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 17:00 ![]() 인천 출발 / 타슈켄트 향발(약 7시간 50분 소요) 20:50 ![]()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 타슈켄트 도착 (시차 4시간)
가이드 미팅 후 호텔로 이동하여 호텔 투숙
|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호텔 조식 후
타쉬켄트 기차역으로 이동 (약20-30분 소요) | ||
---|---|---|---|
08:00 ![]() 고속열차로 타쉬켄트 출발 (약2시간 20분 소요)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21:35 ![]() 부하라 공항 출발 (약 1시간 30분 소요) | ||
---|---|---|---|
23:05 ![]() 타쉬켄트 공항 도착
* 국내선은 현지사정에 따라 항공편 및 출도착 시간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호텔 투숙 및 휴식 | |||
숙박시설 | City palace 또는 동급 | 식사 | 조식:호텔식 중식:현지식 석식:샤슬릭 조식:기내식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호텔 조식 후
: 독립광장, 티무르광장, 지진기념관, 2차대전 기념비, 국회의사당 등
* 항공 이동 시간관계로 관광일정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타쉬켄트 공항으로 이동 | ||
---|---|---|---|
18:00 ![]() 타쉬켄트 공항 출발 (약 1시간 20분 소요) | |||
비쉬켁 (키르키즈스탄) | 20:15 ![]() 키르키즈스탄의 수도 비쉬켁 도착 (시차 : -3시간) (우즈벡보다 한시간 느립니다)
* 국내선은 현지사정에 따라 항공편 및 출도착 시간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이드 미팅 후 호텔 투숙 |
타슈켄트
| ||||||||||||||||||||||||||||||||||||||||||||||||||||||||||
![]() | ||||||||||||||||||||||||||||||||||||||||||||||||||||||||||
|
타슈켄트 레이크사이드 골프코스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
타슈켄트(우즈베크어: Toshkent, Тошкент 토시켄트, 러시아어: Ташке́нт 타시켄트[*], 문화어: 따슈껜뜨)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다.
주민은 우즈베크인 63%, 러시아인 20%, 타타르인 4.5%, 우크라이나인 4%,고려인 2,2%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제조업(농기·광산토목기·직물기·장치류)이 발달하고 있으며, 대규모 면업(綿業) 콤비나트가 있다.
1.역사
어원-튀르크어로 Tash (터키어:Taş [taʃ], 키릴문자:таш)는 돌을 뜻한다. 도시를 뜻하는 Kand, qand, Kent, Kad, Kath, Kud 모두는 마을 혹은 도시를 뜻하는 페르시아어/소그드어 kanda 로부터 유래했다. 그 증거가 Samarkand (사마르칸트), Yarkand (야르칸드), Penjikent 같은 도시 이름에서 발견된 상태이다.
2.지리
타슈켄트는 심켄트와 사마르칸드 사이 길 상에 알타이 산맥 끝자락의 서쪽에 관계시설이 잘 되어있는 평원안 북위 41° 18′ 동경 69° 16′ / 북위 41.300° 동경 69.267°에 위치해있다. 타슈켄트는 치르치크 강과 그곳의 지류 각각의 합류에 위치하며 깊은 퇴적 사토의 침전 상 (15m 위) 에 세워져있다. 진동의 큰 수와 약간의 지진을 경험하는 활발한 지질 구조 지역이다. 1966년에 한 지진은 리히터 규모 7.5로 측정되었었다. 타슈켄트 지역 시간은 UTC/GMT +5 시간이다.
다르칸 근처 거리 풍경
3.행정구역-1981년 11개 구역으로 편성
4.경제
크고 작은 바자르(시장)들이 많다. 이 바자르들은 먹거리 위주이기는 한데, 그뿐 아니라 옷이나 기타 생활 도구들도 많이 취급한다. 이곳에서 파는 먹거리의 가격은 싸다. 주먹만한 토마토 1kG3 1500숨, 큰 수박 하나에 1500숨, 포도 1kg에 800숨, 1.5L짜리 음료수가 1000숨, 쟁반만한 빵(러시아어:리뵤쉬까 우즈벡어:논)이 600숨 정도이다.(2013년 기준 쿠일륙시장(타슈켄트 최대 농산물 시장) 기준) [2]
5.문화
이슬람과 그리스 정교, 거기에 러시아 문화까지 혼합된 다양한 모습의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다. 이슬람식의 음식에 보드카를 곁들이는 이들의 식사 풍경이 이채롭다.
6.건축
러시아 혁명 동안 고대 도시의 대부분 파괴되었고 1966년 지진 때문에 약간만이 타슈켄트의 전통 건축 유산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박물관과 구 소련 시절의 기념물은 많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한 때 30 미터 높이의 레닌 동상이 서있었던 소련 시절에 가장 큰 광장 (독립 광장)인 레닌 동상은 1992년 우즈베키스탄의 지도를 보여주는 지구본으로 바뀌었다.
압둘라 칸 (1557년 ~ 1598년)의 통치시기에 지방 종교 마와란나흐르 무슬림들의 위원회에 의해 부흥 중이었다. 박물관으로 만들자는 대화가 있지만 그것은 현재 모스크로서 이용중이다.
돌의 도시 타쉬켄트
타슈켄트는 서울의 절반 정도 크기로 천산산맥의 지류에서 흘러나온 치르칙 강을 끼고 형성된 오아시스의 도시이다. 과거 실크로드의 중심지였던 이 곳은 모래바람을 뚫고 사막을 건너온 대상들이 여독을 풀며 중국의 비단, 서역의 향료 등 각종 문물을 거래했다.
투르크어로 “돌의 도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타슈켄트는 한때 중국 문헌에서 척지, 석국 등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중국에서는 ‘석국(石國)’으로 불리다가 11세기부터 ‘타슈켄트’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석국(石國)’으로 불린 이유는 우리가 흔히 보는 돌이나 바위가 많은 나라가 아니라, 몽골 등지에서 가져온 원석을 보석으로 가공하여 서양으로 수출했기 때문이다.
타슈켄트가 돌과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금세공업 발달과 관계가 있다. 8세기 중반 압바스 왕조의 이슬람이 중앙아시아에 세력을 미치기 직전까지 조로아스터교를 신봉한 사마르칸트, 발흐와 더불어 타슈켄트는 동서 교역도시로서 몽골 남부 알타이 산맥에서 생산되는 금을 사다가 가공해 팔았다. 금 생산지로서가 아닌 금은 세공업을 중심으로 한 당시 타슈켄트의 무역은 8세기 중반 실크로드의 판도가 서서히 바뀌어 가는 상황에서도 일정기간 금은 세공업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충실히 했다.
중동으로 성지순례를 갈 수 없다면 우즈베키스탄으로 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즈베키스탄은 이슬람 세계의 문화중심지이기도 하다. 현재 타슈켄트 지역에 남아있는 이슬람교 사원들은 대부분 티무르 제국 당시에 건축된 것들이다. 이처럼 타슈켄트는 티무르 제국 이전의 불교와 이슬람 문화의 중앙아시아 진출, 동쪽으로 전래된 이슬람 고유의 건축예술을 잘 보여주는 지역으로 남아있다.
지금은 중앙아시아와 서남아시아를 잇는 중심지로, 국제항공로의 중심지로,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소련다운 분위기를 풍기는 도시가 되었고, 다른 어떤 곳보다 러시아인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어우러져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타슈켄트는 1865년 러시아에 합병되었고, 1930년 소련의 우즈베키스탄공화국 수도에 이어, 1991년 12월 독립된 우즈베키스탄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
세 개의 15세기 묘 무리가 19세기에 회복되었다. 가장 큰 것은 무굴 제국 설립자 바부르의 할아버지 유누스 칸의 묘이다.
19세기 동안 알렉산드로 3세의 첫째 사촌인 니콜라스 콘스탄틴노비치가 러시아 왕관 보석을 수반하는 상당한 그늘진 거래 때문에 타슈켄트로 쫓겨났다. 그의 궁전은 아직도 도시의 중심에 있다. 박물관은 한 때 외무부에 의해 사용된 적이 있다.
모스크바에 있는 레닌의 묘를 디자인했던 알렉세이 시추세프가 제2차 세계대전 일본 제국 포로 노동자의 힘을 빌어 세웠다. 이 극장은 러시아 발레와 오페라를 주최한다.
19세기와 20세기 응용 예술의 더 많은 현대 수집품과 함께, 소그디언 벽화, 불교 조각상, 조로아스터 예술을 수반하는 러시아 이전 시대의 많은 예술품이 있다. 더한 흥미는 타슈켄트로 추방된 로마노프 공작이 그의 궁전을 꾸미기 위해 에르미타시 미술관으로부터 "빌려온" 큰 규모의 미술 수집품이며 결코 되돌아가지 않았다. 그 박물관 뒤는 최초의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율두시 아크훈바에프와 함께 1919년 오시포프의 배반 때문에 러시아 혁명에서 죽었던 볼셰비키의 무덤이 있는 조그만 공원이다.
부유한 차르시대의 외교관을 위한 임무를 했던 그 집은 19세기와 20세기 응용 예술의 소장품이라기 보다는, 그 집 차체가 주요 매력이다.
타슈켄트의 가장 큰 박물관
눈부신 파란 돔과 화려하게 장식한 인테리어를 갖춘 인상적인 건물이다. 내부에 티무르와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의 전시품이 방문자의 관심으로 우열을 타툰다. 바깥의 정원은 말 등에 탄 티무르의 조상을 담고 있으며 도시에서 가장 좋은 정원과 분수의 몇몇에 의해 둘러싸여있다.
7.문화재
우트만 코란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코란으로 간주된다. 655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살인된 칼리프, 칼리패터 라술 알라, 아미르 울 모메닌, 하즈라트 시에드나 우트만 라지 알라후 탈하 안후의 피로 얼룩져있으며, 티무르가 사마르칸트로 가져왔으며, 러시아인들에 의해 전쟁 전리품으로 탈취돼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소재가 이동했다. 1989년 코란은 우즈베키스탄으로 되돌아왔다.
8.행사정보
2009년 타슈켄트가 도시(都市)로서의 모습을 갖춘지 2200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이 행사에는 유네스코의 관련 분과위원들과 전문가들이 참여하기로 했으며, 우즈베키스탄 정부당국은 기존의 역사적 유적을 보수하고 실크로드의 중심도시로서의 면모를 되살릴 수 있는 다양한 건축물을 신축할 예정이다. 또한 이슬람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도시의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가기로 하는 결정문에 공식 서명하였다.
9.스포츠
타슈켄트의 축구 클럽에는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와 FC 부뇨드코르, 두스틀리치 타슈켄트가 있다.
유명한 사이클 선수 드자몰리디네 압두자파로프 (Djamolidine Abdoujaparov)와 바실리스 하치파나기스 (Vassilis Hatzipanagis)가 타슈켄트에서 태어났다. 테니스 선수 데니스 이스토민 (Denis Istomin) 도 이곳 출신이고, 이 도시에 산다.
타쉬켄트
타쉬켄트는 투르크어로 돌(tash)의 나라(kent)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수도로서 인구는 약 213만(98년) 명이다. 지리적으로 천산산맥에 있는 오아시스에 위치하고 시르다르야강(江)의 지류에 접한다. 아시하바드 철도와 오렌부르그 철도와 연결되며, 천산산맥으로 가는 자동차 도로의 기점이기도 하다. 또한 중앙아시아와 서남아시아의 중심지로서 국제 항공로의 중심이기도 하다,
타쉬켄트시(市)의 역사는 불분명하지만 가장 오래된 기록은 BC 1∼2세기로서 이미 중국에서 석국(石國)으로 불리웠다. 이후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다가 7∼8세기부터 투르크계 문화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10세기에는 사만왕조가 지배하면서 중요한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타쉬켄트는 13기경 칭기스칸의 침입이후 몽골 지배로 들어갔고 차가타이 한과 티무르의 지배를 받았다. 16세기부터 남하하는 우즈베크인의 샤이바니왕조 치하에 들어갔다가 코칸트와 부하라의 양 한국에 귀속되었다.
러시아 식민지가 시작되었던 것은 1865년 러시아군이 점령하여 1967년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설치되면서부터이다. 그후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의 중심지로서 1917년 중앙아시아 최초의 혁명 소비에트 자치공화국의 건국이 선언되었다. 1898년에 러시아와 연결된 철도가 완성되었으며, 이후 산업발전이 뒤따랐다. 타쉬켄트는 1930년에 우즈벡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의 수도가 되었으며, 1991년 12월 소련연방의 붕괴와 함께 우즈베키스탄의 수도가 되었다.
타쉬켄트는 거의 2천 년 역사를 지닌 고대도시이지만 현재 고대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1966년에 일어난 지진으로 도시가 거의 파괴되었고 소련 도시 계획자들은 타쉬켄트를 전형적인 러시아 식의 도시로 재건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도 다른 한편에 남아 있는 구시가지는 실크 로드의 오아시스 잔영이 강하게 남아 있다. 타쉬켄트 시가는 크게 나누어 서부의 구시가와 동부의 신시가(제정 말기의 러시아인 식민가)로 되어 있었으나 1966년의 대지진으로 건물이 즐비했던 구시가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 최대 공업도시로서 타쉬켄트에는 면방공장과 타쉬켄트 농기계제작소, 기계 및 다양한 식품가공 산업이 발전하였다. 문화시설로는 공화국 과학아카데미 등 20개의 교육 연구기관과 나보이 기념극장, 함자극장, 국립역사박물관 등이 있다.
카쉬켄트 주요관광지
ㅇ 인민친선궁전(People’s Friendship Palace)
1966년 대지진이후 타쉬켄트 복구 작업에 참여한 소련 국민들의 우정을 기념하기 위하여 인민친선 광장을 설립하여 82년에 완공하였다. 원형극장 형태의 대강당은 4천 여명이 수용 가능하고 8개국 언어 동시 통역도 가능하다.
ㅇ 알리세르 나보이 기념비
우즈벡 민족 문화의 창달자인 알리세르 나보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기념비로서 독립 직후인 1992년에 완성되었다. 완공 기념비의 높이는 27m, 상층부 돔의 직경은 9m로서 외국 국빈 방문시 여기에 헌화하는 것이 관행이다.
ㅇ 바라크 한 마드라샤
1531년에 창건된 이슬람교의 본청으로서 중앙아시아의 이슬람에 관한 중요한 자료를 보관하고 있다.
ㅇ 우즈베키스탄 미술관
1918년에 설립되었으며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미술품를 포함한 중앙아시아의 다양한 화가들의 작품도 소장되어 있다. 36,000여점의 작품과 한국, 일본, 중국, 베트남관도 갖고 있다.
ㅇ 타쉬켄트 역사 박물관(Tashkent Historical Museum of the People of
Uzbekistan) : 1876년에 설립되어 20만종이상의 중앙아시아 지역 역사, 고고학, 인류학에 관한 자료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39-4643
ㅇ 구도시의 쳬리셰이크 사원
타쉬켄트에서 가장 유명한 이슬람 사원으로서 구도시에 있음
ㅇ 쿠일륙 바자르
‘쿠일륙’는 우즈베크어로 ‘양들이 많이 있는 장소’라는 의미이다. 타쉬켄트 외곽에 위치한 최대 시장으로서 많은 고려인 상인들을 여기에서 만날 수 있다.
ㅇ 철수 바자르
타쉬켄트의 대표적인 바자르로서 실크로드 시대의 옛 정취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카페트에서 식료품, 일상용품까지 없는게 없다. 바자르는 시장이라는 뜻이다.
ㅇ 알리세르 나보이 극장 (Arisher Navoi Opera and Ballet Theatre)
우즈벡 최고의 극장으로 오페라와 발레를 공연한다. 이 극장을 지은 사람들은 2차대전이후 일본인 전쟁포로들이다. 중앙아시아의 볼쇼이 극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ㅇ 브로드웨이 거리
시내중심에 위치한 젊음의 거리. 자유와 낭만이 넘친다. 골동품, 장신구, 책들을 팔고 사는 사람들과 데이트를 즐기는 연인들이 거리를 메운다. 서울 동숭동 대학로와 비슷한 분위기. 원래 명칭은 ‘쓰꾸베르’이다.
ㅇ 이빠드롬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열리는 이빠드롬시장은 중앙아시아 최대의 도매시장이다. 1994년 중고자동차시장이 세르겔리로 이전을 하면서 현재의 시장건물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고 자리를 판매하여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취급하는 물건들은 소비재가 대부분이다. 의류, 신발이 주종을 이루며 그 외 문방구, 식기도구, 그릇, 화장품 등 다양한 소비재를 팔고있다. 물건들은 대부분 중국에서 가져오거나 키르기즈스탄 공화국 수도인 비시켁에서 가져온다. 특히 한국제품들이 시장으로 들어오면서부터 현지 우즈벡 국민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ㅇ 우즈벡 중앙인형극장(Central Puppet Theatre of Uzbeck)
전통적 인형극을 감상할 수 있다.
ㅇ 함자우즈벡극장(Khamza Uzbek Drama Theatre)
일반 극영화를 상영하면서도 가끔 전통 우즈벡 가무와 공연 등을 연주하기도 한다.
ㅇ 막심 고리키극장(Maxim Gorky drama theatre) : 현대극과 같은 연극을 공연하고 있다.
ㅇ 우즈베키스탄 국립서커스 극장
러시아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모스크바 서커스 팀과 협동 공연을 자주한다.
ㅇ 우즈베키스탄 국립역사박물관
이슬람문화 중 가장 두드러진 문화재로 칼리프 우스만 이븐 아판이 표준판으로 공표한 원본 '우스만 코란'이 전시되어 있다.
ㅇ 폴리타젤 집단농장
대표적인 고려인 콜호즈로서 폴리타젤 집단농장은 1925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약 22,000명의 주민 가운데 고려인 동포는 약 5,000명 정도이다. 위치는 타쉬
켄트로부터 15Km 정도 떨어진 ‘치르치크’ 강변에 있다. 이 농장의 기원은 농 업집단화에 기여한 기계, 즉 트랙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
2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타슈겐트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며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도시입니다. 시르다리야 강 지류인 치르치크 강변에 자리 잡은 오아시스 도시로 2,000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우즈벡어로 '돌(Tosh)의 도시(Kent)'란 뜻을 가지고 있다고 당나라 역사책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즈베기스탄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해발 440-480미터입니다, 사마르칸트에서는 북서쯕으로 350km 떨어져 있습니다. 인구는 250만명,넓이 (면적)는 245km 입니다. 1966년의 대지진 이후 도시는 계획 적으로 복구, 건설되었으며 현대적인 건물로 가득한 대도시가 되었습니다. 이슬람교육과학문화기구 (ISESCO)는2007년에 타슈켄트를 이슬람 문화의 중심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평균 고도는 해발 480m, 넓이는 350km2 입니다. 타쉬켄트는 1966년 대지진 이후 새로이 건설된 신시가지와 아직도 실크로드의 정취가 남아있는 서북부 일대가 구시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신시가지에는 인민친선궁전, 1992년에 세워진 알리샤나보이기념비, 1918년에 로마노프왕조가 세운 유서깊은 우즈베키스탄미술관, 2차세계대전시 일본군 징용포로들에 의해 건설된 나보이극장을 비롯 박물관, 호텔, 백화점, 우즈벡 젊은이들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브로더웨이거리 등이 반경2km내에 있어 걸어서 관광할 수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의 동립을 기념하는 뜻에서 만들어진 관장으로 우즈베기스탄의 중심을 상징하는 광장입니다. 광장 가운데 세워진 진구본에는 우즈베기스탄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독립하여 새로운 나라가 탄생한 것을 의 미합니다. 2005년 12월에 아이를 품에 안고 기뻐하는 “행복한 어머니” 동상이 세워졌습니다. 이 동상은 “독립과 인도주의 선함과 평화를 좋아하는 성품을 나타냅니다. 광장의 입구에는 아침형 문이 세워져 있습니다. 길이는 150미터, 양 끝의 높이는 12미터입니다. 아치의 가등 16개는 흰색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아치 위에 새겨진 학의 모습은 좋은 곳에만 둥지를 트는 자유로운 새들의 모습을 형상화했으며 따뜻한 봄과 행복, 번창을 의미합니다. 광장의 한 쪽에는 추억의 광장이 있습니다. 그 곳에는 슬퍼하는 어머니 동상과 꺼지지 않는 불이 있습니다. 어머니 동상은 과거에 대한 존경과 2차 세게대전에서 전사힌 각 지역의 젊은이들에 대한 존경을 나타냅니다. 전시되어 있는 책에는 각 지방별로 전사자의 이름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광장 바깔 길가 쪽의 흰색 건물은 우즈베키스탄 상원희 건물입니다.
16 세기에 구축 압둘카심 셰이크의 마드라사는 처음 모스크, 목욕탕와 마드라사를 구성 복잡 했습니다. 이전 얀기 마하나라(Yangi Mahana)는 복잡한이 있는 장소는, 공공센터 중 하나 였습니다. 원래 압둘카심 셰이크 마드라사는 단일 층 건물이 었습니다. 다시 작성 할때 1864 년에 두번째 층이 만들어 졌습니다. 마드라사아치와의 잘 모양 포털이 있습니다. 모서리아 케이드와 두개의 탑 (guldasta)는 양쪽에 포털을 측면에. 사각형 모양 코트야드 모스크, 강의실을 했고 여전히 학생들이 살고 있는 기숙사 세포에 의해 드리워진 됩니다. 오랫 동안 압둘카심 셰이크원 마드라사는 다시거리에서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새로운 당당한 이웃, 의회 건물을 인수했습니다. 현대와 함께, 역사적인 건물은 훨씬더 매력적인 보입니다.
쿠겔다쉬 신학교는 16 세기의 가장 중요한 건축 명소 중 하나 입니다. 정문, 19.7 m. 포털을 부과으로 배치되는 높은 이섹션의 형태로 두층 호스텔 의해 접경 안뜰로 연결 됩니다. 아이반아 (ayvana) – 각섹션은 방입구 틈 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두개 또는 세 학생들이 각방을 점령 했습니다. 그들은 (namaz) 예배를 위한 신자를 호출 할 때 모서리 타워 (guldasta)는 기도 시간을 큰 소리로 알리는 사람 (azanchi)을 위해 봉사 입니다.
주마 모스크 (주금 요일 모스크) 첫 번째 건물은 우바이둘라흐 호자아 아흐러르 셰이크 Ubaidullah Khodja Ahror (1,404에서 1,490 사이) 비용으로 1451 년에 지어 졌습니다.
메인 프라이데이 모스크는 언덕에지 어진; 그러므로 하나는 거리에서 이 거대한 건물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때부터 현재까지, 사람들은 그의 메모리에 우바이둘로 (Ubaydullo) 오류 모스크에 이름을 우바이둘라흐 호자아 아흐러르 모스크 심하게 1868 년지 진에 의해 손상 되었습니다. 가, 20 년 후재 건되었지만, 러시아어 침공, 소련의 경건 정권과의 정치 적재해, 완전 한 쇠퇴에 모스크를 뒀습니다. 새로운 건물이 그 자리에세 졌습니다. 그러자 유적은 1997 년에 아래 로던져 졌습니다.
우바이둘라흐 호자아 아흐러르의 모스크 심하게 1868 년지진에 의해 손상 되었습니다. 가, 20 년 후 재건 되었지만, 러시아어 침공, 소련의 경건 정권과 정치 적재해, 완전 한 쇠퇴에 모스크를 뒀습니다. 새로운 건물이 그 자리에세 졌습니다. 그러자 유적은 1997 년에 아래로 던져 졌습니다.
앗 – 타후르 셰이크호반디 (Sheihantaur)는 13 세기 말에 태어났습니다. 그는 무하마드 선지자의 자손이 었습니다. 성도 가족 (Khodja)에서 왔습니다. 셰이크는 1355과 1360 사이에 사망 했습니다.
Sheihantaur의 묘소 (마자르) 이반 복적으로 그 모양을 변경은, 14 세기 여기에 건립되 었습니다. 그것은 결론 독특한, 현존 하는 최대의 묘비가 있는 옆에 이스칸데르 지금 신성한 SAUR합니다. Saurs - XV 세기에 이미 생명이 있었습니다. 지역품 종의 침엽수림 입니다. 그 들의 기원은 매우 고대의 예언자로 동쪽에 있는 영광의 이름 알렉산더 대왕, 연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칼디르고츠비이 무덤은 우즈베키스탄 드문피라미드 돔과 매장볼트 입니다. TOLE - BIY (털레-비이)는 한번 실제로 타슈켄트을 지배 둘갓 (Duglat) 부족에서 전설적인 판단입니다. 무덤은 15 세기 전반에 건립 되었습니다. 야드장식은 안전하게 보관 되지 않았습니다.
유누스 – 한의 묘소는 세이한타후르 (Sheihantaur)의 무덤 부근에 있습니다. 그것은 오늘 날 볼 수 있는 XV 세기에 지어진 두개의 기념비적인 건물 중 하나 입니다. 모길리스탄 (Mogolistan) (1,415에서 1,487 사이)의 우누스 – 한은 타슈켄트의 통치자들 중 하나 였습니다.
사이바니드의 왕조 타슈켄트을 지배 티무르의 후손에 의해 16 세기에 설립 하스티 이맘 광장과 바락 한 마드라사. 파란 색 타일 모자이크와 코란비문의 화려한외 관은 장미정원 안뜰 35 후즈라(hujra)를 숨깁니다. 이우즈베키스탄의 평복, 공화국공식 이슬람의 머리의 행정 중심지 입니다. 관광객은 내부를 볼 수 있는 권한을 요청 해야 합니다. 바로맞은 바락한 먼저같은 시대에 지어진지 금은 도시에 최고 금요일 모스크로 사용되는 텔리야셰이 크 모스크 입니다. 남성 방문자가 아름다운 이슬람 라이브러리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이맘을 신청 할 수 있습니다.
바락한 마드라사는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 한대 건축물, 중 15 ~ 16 세기에 형성 되었습니다. 초기 몸은 실제복잡한의 영묘에서 동쪽이 었습니다. 두 번째 요소는 타슈켄트의 통치자 소유니드 (Soyunid)한 사이바니 (Shaybani) 1530 년의 2 큐폴라 의묘 – 하나카 (Khanaka)했습니다. 16 세기의 한 가운데에 복잡한는 마드라사로 재배열 했습니다. 단지는 별명이 시간의 통치자, 나브루즈 - 아메드, 바락한 이름을 따서 명명 되었습니다. 바락한 마드라사의 입구 포털은 장식의 방법으로 타슈켄트에 대한 특성이 아닙니다. 그베이는 볼트 "colab - 코리" 고막과 철탑이 새겨진 벽돌과 다양한 모자이크로 장식 되어있습니다. 위를 차지 했습니다.
묘소는 이맘 아부 바키르 이빈알리이븐 이스마일(Imam Abu Bakr Ibn Ali Ibn Ismoil)알카펠알서시 이영광에 내장 했습니다. 첫 번째 매장 볼트는 안전하게 보관 되지않았습니다. 실제 무덤은 당시 한의 건축가 했습니다. 1542년에서굴리암 후사인(Gulyam Husain)에지어 졌습니다. 하나코 (Khanaka)-그 것은 비대칭 돔포털 묘소 입니다. 후즈라스 - 하나카(Hujras–Khanaka)은 살아 있는 세포에서 먼땅에서 순례자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 었습니다. 마우솔레움 '단지는 종종 사원와 주방 식당 (oshkhana)라는 식사 객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남 쪽의 주요 건물작은 마당에 늦은 매장 장소 사가나(sagana)가 있습니다. 영묘는 구운 벽돌로 내장 되어있습니다.
셰이크 자이니딘 버버 무덤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에 있습니다. 셰이크 크자이 흐딘 버버는 수흐라발디야(Suhrawardiyya)로 알려진 수피순서의 작가와 대중화 했습니다. 자신의 출생정확 한날짜는 알 수 없습니다. 생각으로 그는95살 때 셰이크 자이니 딘죽었습니다. 틀림 없이 그 가수 흐라발디야순서의 창시자의 아들, 아스 – 수라 바르드 (AS-Surawardi)와 타슈켄트에 그 아들 셰이크 자이니딘을 보냈습니다(1097 1168), 디야알 -딘아부' 느 – 나지브 (Diya al-din Abu 'n -Najib)했습니다. 그 주문의 아이디어를 확산 하는 목적입니다. 셰이크 자이니딘은 (지금은 타슈켄트 이내) 쿡차 (Kukcha)게이트를 넘어 오리펀(Orifon)마을 묘지에서 지상에 전달 했습니다. 셰이크 자이니딘는14 세기에 자신의40 일명상(살짝) 와 차르탁 (chartak) 데이트를 실시 무덤 지하셀 (12 세기의 칠라호나(chillahona)가) 있습니다. 16 세기에 지어진 무덤은19 세기말에 재건 되었습니다.
잔기아타의 마우 솔레움 -수피, 타슈켄트와 그 아내 암바르 비비(Ambar Bibi)매우인기가-이대로90 년대14 세기에 티무르에 이해 건설 되었습니다. 잔기 아타 실제 이름은 셰이크 아이–호자(AY-Khodja)했습니다. 별명 잔기 아타는 "검은 색"을 의미 합니다. 그는 하즈라트 아르스란 버버(Khazret Arslan Bobo)자손의 가족에 서온; 또한 그는 중앙 아시아 카자흐스탄의 모든 투르크 부족 영적 조상으로 간 주 수피 호자아 아흐마드 야사비이(Hoja Ahmad Yassaviy)다섯 번째 "무리드(murid)"이 었습니다.
묘소 단지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원 나마즈가흐 (Namazgoh)(1870), 미나렛(1914-1915), 잔기 아타, 살아 있는 세포와 안뜰의 무덤-전원 마드라사, 후즈라 –그것에 (18 19다.), 공동 묘지과 암바리 비비의 무덤.
우즈베키스탄 적용 예술의 국가 박물관에서 현대까지XlX세기 전반부터 전통 민속 예술7,000 개 이상의 조각이있습니다. 박물관 컬렉션은 교묘 한 수공 예품 센터로 인식되는 많은 우즈베키스탄 모든 영역으로 표시 됩니다. 전시중에는세라믹, 유리와 도자기 접시를 찾아 걸려것, 손으로 만든기 계자수, 국가직물과 옷, 카펫, 나무 조각 작품, 니스로 칠 한 모형, 보석와 기타 여러가지의 샘플. 박물관은 방문자가 고대 개체과 내부의 모든 매력을 느끼게의 분위기에의 해끕니다. 또한, 지역의 전통 기법을 기준으로 작성 예술 현대 작품의 무역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박 물관은 수집하여, 뿐만아니라 건축 장식미술의 모델을 대표 하는 건물자체에서 뿐만아니라 관심을 맺닙니다.
장식 민속 예술과 우즈베키스탄의 미술, 러시아와 서유럽 예술, 외국 동양 예술 –이박 물관의 컬렉션은 5 개의 섹션에 모인 5 만개 이상의 전시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민속 예술 장식와 응용 예술은 I 세기 기원 전부터 고대에 거슬러 조각으로 표시 됩니다Khalchian성, Varaksha (카라), 과Kuva (페르가나 계곡)의 정착에 - I 세기 AD에 이남부 우즈베키스탄 영토에서 발굴 중에 발견 입니다.
아미르 테무르는 페르시아만까지 카스피해에서 정치가, 군사 지휘 관및의 원 , 위대 한제 국설립자 국경은 중국 만리 장성까지 지중해에서 확산 됩니다.
박물관은 아미르 테무르과 티무르 선자들에 대한 자료수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미르 테무르의 하위항 목중 큰과 학자와 모보런나흐르(Movoronnahr)미르저 울룩벡(MirzoUlugbek), 라산 후세인 버이가로 (Husain Boyqaro), 훌륭한 시인, 역사가, 인도 자흐리딘 무함마드 보부르 (Zahriddin Muhammad Bobur)의 보부르드 (그레이트 모글)의 상태 설립 자통치 자통 치자와 같은유명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박람회는, 고고학 민족학와 화폐재료, 전사무기와 갑옷, 뿐만아니라 위대한 실크로드를 통해 아미르 테무르의 상태로 등 장개체를 보유 하고있습니다. 이러한 아미르 테무르과 유럽군주, 교묘한 모형, 그리고 그 시대에 유럽 예술가들이 이해 그려진 했습니다. 아미르 테무르의 초상화 복사본 그의 자손대 응등이 박물관 귀중 한문서가 있습니다. 그조각 원본은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저장 됩니다.
박물관 박람회는 석기 시대와 현대 시대까지 우즈베키스탄 영역에 있는 첫번째 국가 설립부터, 방문자에게 중앙 아시아에 문명의 장기발전 모든 단계를 상상 할 수있는기회를 제공 합니다. 박물관 많은 전시는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그 중동물 조각 상으로 장식된 V-IV 세기 BC의 대형청 동색슨 가마솥, 또는 수르한다리야 (Surhandarya)지역에서 발견된 I 세기 AD 부처님장 엄한조각이 미지입니다. 박물관은 고대 도자기와 직물 훌륭한 컬렉션이 있습니다. 고대 동전의 큰세트외에, 박물관은 250,000 개 이상전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은 중요한고 고학, 민족학, 화폐의 수집 뿐만아니라, 문서, 역사적 유물과 예술 작품 집합을 보유하고있습니다.
철도 장비 이독특한 박물관은 우즈베키스탄 간선 철도 주년 기념 일을 기리는 이미에서 1989 년 8 월 4 일에 열린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박물관 중 하나 입니다. 많은 흥미로운 전시 중 역사적 기간의 열세 증기가 관차, 대략 20 디젤 전기기 관차, 엔진와 수리 공학 기술자 메커니즘, 타슈켄트 박물관은 철도와 관련된 기술 박물관세 계협회에 포함된 이유는 모두 이유가 있습니다.
(어린 이를 위한 만큼 성인을 위한)의 주 요관광 명소로는 두 마차로 미니디젤 TU 7-A 기 관차를 타고 할 수 있는 기회 입니다.
알리세르 나보이 상태 학술 대 극장은 홀 860 석을 보유 하고 있습니다. 극장의 레퍼토리는 고전 연극, 연극국가 우즈베키스탄 기록을 바탕으로, 전통과 댄스 문화를 포함 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인기있는 이러한 "돈키헛” (Don Kihot), "호두까기 인형", "지젤", "백조의호수", "(1000)천와 하룻밤" 등의 발레 뿐만아니라 프리미어 티켓 티켓은 미리구 입해야 합니다. 오페라 중 가장 인기가 "세비야의 이발사", "카르멘", "아입니다",과 "마술 피리"는합니다. 오페라는 이탈리아어, 러시아어와 우즈베크어 언어로 수행 됩니다. 알리세르 나보이 상태 대 극장은 중앙와 남부 – 동부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그랜드 극장 입니다. 그 무대는 콘세트, 해외 공연, 연극, 축제, 최고의 독주자의 리사이틀과 다양한 축제 이벤트 투어를개최합니다. 극장은, 다른 국제 프로젝트 대회에 참여 대사관과 우즈베키스탄 인증을 외국의 외교 대표들과 협력 합니다.
홀 박람회 광장 (2,500 평방 미터)는국가와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큰 것입니다. 그것은 1974 년에 문을 열었습니다. 그것의 구조는 전시관리 장치, “예술 함로흐와 맍라” (HamrohvaManzara)갤러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50 이상매년) 큰 국제, 공 화당, 개인, 그룹와 교통 개방일을 개최합니다. CEH는 밀접하게 외국 대사관, 문화, 우즈베키스탄인가와 학센터와 협력 합니다.
그것은 컨퍼런스, 심포지엄, 작곡가, 작가, 연극, 영화 배우의 창조 적인 노동 조합의 대표자와 현대 미술, 회의과 저녁의 긴급 한문제에 대한라운드테 이블을 구성합니다. 그것은 카탈로그, 소책자과 전시회 초대장을 생성 합니다.
우즈베키스탄의 미술 작품 매우 풍부한 년을 제시하는 백업 XX 세기 시작 부분에서 데이트 컬렉션 뿐만아니라 중앙 아시아에 고전학의 독특한 컬렉션은 2004 년에 오픈 한 갤러리에서 전시됩니다.
갤러리 현대 장비는 온도, 습도 및 데모 와 전시화물에 대한 보안의 가장 높은 요구 사항의 회의를 촉진합니다. 이 강연 홀, 시네마 홀, 도서관, 마스터 클래스과 예술 스튜디오 스튜디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500 과장 미터 지역, 15 홀 구성 박람회 - 전시 지주 외에, 갤러리 전시회, 컨퍼런스, 세미나, 프리젠 테이션, 비즈니스 미팅와 기타 행사를 수행하기 위해 잘 갖춘 컨퍼런스 홀을 보유하고 있습니바.
타슈켄트 동물 공원은 영토의 22.7 헥타르 있습니다.
가능한 모든 야외 케이지 때마다 가로 타입이었고, 모든 현대적인 요구 사항에 맞습니다. 타슈켄트 동물원 특징은 수족관의 바다 아쿠아 시스템입니다.
바다 아쿠아 시스템에서는 바다 동물을 볼 수 있습니다: 상어, murens, 물고기, 폴립 등 오늘 동물원에 살고: 포유류 - 58 종, 189 표본; 조류 - 74 종, 472 표본; 파충류와 양서류 - 26 종, 81 시편; 물고기 - 191 종, 2,141 표본. 타슈켄트 동물원 전문화 - 맹금류의 재생. 흰색 화살표로 날아 오르는 검은 그리폰과 콘도르 - 구드는 먹이의 조류의 번식에 발생합니다.
동물의 희귀하고 사라지는 종의 재배에 큰 과학적인 작업이 수행됩다.동물원은 전세계 46 동물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과학의 우즈베키스탄 아카데미 식물원 1950 년부터 존재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입니다. 식물원의 전체 면적 66 헥타르와이 타슈켄트에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정원dendrarium 지역 40 헥타르 그리고 동부 아시아, 북 아메리카, 극동, 유럽, 크림와 코카서스 dendroflora 박람회에서 구성되어 있습니다. 4500 이상 종류의 형태, 종류, 나무의 종류는, 덤불, 관목, 덩굴 식물, 잔디와 물 식물은 식물원의 컬렉션에 있습니다.
타쉬켄트
(타쉬켄트)
차치(Чач)-샤쉬(Шаш)-빈켄트(Бинкент)-타슈켄트(Ташкент). 이 이름들은 화려했던
지난 역사를 말해준다.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자 ‘중앙아시아의 수도’라 불리는 타슈켄트는 약 213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대도시이다. 천산산맥의 지류에서 흘러나온 치르칙강을 끼고 형성된 오아시스의 도시이다. 과거 동양과 서양을 잇는 유라시아 횡단 길 실크로드의 중심지였다.
모래바람을 뚫고 사막을 건너온 대상들은 이곳에서 여독을 풀며 중국의 비단, 서역의 향료 등 각종문물을 거래하였다.
타슈켄트라는 명칭은 고구려 유민 출신으로 당나라 장수가 된 고선지 장군이 점령했던 ‘석국’이 바로 타슈켄트이다. 그런데 ‘석국(石國)’은 돌이 유명한 곳이 아니라 보석공예가 유명했던 곳이었다. 실크로드 무역이 활발하던 시대에 중국, 몽골 등지에서 가져온 보석을 재가공하여 새로운 상품으로 만들어 서양에 팔았었다. 그래서 돌(원석)을 보석으로 만드는 나라라는 의미로 석국으로 불렀다고 한다.
오아시스 도시로써의 역사는 길고, 2000년 전에는 ‘차치(Чач)’라는 이름으로 기록에 남아있다. 11세기경부터 ‘타슈켄트’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지게 되었으며, 실크로드의 중계점으로서 가장 번성했던 시기도 이 때쯤이다.
몽골군에 패한 후 티무르제국, 샤이바니 왕조시대가 되어 도시는 부흥하게 된다. 1809년에 코칸트 칸국의 지배하에 들었을 쯤에는 길이 25Km의 성벽에 둘러싸인 인구 10만의 도시로 성장했다.
1865년 러시아군이 점령하여 1867년부터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설치되었으며, 그후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66년 4월 26일에 도시를 최하단에서부터 흔들어버린 대지진으로 도시의 약 70% 파괴되었으나, 이 지진을 계기로 타슈켄트는 현대적 도시로 탈바꿈한다. 소련 각지에서부터 약 3만 이상의 ‘혁명적 노동자’가 투입되어 겨우 2-3년만에 도시를 완전히 새로운 근대도시로 변하게 했다. 건물은 도시계획에 따라 견고하게 다시 지어졌으며, 백화점과 고층 아파트가 들어섰고, 도로 또한 현대화되었다. 특히 각 공화국의 기술자들이 그들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건축양식으로 건물을 지어 현재의 타슈켄트는 건축양식이 매우 다양함을 볼 수 있다. 이때 각 공화국에서 온 노동자들이 거주하면서 세르겔리, 칠란자르 등의 위성도시가 건설되었다.
현재 옛 자취는 일명 ‘구 도시(스따l 고라드)’라고 불리는 북서부지역(철수지역)에 조금
남아있는 유적지와 단층짜리 집(흔히 ‘땅집’이라고 부른다)들을 통해 옛 도시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현재 타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로 철도, 도로, 항공 등의
교통의 중심지로써 국제적인 도시로 변화 중이다.
타슈켄트를 하늘에서 바라보면 넓은 숲을 보는 것 같다. 거리마다 아름드리 나무가 심어져
있어 도시 전체가 큰 공원같이 보인다. 뜨거운 타슈켄트의 여름이지만, 거리 가득한 가로수
아래만 들어가면 시원하다. 평균고도는 해발 480 m이다.
우즈베키스탄 국립 역사박물관 (Исторический Музей) | |
솨라프 라쉬도프 거리 3 = 리 메르디안 호텔 옆, 무스따낄릭 광장 앞 |
티무르 거리 1 = 티무르 광장에 위치
“만약 너희들이 우리의 힘을 확인하고 싶거든, 우리의 건축물을 봐라” 아미르 티무르의 이 말은 그의 고향인 샤흐리 삽스의 악사라이 궁전의 정문에 새겨져있다. 박물관은 타슈켄트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늘색 지붕이 이슬람 사원을 연상케하고 박물관 건물은 은빛 분수와 화려한 꽃들로 둘러싸여 있어, 현대와 고대의 건축술을 융합한 매우 특이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박물관은 아미르 티무르 탄생 660주년을 맞이하여 유네스코의 후원으로 1996년 9월 개관했다. 박물관 내부로 들어서서 아름다운 샹들리에가 있는 천장을 올려다보면 그 화려함과 아름다운 문양에 넋이 나간다. 그리고 대리석 기둥, 대리석 계단 등으로 내부는 매우 화려하다.
10미터의 벽에는 ‘탄생’, ‘성장’, ‘영광(업적)’등의 테마로 나뉘어져 있는 이슬람 양식의 그림이 있으며, 1층에는 대리석의 주춧대 위에 거대한 코란이 놓여있다. 이 코란은 7세기 칼리프 오스만 자이트의 개인 비서에 의해 쓰여진 것이다. 커다란 노란색 종이 위의 아랍글자는 보는이로 하여금 엄숙함을 느끼게 한다. 2층에는 은과 구리로 만든 13-14세기의 동전, 15세기 히바의 화려하게 조각된 나무 기둥, 19세기 부하라 통치자가 입었던 금으로 수놓은 관복, 갑옷, 티무르의 손자인 울루그벡 천문대의 모형, 비비하님 모스크의 모형, 타지마할 묘의 모형 등 찬란했던 티무르 제국의 모습을 전시하고 있다.
아미르 티무르 광장(Площадь Амир Темур) | |
신도시의 중심은 티무르광장이다. 현재 이곳에는 신생 우즈베키스탄의 심볼이라고도 할 수 |
전쟁 기념박물관 (Музей Вооружених сил) | |
위치 : 압둘라예바 거리 98 =‘부육 이팍 율리’지하철역 4거리에서 북쪽으로 약 200m |
쿠켈다쉬 메드레세 (Медресе Кукельдаш) | |
철수 호텔 옆 길가에 쿠켈다쉬 메드레세가 자리잡고 있는데, 16세기 중엽 타슈켄트를 지배하고 있던 샤이바니드 왕조의 고관대신인 쿠켈다쉬가 세운 신학교이다. 구 소련 시절에는 박물관과 창고로 사용되어졌고, 소련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메드레세의 종교적 역할의 중요성 대두와 함께 복원되어 다시 신학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사원의 한쪽에 탑이 자리잡고 있으며, 정면에는 밝은색의 타일을 볼 수 있다. 이곳은 38개의 교실에 2,000여명의 남녀 학생들을 수용 할 수 있으며 5년 과정으로 이슬람 교리를 배운다. 원래 3층 규모였으나, 대지진때 3층은 무너져서 현재는 2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
국민친선광장(Площадь Дружбы народов) | |
1966년 대지진이후 타슈켄트 복구작업에 참석한 전 소련 국민들의 우정을 기념하기 위해서 1982년에 조성하였다. 넓은 광장에는 국민친선 기념비와 대강당이 있다. 원형극장 형태의 대강당은 4천명이 수용가능하며 정치적 모임(옛날에는 주로 공산당 전당대회 장소)이나 음악회가 열리곤 한다. 현재 우즈벡의 100숨짜리 지폐를 보면 나온다. 광장의 왼쪽 옆에는 거대한 ‘나브루즈 결혼식장’이 있는데, 토,일요일 점심시간이 가장 피크이며 이때는 수많은 신혼부부들과 카메라 기사, 하객들로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이들은 결혼식후 나보이 공원을 돌며 기념사진을 찍는다. 뒤편에는 국회의사당이 있다. 국회의사당의 모습은 한국의 것과 매우 흡사하다. |
무스따낄릭 광장(Площадь Мустакиллик) | |
‘무스따낄릭’은 우즈벡어로 ‘독립’이라는 뜻이다. 예전에는 ‘붉은광장’ 혹은 ‘레닌광장’으로 |
김병화 꼴호즈(Колхоз им. Ким Пен-Хва) | |
김병화 꼴호즈는 고려인의 자랑이자 한민족의 자랑이다. 그래서 한국 관광객의 방문 제1순위의 장소이다. 이 머나먼 중앙아시아 땅에 한국인 이름을 딴 거리가 있고, 그의 동상과 기념관이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가슴이 뿌듯하다. |
타슈켄트 TV탑(Ташкентская телебашня) | |
타슈켄트 TV타워는 중앙아시아에서 건물 중에 가장 높은 건물로 높이가 375m이다(세계 9위. 참고로 서울타워=237m). TV타워는 1978년 착공되어 1985년 1월 15일에 준공되었다. TV타워는 다기능으로 방송TV프로그램, 위성 TV, 핸드폰이나 삐삐통신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가장 높은 측후소가 220m높이에 위치해 있다. 100m지점까지 오르면 시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고, 100~220m높이에는 동시에 120명의 고객을 수용하는 회전식 레스토랑 ‘레드(Red)’와 ‘(Blue)’홀이 있다. |
나보이 극장(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большой академический театр им. А...) | |
화려한 외관과 웅장한 모습으로 타슈켄트의 대표적인 명물인 나보이 극장은 2차 세계대전 때 잡힌 일본군 포로들에 의해 1947년에 완공을 했으며, 설계는 레닌의 묘를 설계했던 슈세프가 했는데, 그의 클래식적인 요소와 중앙아시아적인 요소의 적절한 결합체인 노란 벽돌을 사용하였으며, 완성 후 스탈린으로 부터 상을 받기도 했다.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현관을 넘어서 들어가면 여섯 개의 휴게실이 나오는데 이것은 타슈켄트, 부하라, 사마르칸트, 히바, 테르미즈, 페르가나 등을 각각 상징하고 있으며, 벽면에 조각들이 두껍게 휴게실 전체를 감싸고 있다. 각기 주제와 벽장식의 영감은 나보이의 시에서 얻었다고 한다. 샹들리에는 모자에 보석이 박힌 것 같으며, 1000여석에 이르는 좌석을 보유하고 있는 홀은 러시아 오페라 홀과 우즈벡의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스타일을 혼합하여 웅장함을 더해주고 있다. 매표소는 극장 정면에 있는 원주형의 기둥 안에 있다. |
울루그벡 공원(Парк Улугбека) | |
위치 : 울루그벡 지하철역 옆 |
바부르 공원(Парк Бабура) | |
위치 : 니자미 사범대학교 맞은편 |
나보이 국립공원(Национальный парк им. Алишера Навои) | |
구 깜싸몰스끼 공원으로 국민친선(드루지 나로돕:Дружбы народов)광장 옆에 위치하고 있다. 최초로 우즈벡어로 문학작품을 쓴 작가겸 정치인인 “알리세르 나보이”(1441-1501)을 기념하기 위해 독립 직후인 1992년 설립되었다. |
철수 바자르(Чорсу базар) | |
한국인들은 주로 ‘철수’라고 주로 발음을 하나, 정확한 발음은 ‘초르수’에 가깝다. 철수라는 |
꿀륙 바자르(Куйлюкский базар) | |
타슈켄트 외곽에 위치한 최대 시장으로서 많은 고려인 상인들을 여기서 만날 수 있다. 고려인들이 많이 사는 구역에 있기 때문에 우리의 식생활에 맞는 배추, 두부, 고구마, 콩나물, 찹쌀, 된장 등의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다. 물건을 파는 고려인들 중 아직 강제이주 1세대들도 있어 알아듣기 힘든 북한 사투리로 흥정을 하곤 한다. 고려인 아주머니들과 대화를 해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바자르 앞 길 건너편에도 옷과 각종 생필품을 파는 꽤 규모가 큰 시장이 있다. 한국시장에 온 느낌이 든다. |
띠지꼬프 바자르(Тезиков базар) | |
2002년말에 현재 얀갸밭으로 이전. 그래서 택시를 타면 ‘얀갸밭 바자르’ 라고 하면된다. |
타슈켄트 레이크사이드 골프 클럽(TLGC) | |
타슈켄트 레이크사이드 골프 클럽(Tashkent Lakeside Golf Club)은 중앙아시아에서는 최초이자 유일한 국제규격 챔피언쉽 코스(Champion-ship Course)의 골프장이다. 구 소련권 지역에서는 모스크바의 나하비노 골프장 다음으로 1998년 9월에 개장한 TLGC는 정규 18홀에 총 7,034야드이며, 파 72의 코스를 갖고 있다. |
침간(Чимган)과 차르박(Чарвак) | |
침간은 천산산맥의 지류로서 타슈켄트시로 부터 약 70km 가량 떨어져 있다. 보통 승용차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