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이 전해 온다.
자로가 옷을 잘 차려입고 공자를 만나 뵙자 공자가 물었다.
“유야! 왜 그리 잘 차려 입었느냐?
옛날에 강물이 문수에서 발원하여 처음 흘러 갈 때는 술잔을 띄울 정도도 되지 못하지만,
강가의 나루에 이르면 배를 서로 묶어두지 않거나 바람을 피하지 않으면 나루도 건널 수 없다.
이는 바로 여러 곳의 물이 많이 모이기 때문이 아니겠느냐?
지금 너의 옷차림이 그렇게 화려하고 얼굴에 자신감이 넘치니, 천하에 누가 너에게 더 보태 주려 하겠느냐?”
이 말에 자로가 얼른 나가 옷을 갈아입고 들어와서는 옷깃을 여미며 공손한 태도를 취하였다.
그러자 공자가 다시 이렇게 일러주었다.
“유야, 잘 기억해 두어라. 내 너에게 말해 주마.
무릇 말을 신중히 하는 자는 떠벌리지 않으며, 행동을 신중히 하는 자는 자랑하지 않는 법이다.
겉모습을 통해 자기가 잘났음을 알리려 하는 자는 소인이다.
따라서 군자는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니 이것이 바로 말의 요체이며,
할 수 있는 것은 할 수 있다고 하고 할 수 없는 것은 할 수 없다고 하니 이것이 곧 행동의 요체이다.
요체만 말하면 지혜로워지고 요체만 실행하면 어질게 된다.
지혜롭고 어질다면 거기에 무엇을 더 보태겠느냐!”
-《한시외전(韓詩外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