
용(勇)으로 보아 말한 것이다.
*주-여인위선
☞ 《맹자(孟子)》〈공손추상(公孫丑上)〉에 보이는바 주자(朱子)는 ‘남의 선행(善行)을 칭찬해 주어 더욱
열심히 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나 여기서는 허여해 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주-춘추주의지법
☞ 주의(誅意)는 행위로는 드러나지 않았으나, 나쁜 마음이 있으면 그것을 주벌(誅罰)하는 것.
《춘추(春秋)》에서는 실제로 죄를 짓지 않았어도 그 사람의 속마음을 미루어 죄인(罪人)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주의(誅意)라 한다.
*주-자경어구독
☞ 스스로 목매어 죽어서 시신(屍身)이 도랑에 뒹구는 것.
*주-관중지여환
☞ 관중(管仲)이 환공(桓公)을 상대함에 있어서의 뜻. 신지여군(臣之與君), 자지여부(子之與父)도 모두 이와 같다.
*주-건성지난
☞ 건성(建成)은 당고조(唐高祖)의 장자(長子)로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의 형이었는데, 세자(世子)로
책봉(冊封)된 후 이세민(李世民)의 강력한 세력을 미워하여 살해할 것을 도모하다가 도리어 죽임을 당하였다.
*주-고로
☞ 몸이 늙어서 벼슬할 수 없다고 임금께 아뢰는 것으로, 치사(致仕)와 같은 뜻이다.
*주-군자순천리
☞ 내각본(內閣本)에 군자반천리(君子反天理)로 되어 있는 것을 바로잡았다.
*주-불매어소종
☞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위인지학(爲人之學) 중 어느 것을 따라야 할 것인가를 밝게 안다는 뜻.
*주-유기지
☞ 같은 종류의 내용을 모아 기록하는 것.
*주-불감진
☞ 집주(集註)의 불감진(不敢盡), 욕유여(欲有餘)는 《중용(中庸)》 십삼장(十三章)의 “부족(不足)하기 쉬운 것
[행실]은 감히 힘쓰지 않을 수 없으며, 유여(有餘)하기 쉬운 것[말]은 감히 다하지 못한다〔有所不足不敢不勉
有餘不敢盡〕는 내용에 근거하여 풀이한 것이다.”
*주-기서유부동
☞ 앞의 〈자한편(子罕篇)〉에도 위와 같은 내용이 보이는데, 단 지자불혹(知者不惑)이 인자불우(仁者不憂)의
앞에 있어 순서가 바뀌었기 때문에 한 말이다.
*주-서서
☞ 주자(朱子)는 의의(依依)로 해석하여 세상을 잊지 못한다는 뜻으로 풀이하였으나 일반적으로는 황황(遑遑)과
같은 뜻으로 보아, 정처없이 사방에 떠돌아 다님을 이르는 말로 해석한다.
*주-달존
☞ 누구나 공통적(共通的)으로 높이는 것. 《맹자(孟子)》〈공손추하(公孫丑下)〉에 “작(爵)•치(齒)•덕(德)을
삼달존(三達尊)이라 한다.” 하였다.
*주-간이
☞ 간(簡)은 번거롭지 않은 것이며, 이(易)는 어렵지 않은 것으로, 《주역(周易)》〈계사전(繫辭傳)〉에 ‘건이이
지곤이간능(乾以易知坤以簡能)’이라고 보인다.
*주-하학상달
☞ 인간이 행해야 할 도리(道理)를 배우면서 오묘한 천리(天理)를 통달하는 것으로, 하학인사(下學人事)•상달
천리(上達天理)의 줄인 말이다.
*주-의재언표
☞ 뜻이 넓어서 말의 범위 밖에 있는 것. 곧 깊고 넓은 뜻이 드러나지 않게 내포(內包)되어 있음을 말한다.
*주-고유혹지어공백료
☞ 주자(朱子)는 한 구(句)로 해석하였으나, 고유혹지(固有惑志)에서 끝내고 어공백료(於公伯寮)에 오력유능
사제시조(吾力猶能肆諸市朝)로 연결하는 해석이 있음을 밝혀둔다.
*주-지세지불가이불위
☞ 세상을 바로잡을 수 없음을 알고 체념하여 포기함을 뜻한다.
*주-이의섭수왈려
☞ 이 내용은 두 가지 해설이 가능한바, 첫째는 ‘이의(以衣)’를 옷을 입은 채 건너는 것으로 보는 해석인데,
옷을 입은 채로 깊은 물을 건너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쪵)를 다리로 보아 ‘깊은 물은 옷을
입은 채 다리 위로 건넌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여(쪵)와 게(揭)가 모두 교량이 없는 상황에서 물의 깊고 얕음에
따라 도섭(徒涉)하는 것이며, 만일 교량이 가설되어 있다면 얕은 물이라도 교량을 이용하지 않고 굳이 옷을 걷고
건널 이유가 없는 것이다. 둘째는 이의섭수(以衣涉水)의 ‘의(衣)’를 쇠코잠방이[지금의 팬티 따위]로 보고,
건의섭수(죨衣涉水)의 ‘의(衣)’를 치마[바지]로 보아 깊은 물에서는 겉옷은 벗고 쇠코잠방이만 입은 채로 건넌
다는 해석이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도 이 설(說)을 주장하였으나 똑같은 ‘의(衣)’자(字)를 하나는 쇠코
잠방이로, 하나는 치마로 보는 것도 곤란하다. 이 때문에 정수덕(程樹德)의 《논어집석(論語集釋)》에는
‘춘추전(春秋傳) 사극좌우지왈이(師克左右之曰以) 당시범거읍제병(當時凡據邑提兵) 개왈이이유제지지의(皆曰
以以有提持之意) 고수지물역가위지이(故手持物亦可謂之以) 이의섭수왈려(以衣涉水曰쪵) 언수지상천(言水之
尙淺) 가구의이도(可즥衣以渡) 수지심야(水之深也) 필해의지지(必解衣持之) 부대이섭야(負戴以涉也)’라 하여,
‘이(以)’를 ‘갖다’의 뜻으로 보아 겉옷은 벗어 손에 쥐고 속옷만을 입고 가는 것으로 해석하였는바, 여기서는
후자(後者)의 해석을 따랐음을 밝혀둔다.
*주-예달이분정
☞ 예(禮)가 상하(上下)에 모두 시행되어 각기 맡은 직분을 다하는 것으로, 《예기(禮記)》〈예운(禮運)〉에
보인다.
*주-사령
☞ 용(龍)•봉(鳳)•구(龜)•인(麟)의 네 영물(靈物)로, 천하(天下)에 선정(善政)이 베풀어지면, 이것들이 세상에
나타난다 한다.
*주-체신달순
☞ 《예기(禮記)》〈예운(禮運)〉에 보이는 말로, 주자(朱子)는 “체신(體信)은 이 도(道)를 몸에 체행(體行)하는
것이니, 충(忠)에 해당하고, 달순(達順)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의 정(情)이 발(發)하여 모두 예절(禮節)에 맞는
것이니, 서(恕)에 해당한다.” 하였다.
*주-이사
☞ 걸터앉아서 공자(孔子)를 맞이함을 말한다. 고례(古禮)에는 걸터앉는 것을 오만무례한 행동으로 보았기
때문에 공자(孔子)가 꾸짖으신 것이다.
*주-총이
☞ 총애하여 특별히 대우하는 것.
*주-부인지인
☞ 부인지인(婦人之仁)은 차마 못하는 마음이 지나쳐서 일을 결단하지 못함을 이르며, 필부지용(匹夫之勇)은
하찮은 일을 참지 못함을 이른다.
*주-우직우량우다문
☞ 정직한 이를 벗삼으며 성실한 이를 벗삼으며 문견이 많은 이를 벗삼는다로 해석하기도 한다.
우편벽(友便µ?) 이하도 이와 같다.
*주-수유불존언자
☞ 불존(不存)은 양심(良心)이 보존되지 못한 것으로, 《맹자(孟子)》〈진심하(盡心下)〉에 ‘양심막선어과욕
(養心莫善於寡慾) 기위인야과욕(其爲人也寡慾) 수유불존언자과의(雖有不存焉者寡矣)’라고 보인다.
*주-사성
☞ 《맹자(孟子)》〈이루상(離婁上)〉에 ‘성자천지도야(誠者天之道也) 사성자인지도야(思誠者人之道也)’라고
보이는데, 성(誠)은 힘쓰지 않고 저절로 도리(道理)에 맞는 것이요, 사성(思誠)은 도리(道理)에 맞게 하려고
노력함을 뜻한다.
*주-성불이부역지이이
☞ 호씨(胡氏)는 ‘성불이부(誠不以富)요 역지이이(亦祇以異)라하니 기사지위여(其斯之謂與)인저’를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시경(詩經)》에 ‘진실로 부유함 때문이 아니요, 다만 특이한 행위가 있기 때문이다.’하였으니,
바로 이것을 말함이다.”라고 해석한 것이다.
*주-기도재
☞ 도(徒)는 공연(空然)의 뜻으로, 어찌 아무런 이유가 없겠는가라는 말이다.
*주-무가무불가
☞ 아래 〈미자편(微子篇)〉에 보이는 말로, 꼭 한다는 것도 없고, 꼭 안 한다는 것도 없어, 때에 따라 도(道)에
맞게 함을 이른다.
*주-가함가망
☞ 함(陷)은 우물에 빠지는 것으로, 위의 〈옹야편(雍也篇)〉에 “군자가서야(君子可逝也) 불가함야(不可陷也)”
라고 보이며, 망(罔)은 터무니없는 것에 속는 것으로, 《맹자(孟子)》〈만장편(萬章篇)〉에 “군자가기이기방
(君子可欺以其方) 난망이비기도(難罔以非其道)”라고 보인다.
*주-주정색
☞ 청(靑)•황(黃)•주(朱)[적(赤)]•백(白)•흑(黑)의 오색(五色)을 정색(正色)이라 하여 좋게 여기고,
자색(紫色)은 흑색(黑色)과 주색(朱色)의 중간색(中間色)이라 하여 좋지 않게 여기기 때문에 말한 것이다.
*주-필이기도이불자실언
☞ 유하혜(柳下惠)의 행실을 기록한 내용으로 《맹자(孟子)》〈공손추상(公孫丑上)〉에 보인다.
*주-역접여지의
☞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여겨 공자(孔子)를 만나보지 않은 접여(接輿)의 생각과 같은 것임을 말한 것이다.
*주-일민
☞ 학문과 덕행이 있으면서 초야에 묻혀 벼슬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킨다.
*주-방언
☞ 말을 함부로 하는 것.
*주-유불 가지자존언
☞ 《맹자(孟子)》〈진심하(盡心下)〉의 “대인(大人)이면서 저절로 변화된 것을 성인(聖人)이라 하고 성인(聖人)
이면서 측량할 수 없는 것을 신인(神人)이라 한다〔大而化之之謂聖 聖而不可知之之謂神〕.”는 말씀에서 나온 것이다.
*주-견이위우원이활어사정
☞ 견(見)을 받다, 입다의 뜻으로 해석하였으나, ‘당시 제후왕들이 맹자(孟子)를 보고서 우원(迂遠)하여 사정
(事情)과 멀다고 여겼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주-합종연횡
☞ 종(從)은 종(縱)과 같고 횡(衡)은 횡(橫)과 같은 바, 합종(合從)은 당시 중국(中國)의 초(楚)•연(燕)•제(齊)•
한(韓)•위(魏)•조(趙) 등 동쪽에 위치한 6개국(個國)이 연합하여 진(秦)에 대항함을 가리키며, 연횡(連衡)은
이들 6개국(個國)이 진(秦)을 섬김을 가리킨다.
*주-존십일어천백
☞ 천(千) 중에 십(十)이 남아 있고 백(百) 중에 일(一)이 남아 있음을 뜻한다.
*주-언주리
☞ 주리(侏離)는 말뜻이 통하지 않는 오랑캐의 언어를 가리킨다.
*주-학이도지처
☞ 주자(朱子)는 지(至)가 마땅히 성(聖)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므로 성(聖)으로 해석하였다.
*주-태사공
☞ 태사(太史)는 사관(史官)을 지칭한 것으로 사마천(司馬遷)의 존칭이다. 이 내용은 사마천(司馬遷)이 지은
《사기(史記)》의 〈맹자열전(孟子列傳) 찬(贊)〉에 보인다.
*주-방어리이행다원
☞ 《논어(論語)》〈이인편(里仁篇)〉에 있는 공자(孔子)의 말씀으로, 방(放)은 의(依)[따름]의 뜻이다.
*주-재성보상
☞ 재(財)는 재(裁)와 통하며 상(相)은 돕다의 뜻으로, 재성(財成)은 지나침을 억제하는 것이고, 보상(輔相)은
부족함을 돕는 것이며, 좌우(左右)는 백성을 가르치고 인도하는 것이다. 이 내용은 《주역(周易)》〈태괘(泰卦)
상전(象傳)〉의 “하늘과 땅이 사귐이 태(泰)이니, 군주가 이것을 보고서 천지(天地)의 도(道)를 재성(財成)하며,
천지(天地)의 마땅함을 보상(輔相)하여 백성을 좌우(左右)한다.〔天地交泰 后以 財成天地之道輔相天地之宜
以左右民〕”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주-칠국
☞ 전국시대(戰國時代)의 강대국(强大國)인 진(秦)•초(楚)•연(燕)•제(齊)•한(韓)•위(魏)•조(趙)의
7개국(個國)을 가리킨다.
*주-후렴어민
☞ 내각본(內閣本)에는 후렴어인(厚斂於人)으로 되어 있는바, 뜻은 같으나, 원본(元本)을 따라 바로잡았다.
*주-생형벌
☞ 주자(朱子)와 간재(艮齋)의 음훈(音訓)을 따라 신벌(愼罰)의 뜻으로 해석하였으나, 언해본(諺解本)에 모두
음(音)이 생으로 표기되어있으며, 중국본(中國本)에도 감(減)의 뜻으로 보아 ‘형벌을 줄이다’로 해석한 것이
있음을 밝혀둔다.
*주-이수예의
☞ 내각본(內閣本)에는 이수예교(以修禮敎)로 되어 있다.
*주-유천리즉가이벌지
☞ 천리(天吏)는 하늘의 뜻을 받들어 죄가 있는 자를 토벌하고, 덕이 있는 자를 높여주는 것으로,
이 말은 아래 〈공손추하(公孫丑下)〉에 ‘위천리즉가이벌지(爲天吏則可以伐之)’라고 보인다.
*주-절지
☞ 주자(朱子)는 나뭇가지를 꺾는 것으로 해석하였으나, 조기(趙岐)의 주(註)에는 안마하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며,
이는 맹자(孟子)가 출생(出生)한 지방의 방언(方言)이라 한다.
*주-차상농부
☞ 한 집안에 식구가 9인(人)인 것을 상농부(上農夫)라 하기 때문에 여덟 식구를 다음의 상농부(上農夫)라 한
것이다. 고대(古代)에는 농사작업이 모두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였으므로, 식구가 많으면 노동력이 풍부하여
비배관리(肥培管理)를 잘한다 하여, 식구가 많은 집안을 상농부(上農夫)라 하였다.
*주-악락
☞ 집주(集註)에는 ‘악락’으로 음(音)이 표시되어 있으나, 문법(文法)에 맞게 ‘낙악’으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음을 밝혀둔다.
*주-남면지락
☞ 남면(南面)은 남향(南向)으로, 군왕(君王)이 정사를 보는 자리, 즉 군왕이 누리는 즐거움을 뜻한다.
*주-필용소무
☞ 소무(韶舞)는 순(舜)임금의 음악(音樂)인데, 가장 좋은 음악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성(鄭聲)은 정(鄭)나라의
음악인데, 정(鄭)나라에는 음풍(淫風)이 유행하여 시(詩)와 음악이 모두 음탕하였다.
이 내용은 《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에 ‘악즉소무(樂則韶舞) 방정성(放鄭聲)’이라고 보인다.
*주-함영소호
☞ 함(咸)은 함지(咸池)로 황제(黃帝)의 음악이고, 영(英)은 오영(五英)으로 제곡(帝줱)의 음악이며,
소(韶)는 순(舜)임금의 음악이고, 호(濩)는 탕왕(湯王)의 음악인데, 모두 훌륭한 정악(正樂)이라 한다.
*주-하언왈
☞ 주자(朱子)는 끝까지 모두 하언(夏諺)으로 보아 이렇게 설명하였으나, ‘오왕불유(吾王不遊) 오하이휴오왕
불예(吾何以休吾王不豫) 오하이조(吾何以助)’까지만을 하언(夏諺)으로 보고, 그 다음은 안자(晏子)의 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임을 밝혀둔다.
*주-군행사종
☞ 《춘추좌전(春秋左傳)》〈정공(定公)〉 4년조(年條)에 ‘군행사종(君行師從) 경행려종(卿行旅從)’이라고
보이는 바, 사(師)는 2천 5백 명의 군대이고, 여(旅)는 5백 명의 군대이다.
*주-폐시실사
☞ 기회를 놓치고 할 일을 제때 하지 못하는 것으로 황(荒), 망(亡)을 해석한 것이다.
*주-삼왈각위민
☞ 오성(五聲) 중에 첫 번째인 궁(宮)은 군(君)이 되고, 두 번째인 상(商)은 신(臣)이 되고, 세 번째인 각(角)은
민(民)이 되고, 네 번째인 치(徵)는 사(事)가 되고, 다섯 번째인 우(羽)는 물(物)이 된다.
*주-천명천토
☞ 《서경(書經)》〈고요모(皐陶謨)〉에 ‘천명유덕(天命有德) 오복오장재(五服五章哉) 천토유죄(天討有罪)
오형오용재(五刑五用哉)’라고 보인다.
*주-하이이어교옥인조탁옥재
☞ 관본언해(官本諺解)와 율곡언해(栗谷諺解)에는 ‘옥인(玉人)에게 옥(玉)을 조탁(彫琢)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느냐’는 뜻으로 해석하여, 옥(玉)을 다룰 줄 모르는 왕(王)이 옥공(玉工)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고 훈수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는 내용으로 보았는 바, 이는 〈양혜왕상(梁惠王上)〉의 ‘하이이어척인이살
지왈(何以異於刺人而殺之曰) 비아야(非我也) 병야(兵也)’의 문법(文法)과 동일(同一)하여 일리(一理)가 있으나,
간재(艮齋)의 해석 및 중국본(中國本)을 참고하여 위와 같이 해석하였다.
*주-일이십량
☞ 집주(集註) 역시 조기(趙岐)의 주(註)를 따라 20량(兩)으로 설명하였으나, 24량(兩)이 정설이며,
만일(萬鎰)은 그 값어치가 황금(黃金) 만일(萬鎰)임을 뜻한다.
*주-제후불기이회자팔백
☞ 《사기(史記)》〈주본기(周本紀)〉에 “제후(諸侯)들이 날짜를 기약하지 않고 맹진(盟津)에 모인 자가
팔백(八百)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주왕(紂王)을 정벌하여야 한다고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말했다.” 하였다.
*주-피제야
☞ 피(彼)는 제야(齊也)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나,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저 제(齊)나라를’로 해석하여 왔으므로,
그대로 따랐음을 밝혀둔다.
*주-전소위국멸군사지정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양공(襄公)〉 6년조(年條)에 보인다.
*주-증서증자지손
☞ 본문에 증자(曾子)를 선자(先子)[선친(先親)]라고 칭한 것을 보면, 증서(曾西)는 증자(曾子)의 손자(孫子)가
아니고, 그 아들임이 분명하다.
*주-구합제후
☞ 구합(九合)은 규합(糾合)과 같은 말로, 이것은 공자(孔子)께서 관중(管仲)의 공을 칭찬하신 말씀인 바,
《논어(論語)》〈헌문편(憲問篇)〉에 각각 보인다
*주-비지어자
☞ 여기에 비유한 ‘범아치구이불획(範我馳驅而不獲)’과 ‘궤우이획금(詭遇而獲禽)’ 등의 내용은 아래
〈등문공하(¦!文公下)〉에 왕량(王良)의 말로 보인다.
*주-기자역위식
☞ 중국본(中國本)에는 ‘굶주린 자는 먹기가 쉽고, 목마른 자는 마시기가 쉽다.’로 해석한 경우가 있으며,
집주(集註) 역시 이를 분명히 말하지 않았으나, 우리나라 언해본(諺解本)에는 모두 ‘기자(飢者)에 역위식(易爲食)
이며 갈자(渴者)에 역위음(易爲飮)’으로 토(吐)가 붙여져 있어, 아래 〈진심상(盡心上)〉 24장(章)의 ‘관어해자
(觀於海者)에 유어성인지문자(遊於聖人之門者)에 난위언(難爲言)’이라는 문법(文法)과 같이 읽으며,
〈이루상(離婁上)〉 7장(章)의 ‘인불가위중(仁不可爲衆)’과 그 주(註)에 인용한 ‘난위형(難爲兄) 난위제(難爲弟)’
역시 위자(爲字)를 ‘되다’로 풀이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위와 같이 해석하였다.
*주-사십강사
☞ 《예기(禮記)》〈곡례상(曲禮上)〉에 ‘인생십년왈유학(人生十年曰幼學) 이십왈약관(二十曰弱冠) 삼십왈
장유실(三十曰壯有室) 사십왈강이사(四十曰彊而仕)’라고 보이는 바, 체력이 강하여 막 벼슬길에 오름을 뜻한다.
*주-오불췌언
☞ 언해본(諺解本)에 모두 ‘오불췌언(吾不퀚焉)이어니와’로 토(吐)를 붙여, ‘내가 상대방을 두렵게 할 수 없거
니와’로 해석하였으며, 집주(集註) 역시 ‘공구지야(恐懼之也)’로 해석하여, 근거가 있는 듯하나, 간재(艮齋)는
‘오불췌언(吾不퀚焉)이리오’로 토(吐)를 수정하였으며, 중국본(中國本) 역시 대부분 ‘내가 그를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로 해석하였으므로, 위와 같이 번역하였다.
*주-유사어전유
☞ 전유(컉臾)는 국명(國名)으로, ‘전유(컉臾)에 일함이 있다.’는 것은 전유(컉臾)를 정벌할 일이 있음을 뜻하는
것으로, 《논어(論語)》〈계씨편(季氏篇)〉에 보인다.
*주-단미광대이
☞ 내각본(內閣本)에는 ‘대(大)’자가 빠져 있다.
*주-역불족이성인의
☞ 내각본(內閣本)에는 이자(以字)가 빠져있다.
*주-이력복인
☞ 내각본(內閣本)에는 인자(人字)가 인(仁)으로 잘못되어 있다.
*주-칠십자지복공자
☞ 칠십자(七十子)는 70명의 제자(弟子)로, 《사기(史記)》〈공자세가(孔子世家)〉에 “공자(孔子)의 문하(門下)
에 몸소 육예(六藝)를 통달한 자가 72명이었다.” 하였는데, 바로 이들을 가리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