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Club)
대회에 참가할 때 골퍼가 소지할 수 있는 골프클럽은 14개로 한정되어 있다. 일반 아마추어들의 경우에는 우드 3개(1번 드라이브, 3번 스푼, 5번 크리크)아이언 9개(3 ~9번, 피칭웨지,샌드웨지) 그리고 퍼터 1개 등 13개가 일반적이다.
○종류
§우드(Wood)
우드는 먼거리를 사용키 위한 클럽이다. 골프역사 초기에 나무로 깎아 만든 뒤부터 재질(메탈, 티타늄, 리퀴드 메탈 등)과 관계없이 우드로 불려지고 있다. 우드의 재료로는 감나무로서 북미대륙 미시시피강 유역 원생림의 퍼시먼(Persimmon)제가 최고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비거리를 증대시켜 주는 메탈 종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우드는 아이언과 같이 로프트(클럽헤드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다. 따라서 우드는 번호별로 1번 드라이버(Driver), 2번 브러쉬(Brush), 3번스푼(Spoon),4번버피(Baffy), 5번클리크(Creek), 등의 이름을 갖고 있다. 1-5번까지의 우드가 주로 사용되나 골퍼에 따라 7번또는 9번 우드를 롱 아이언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아이언(Iron)
아이언은 1번부터 9번 그리고 피칭 웨지(Pitching Wage)와 샌드 웨지(Sand Wage)로 구성된다. 1번, 2번 아이언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아이언 클럽은 제조방식에 따라 단조와 주조로 구분된다. 단조는 헤드제작시 일일이 두드려서 만드는 것이고, 주조는 주물을 떠서 쇳물을 부어 만드는 방식이다. 주조는 대량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단조보다는 값이 싸고 대중적이다.
또한 헤드 모양에 따라 캐비티 백(Cavity Back)과 머슬 백(Muscle Back)으로 구분된다.
캐비티 백은 헤드의 뒷면을 동글게 파낸 것이고 머슬 백은 헤드의 뒷면이 불룩 솟아 있는 형태이다. 캐비티 백 모양의 헤드는 무게 중심이 헤드의 가장자리로 분산되어 있어 정타로 맞지 않아도 볼이 어느 정도는 나가기 때문에 초급자용으로 적당하다. 또한 캐비티 백 형태의 클럽은 대개가 주조에 의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반면에 머슬 백 형태는 무게 중심이 헤드 뒷면 불룩한 부분에 있기 때문에 볼이 무게중심에 맞아야 잘 날아간다. 주로 상급자들이 애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퍼터는 L자형,T자형,핀형 그리고 매리트(Mallet)형이 있다. L자형은 헤드의 힐(heel) 가까이에 샤프트가 달린 것으로 콘트롤이 어려우며, 반대로 T자형은 헤드 중앙부에 샤프트가 있어 콘트롤이 쉽다. 핀형은 중량을 헤드의 토우(Toe)와 힐 쪽에 분배한 모델로서 전 세계적으로 이용자가 많다. 매리트형은 반원형의 굵고 두꺼운 혜드가 특징인데 안정감을 준다.
§클럽의구성
골프클럽은 헤드(Head)와 샤프트(Shaft),그립(Grip)으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의 재질은 스틸(Steel)과 카본(Cabon), 그래파이트(Graphite) 등이 있다. 클럽의 성능은 샤프트로 결정된다고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재특성상 철을 주원료로 하는 스틸은 무겁고 단단하며, 카본이나 그래파이트는 스틸보다 가볍고 잘 휘는 샤프트로 볼 수 있다.
사람의 특성에 따라 사용하는 샤프트의 경도가 다르다.
만약에 힘이 없는 사람이 단단한 샤프트의 골프클럽을 사용하면 막대기로 볼을 치는 것처럼 거리가 나지 않으며, 반대로 힘있는 사람이 부드러운 샤프트를 사용하면 볼에 헤드가 너무 늦어 볼이 높이 날아 오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의 강타자들은 가장 단단한 X의 샤프트를 사용하나 일반 남성과 강타의 여성은 보통의 단단한 R의 샤프트를 사용한다. 일반 여성은 A, 연약한 여성은 L을 주로 사용한다.
§클럽의 선택
초보자들은 제품의 이름이나 가격보다는 샤프트의 강도와 그립(샤프트의 손잡이 부분)이 자신의 손과 맞는지를 고려한 뒤 헤드모양을 살펴 구입하면 된다. 헤드모양을 살펴 구입하면 된다. 헤드모양은 캐비티 백 형,바닥(솔)은 폭이 넓은 쪽을 택하면 좋다. 두꺼운 것이 뒤 땅, 느린 스윙 스피드 등 웬만한 약점을 가려줄 수 있다.
○골프 볼
§규격
골프 볼은 지름이 4.26㎝이상의 크기에, 무게는 45.93g 이하이며,표면에는 딤플(Dimple)이 있어 공기와 딤플의 구멍이 마찰을 일으켜 부력이 생기고 비거리를 증대시켜 주고 있다.
§경도
볼 표면에는 볼을 구별하기 위하여 번호가 표시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번호의 색깔로 경도를 구분한다. 색이 흑색이면 콤프레션(compression)100, 즉 볼의 경도가 제일 단단한 볼로써 프로나 강타자용 이다. 적색의 번호는 콤프레션90, 청색과 녹색은 콤프레션80을 표시하는데 적색은 일반적으로 일반 남자용, 그리고 경도가 가장 낮은 청색,녹색은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이 주로 사용한다.
§구조
볼은 구조에 따라 스리피스 볼과 투피스 볼로 구분된다.
스리피스 볼은 중심에 심을 넣고 그 위에 고무 실을 감고 그 위에 커버를 덮어씌운 볼이며,투피스 볼은 합성고무에 커버를 씌어 만든 볼이다. 투프스 볼은 스리피스 볼보다 반발력이 크고 많이 구르기 때문에 비거리가 좋다.
§공인구
공식대회나 홀인원 등 기록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인구를 사용해야 한다. 공인구는 세계골프규칙을 관장하는 영국 왕립골프협회(R & A)와 미국 골프협회(USGA)가 인정하는 볼로서 그 기준은 총거리 기준에 의거 지정된다. 총거리 기준은 두 협회에서 인정한 장치와 온도조건 하에서 볼의 비행거리와 굴러가는 거리를 합하여 280야드(256m)를 초과해서는 안되고 허용오차는 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