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에서 가장 먼저 결정해야 되는 것은 피사체에 비추는 주된 라이트(Key Light)를 어디에 놓느냐는 것이다. 이 키 라이트는 방향이나 방해광선과 관계없이 제일 두드러지는 광선이며, 그 장면의 토대가 되는 광원을 말하는데, 다시 말하면 화면 안에 의도된 그림자를 만드는 광원이다.
키라이트의 위치와 각도는 우리가 피사체를 어떻게 보이게 할 것인가 그리고 어느 부분을 강조하고 싶은 가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보통 카메라 포지션에 대해 정면 45도 각도의 사각에서 비추인다. 이렇게 만들어진 키라이트는 피사체의 형태,표면의 모양과 질감을 나타내주며, 노출의 기본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2. 보조광 (Fill Light)
보조광은 그림자를 만들지 않는 부드러운 광선으로, 키라이트에 의해서 생기는 강한 그림자를 약화시키며(하이라이트와 그늘 사이의 대조비율을 동시에 낮춘다) 동시에 그늘 속의 세부가 보이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적인 보조광은 노출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며, 그 라이트 스스로가 그림자를 만들지도 않고, 키라이트의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아야 한다. 영화나 TV의 경우 주광과 보조광을 일정한 비율을 설정하여 촬영하곤 하는데, 예를 들면 영화의 경우 3:1, TV의 경우 2:1의 비율로 촬영하면 바람직 다는 것 등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는 결국 가장 보편적인 그림을 만들기에는 적당할지 모르지만, 어디까지나 참고사항 일 뿐이지, 절대적인 수치 는 아니다. 액션물이나 공포영화일 경우 극중 효과를 살리기 위해 보조광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극의 분위기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맞게 콘트롤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다큐멘터리의 경우에는 제한된 인원과 시간때문에 보조광을 사용할 경우가 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데, 부득이한 경우 일광시에는 정사진용 포터블 리플렉터를 사용한다던가 라이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빛을 분산시켜 주광과 그림자의 비율을 희석시키면 좋은 그림을 얻을 수 있다..
3. 역광(Back-Light)
역광은 피사체의 뒤쪽에서 비추는 광원을 말하는데, 뒤에서 뿐만 아니라 위에서 비출 수도 있다. 이 역광의 사용으로 2차원적인 그림에서 대상과 배경을 분리하여 화면에 깊이감을 더해주는 3차원적인 영상을 아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아마츄어들의 사진에서 흔히 주된 피사체가 배경에 달라붙은 듯 밋밋하게 보이는 것은 이 역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생긴 결과인데, 반대로 지나치게 겉멋을 내는 사람들은 '분위기 묘사의 감초'처럼 남용을 해 작위적인 의도가 도드라지게 보이기도 한다.
4. 배경 라이트(Background Light)
배경 라이트는 말 그대로 세트의 배경을 위한 조명이다. 역광과 마찬가지로 배경라이트도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배경라이트는 피사체가 아니라 세트 방향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이들 네가지. 주요 조명 종류에 추가하여 특별한 주의를 끌기 위해 물체 또는 피사체를 부각시키는 다양한 강조 조명(Accent Light)이 있는데, 예를 들면 피사체의 눈만을 강조시켜 생기를 불어 넣어주는 아이라이트와 피사체의 얼굴의 키라이팅 되지 않은 부분에 개성과 선명도를 주기 위해 눈높이에서 배경쪽으로 약 3/4의 위치에 셋팅시키는 키커라이트(Kicker Light)의 사용 등이 있다.
다큐멘터리에서의 조명
다큐멘터리의 경우 요즈음 유행하는, 재연의 형식을 빌은 다큐 드라마에서부터 보도물 형식의 시사다큐, 그리고 전통적인 다큐멘터리 등 그 종류가 천차만별이지만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다큐멘터리의 경우 대개 인원이 많아야 4~5 명정도로 한정된다. 재연 다큐의 경우에는 극영화의 포맷을 빌어 조명하면 되지만, 일반적인 다큐멘터리의 경우 시사적인 분위기나 인원의 제약으로 드라마와 같은 방대한 량의 조명은 할 수도 없고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자칫 주위의 환경과는 동떨어지게 지나치게 밝은 조명으로 인해 촬영하고자하는 대상이 신경을 빼았기게 된다던가 하면 다큐멘터리의 생명인 자연스러움 놓치는 결정적인 실수를 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개의 다큐멘터리 촬영에서는 쥬피터라 불리우는 1Kw 정도의 라이트 두 대와 썬건이라 불리우는 밧데리를 사용하는 300w 내외의 이동용 라이트 1개가 기본이 된다. AC전원을 사용하는 쥬피터 라이트는 인터뷰나 실내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촬영이 진행될 경우 사용하고, 밧데리 라이트의 경우에는 피사체가 이동하는 촬영의 경우 이동이 간편하여 주로 사용되는데, 완전히 충전된 밧데리의 사용 시간이 30분 정도이기 때문에 사용시간을 적절히 배려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결정적인 순간에 조명이 없어 촬영을 할 수 없게 되는 실수를 할 우려도 있다.
다큐멘터리에서의 조명은 극영화나 드라마에서의 경우처럼 화면에 분위기와 깊이감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사용되기 보다는 단순히 촬영하기에 충분한 빛을 피사체에 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주로 기동성이 좋은 라이트 한 개 정도가 사용된다. 이때 라이트에 의한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우려하여 카메라에 부착된 라이트 슈에 라이트를 꽂은 것과 같은 방향에서 조명을 비추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비록 촬영에 필요한 조도는 얻을 수 있을 지는 몰라도 정면에서 오는 조명에 의해 그림자가 전혀 없는 플래트한 화면이 되어 버릴 위험이 더 크다.
이렇게 렌즈-피사체의 축간에 가까운 단일광원에 의한 조명은 깊이감이 없고, 질감과 개성이 없는 그림을 만들곤 하는데 빨리 움직여야만 하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황일지라도 최소한 카메라에 올려놓은 듯한 조명의 강도를 분산시키거나 줄여 기존의 광원을 압도하지 않고 새도우가 부드러워지도록 조명하여야만 한다.
단일 조명을 카메라에 올려놓지 않은 채 작업할 경우에는 비교적 큰 분광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 이때 직광보다 분광을 사용하는 이유는 크고 분산된 광원이 넓은 하이라이트와 부드러운 새도우 사이의 미묘한 계조를 만들어내어 피사체의 개성을 표현하기 좋기 때문이다.
모든 피사체와 분위기에 적합한 완벽한 광원의 위치는 없다. 하지만 광원의 정확한 위치는 매우 중요한데, 조명이나 피사체를 조금만 움직여도 전체의 분위기가 상당히 바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카메라맨은 항상 현장에서 배경과 인물이 처해있는 현장의 광선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카메라의 위치를 확보하고 부족한 경우 그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조명의 위치와 각도를 결정하여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야만 한다.
자연광이든, 인공광이든 별도의 조명장비 없이 촬영 가능한 광선을 Available- Light 라고 하는데, 요즘은 카메라 장비등이 디지털화 되어 가는 등 보다 감도가 좋아진 장비들이 속속 등장해 소위 이러한 Available Light 만으로도 촬영이 가능해져 '조명 무용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거칠게 표현을 해야만 그 목적을 이루는 영상이라면 몰라도, 제작상의 편리함이나 금전적인 이유만으로 조명의 사용을 억제한다면 아무래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물을 얻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방송 용어◆ - 조명
1. 조명 (lighting) : 촬영에 있어서 드라마의 필요에 따라 카메라가 피사체에 대하여 '가시 성', '명료성', '극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빛을 통제하는 행위이다.
①가시성(visi-bility)이란 어떤 대상을 카메라가 포착 하도록 보여준다는 것이다.
②명료성(clarity)이란 단지 대상을 명확하게 표현한다는 뜻을 넘어 실제의 모습을 재현해 내기 위한 적극적인 수단으로서의 조명의 역할을 뜻한다. 주로 대상의 모 양, 양감, 질감 등 외형적 상태표현을 의미한다.
③장식적 효과(decorative effect)란 드라마의 경우 영상적 효과를 위한 목적을 말한 다. 피사체의 심리적 상태, 분위기, 연출의 의도, 궁극적으로는 작품의 메시지 전 달에 이바지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세가지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술적으로 통제된' 조명은 특정부분을 강조하여 관심을 집중시키기도 하고, 피사체가 놓여 있는 환경이나 공간 안에서의 위치관계, 축척, 원근감을 나타낸다. 또한 장면의 분 위기, 시간 등을 통해 피사체의 환경과 성격을 표현하고 이러한 여러 요소들이 지 닌 방향성, 시각적 연속성을 유지함으로써 드라마 전체의 균형과 전개에 이바 지 한다.
조명의 기본원리는 하드라이트(hard light)와 소프트 라이트(soft light)의 적절한 조절에 있다. 하드라이트는 태양광이나 스포트 라이트 등을 광원으로 하며, 그림자를 만들고 방향성이 강하며 뚜렷한 입체감과 질감의 표현에 유리한 광성있 다. 반면 소프트라이트는 구름낀 하늘의 분산광이나 산광 필터를 끼운 조명기를 광원으로 하는데, 그림자가 약하고 방향성이 없는 하프톤의 부드러운 음영 차이로 그늘부분의 세부표현에 유리하다.
하드 라이트와 소프트 라이트는 두 광원을 응용한 실제 조명의 기본과정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①주광(key light): 키 라이트 설정은 드라마 조명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작 업이다. 키 라이트는 피사체의 형태, 표면의 모양과 질감을 표현하고 노출의 기본치 를 결정한다. 대개 키 라이트는 카메라에 대해 사각 정면에서 피사체를 비추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창가에 앉아 바깥을 내다보는 연기다의 프로필을 카메라가 잡을 경우 낮 장면이면 자연스럽게 창 밖에서 비추는 태양광이 키 라이트 방향으로 설정될 것이다. 그리고 밤 장면으로 달 빛이 무시된다면 실내등이 키 라이트의 방 향을 결정해 줄 것이다.
②보조광(fill-light, fill-in또는 filler): 주로 소프트 라이트를 사용. 키 라이트의 지나 치게 강한 그림자를 약화시키고 그늘 속에 가린 디테일 따위를 살려준다.
③역광(back light): 피사체 뒤에서 비치는 광선을 말한다. 역광은 피사체의 테두리를 강조하여 배경으로부터 분리시키며, 키 라이트에 의한 그림자속의 디테일을 살려 주기도 한다. 또한 투명한 피사체의 세부적인 모양과 윤곽을 드러나게 한다. 프로 그램, 특히 드라마 제작에 있어서 기술적으로는 이상의 세 가지를 기본으로 하지 만 제작환경, 조명장비 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지니고 있다.
2. 조명의 목적 : 조명은 TV와는 불과분의 관계에 있는 독자적 예술양식이다. 조명은 극이 나 쇼의 분위기를 좌우할뿐 아니라 이미지 전달면에서도 극적효과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흔히들 조명의 첫째 목적은 주제를 잘보이게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 나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흥미있게 하고 매혹시키려 할 때, 예술적으로 혹은 극 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한해 오히려 잘 안 보이게 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
■ 기술적인 측면
조명은 인재나 TV 카메라의 기술상 특성에 적합한 강도와 콘트라스트를 지녀야 한 다. 조명의 방향, 밝기, 빛의 확산도, 커버 범위는 제작에서 요구하는 예술적 분위기에 맞도록 조정되야 한다.
그와 동시에 TV 메카니즘에 대한 고려가 뒤따라야만 한다. 조명감독은 카메라 샷들 의 방향과 특성, 제작 메카니즘, 무대구조, 이용할수 있는 장비 등등을 하나하나 따져 봐야 한다. 물론 기계적으로 전체장면을 환하게 밝혀 주려면 별다른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럴 경우 단순히 화면상에 보이게 해줄뿐이지 예술적으로 어필하지 는 못한다.
■ 예술적인 측면
적절한 조명은 형태, 모양, 윤곽, 짜임새 등을 나타내주기 때문에 어떤 주제가 입체적 으로 표현되게 해준다.
공간과 거리감을 탈출해낼수도 있다. 조명만으로도 배경을 만들수있고 어떤 분위기적 효과와 무드를 만들어 낼수도 있다. 조명은 구도상의 연관관계를 확실하게 나타내줄 수도 있고 색조상으로 질량감과 등급의 차별화를 이끌어 낼수 있다. 즉 어떤 부분은 밝게 또 어떤 부분은 어둡게 선택적으로 조명처리 함으로써 특정부분에 관심을 한정 시킬 수 도 있다. 또 조명은 샷이나 씬들 사이의 시각적 연속성을 유지시키는데 도움 을 준다.
3. 조명감독 (lighting director)
프로그램 제작의 조명관계 담당 책임자. 조명 플랜을 세워 수명의 LO(라이팅 오퍼레이 터)가 지휘해서 기구의 준비, 조명기기의 운용 조작을 담당한다. 조명의 역할, 기기의 성 능, 그림이나 색체감각 등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양면의 지식이 필요하다.
4. 조명격자 (lighting grid)
조명기를 설치하여 천장에서 스테이지에 대한 조명이동이 가능하도록 시설한 격자형 구조 물.
5. 조명비율 (lighting ratio)
주광(key light)과 보조광(fill light)의 밝기를 비교한 것. 또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비교한 것. 1:2 비율은 키가 필보다 1step 밝은 것을 나타내고, 1:3 은 1.5step, 1:4는 2step 의 차이가 된다.
6. 조명효과 (lighting effect)
조명에 의해 프로그램 내용상의 화면효과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조명효과는 계절, 시간, 분위기, 심리, 정경등 프로그램 내용에 따르게 된다. 특수 조명기구를 사용하여 효과를 북 돋는 특수 조명효과도 있다. 예를 들면 오로라머신, 미러 볼 등을 호리존트(horizont: 조명 을 받으면 공간적 느낌을 주는 무대 뒤의 둥그스름한 배경) 에 투영하면 달이나 구름을 나타내는 연출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7. 젤라틴 (gelatine)
반투명 스크린으로 광원에서오는 빛을 여과시켜 투광하기 위해 쓰이는 것. 조명기구의 필터로 수십종의 색이 있다.
8. 젤라틴 필터 (gelatin filler)
①사진의 컬러 밸런스 보정 필터.
②무대조명 필터. 젤라틴에 염료를 섞어서 0.1mm정도의 박막으로 만든 광학필터. 내열, 내습, 견고성에 문제가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9. 조광기 (dimmer)
무대나 텔레비젼 스튜디오에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
①일관된 조명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정이나 극장용으로 널리 쓰이는 이 조광기는 전 압과 색온도가 매우 낮아 천연색 필름에는 붉은계통의 그림자를 초래하므로 특수한 목 적이나 또는 특수한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흑백 필름에만 사용된다. ②텔레비젼의 조명은 영화와는 달리 많은 장면을 연속적으로 일정시간에 촬상하는 것으로 서, 미리 조명기구를 배치하여 밝기를 가감하거나 장면을 새로 바꾸거나해야 하기 때문에 이 조광기가 차지하는 역할은 크다. SCR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을 사용한 조 광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뛰어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10. 차광기 (barndoor)
조명기구 전면에 설치하는 차광판으로, 4장 또는 2장의 흑색칠을 한 금속 문짝을 여는 것을 조절해서 필요없는 빛을 차광하여 할레이션 등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11. 조도 (illumination)
빛을 받는 면의 단위면적이 단위시간에 받는 빛의 양. 조도의 단위는 룩스(lox)인데, 1제 곱미터의 면에 1루멘(lu-men)의 광량이 균등하게 분포되었을 때의 조도를 말한다.
※ 촉광 : 약칭으로 Ft-c이며 1평방 피트의 루멘(lumen) 이다. 빛의 강약을 재는 단위로 서 특정한 장소에 비친 빛의 양인데 광원의 거리에 따라 그 양은 변한다.
12. 기본 조명 (base light, foundation light)
텔레비젼 기록영화 스튜디오에서 조명법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장면 전체를 고르게 밝 혀서 화면 전체에서 부자연한 그림자가 없도록 하는 확산조명(diffusion light). 균일한 수 준의 입사광량이 있어야 화질이 좋은 화면을 얻을 수 있다는 텔레비젼 카메라의 특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조명기법이다.
스튜디오 세트 전체에 가하는 일종의 획일적 확산광인 기본 조명은 스쿠프 라이트에 의 해 제공되는 부드러운 광선으로서 그림자가 거의 생기지 않으며 가장면저 설치된다. 기 본광에 대한 요구조건은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의 종류에따라 각각 다르지만 컬러 텔레비 젼 카메라의 경우 10∼200풋캔들(foot candle) 정도이다. 순광에서부터 측광에 걸쳐 배치 되고 키라이트보다 낮게 비춘다. 한편 기본광의 측정은 반사식이 아니라 입사식으로 측 정한다. 반사광 측정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입사광 측 정은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13. 드라마틱 라이팅 (dramatic lighting)
어떤 장면의 특수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서 동원하는 특별한 조명효과, 시닉 라이팅 (scenic lighting) 이라고도 한다.
14. 라이트 앵글 (light angle)
피사체에 닿는 빛의 각도.
15. 램브란트 라이트 (rembrent light)
피사체의 특징을 잘 재현하는 빛으로, 인물을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보여주는 조명이다. 수직, 수평,모두 45도의 각도로 입사되는 빛으로 인물조명의 가장 기본적인 조명형태이 다.
16. 로우 키 라이팅 (low-key light)
화면의 대부분을 어두운 상태로 하는 조명. 예를 들면 어두운 방안으로 스며드는 달빛 이나 밤 공원의 가로등 빛 등에 의해서 밤의 어두움이 강조 된다. 어두운 조명속에 25% 정도의 밝은 부분을 넣고 이것을 화면에 산재시키면 이 대비해 의해서 어두움을 표시할 수 있다. 로우키 라이팅은 어두움 신비성의 표현, 범죄성이나 동적인 깊이를 느 끼게 한다.
17. 하이 키 라이팅 (high key light)
그림자 부분이 적고 화면 대부분이 밝은 부분과 중간 밝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조명.
18. 리밍 라이트 (rimming light)
피사체의 주위에 톱 라이트로 흰 윤곽을 만드는 라이트. 아우트라인 라이트(outline light)라고도 한다.
19. 무대조명 (stage lighting)
무대조명은 넓은 의미에서 무대장치의 일부로서 무대공간과 등장하는 배우를 조명하여 관객의 눈에 보이도록 하는 것만 아니라, 광선과 색채의 작용에 의해 예술적 무대적 효 과를 높이는 것을 임무로 한다. 고대의 노천극장, 중세 종교극의 야외무대, 엘리자베스 시대의 보통의 옥외극장에서는 눈에보이도록 하기위해 특별히 조명할 필요는 없었다. ' 사설극장' 또는 실내극장이 출현하기 이전의 엘리자베스 시대 극장은 해가 짧은 겨울 저녁 등에는 인공광선을 필요로 했었다. 시대나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인공광선은 주로 횃불 초 램프 가스 등이 이용되었으며 특히 전등의 발명 이후에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 루었다. 대략 1880년 부터 1887년 사이에 유럽의 주요한 극장은 전기설비를 갖추었다고 한다. 전기무대 조명법과 그 기술의 연극적 중요성을 최초로 지적한 미술가는 아피아였 다. 그는 배우와 장치 양자에 충분히 조형을 주기 위해서는 19세기 말의 단조로운 무대 조명과는 다른것이 요구된다는 것, 또한 광선과 함께 그림자가 필요하며 무대의 광선도 현실의 광선과 같이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 등을 주장했다. 한편 20세기 초기의 포르투 니(Mariano Fontuny, 1871~1949)에 의한 실제적 공헌도 중대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었 다. 선명한 사람 그림자 없이 대낮에 가까운 광선이 이 포르투니식 조명에 의해 처음 으로 가능해졌다. 그 후 린내바하(Adolf Lin-nebach, 1876~1963)는 간접광선과 함께 직 접광선을 사용하여 이 방식을 더욱 확대했다. 표현주의가 발생한 이래 스포트 라이트 (spot- light)가 종종 무대의 효과적인 조명수단으로 이용되었다. 현재의 무대장치는 조 명기술에 극도로 의존 하고 있다.
20. 반사 조명 (bounce light)
직접 물체에 비추는 조명이 아니고 벽이나 반사 스크린 등에 반사되어 비춰지는 조명. 부드러운 질감을 나타내고자 하는 조명에 쓰인다.
21. 배경조명 (background light)
피사체 배후에서 배경 쪽으로 비추는 라이트. 배경을 밝게 하고 피사체를 뚜렷하게 보이 게 하기 위해 쓰인다. 이와 비슷한 라이트로 피사체의 배후에서 카메라 방향으로 비추는 라이트는 역광 (backlight)이다.
22. 백열등 조명 (incandescent light)
진공관 튜브 속에 들어 있는 텅스텐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그 열방사에 의해 빛을 얻 는 것이다.
백열등 조명은 전기에너지의 대부분이 열로 방출되기 때문에 빛을 얻는 효율은 매우 낮 다. 텔레비젼 방송 초기에는 거의 백열등 조명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다른 형태의 전구로 많이 대체되었다.
23. 뱅크 라이트 (bank light)
플러드 라이트(flood light)의 일종으로 베이스 라이트 용으로 쓰인다. 여러개의 반사형 전구가 조명 하므로 빛의 방향성이 없는게 특징이다.
24. 보조광 (fill light, fill-in, filler)
그림자 진 어두운 부분을 살려주는 라이트. 밸런싱 라이트(balancing light)라고도 한다. TV스튜디오 에서는 베이스 라이트가 되어 있으므로 사진 스튜디오에서처럼 필 라이트 가 꼭 필요하지는 않다.
25. 삼점 조명 (three point lighting)
키라이트, 백라이트, 필라이트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조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조명기법. 키라이트와 백라이트는 프라넬과 같은 강한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하며 필라이트는 부드러 운 조명의 플루드를 쓴다. 이 세 조명을 백라이트를 극점으로 하여 카메라 반대편에 삼 각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 기본구도이다.
26. 필 라이트 (fill light)
주조명에 따른 피사체의 그림자를 없에기 위해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에 위치시키는 보조 적인 조명.
27. 서스펜션 라이트 (suspension light)
무대 천정에서 내려뜨려 조명하는 조명기구. 넓게는 매달기용 조명기구를 말하므로 매 다는 형이라면 스포트 형이든 플랫 형이든 똑같이 서스펜션 라이트라 불렀지만, 현재는 오히려 기법적인 분류로서 무대를 균일하게 조명하는 소위 베이스 라이트를 서스펜션 라이트라 부르는 일이 많다. 이것은 무대 조명상 무대면 상부의 조명장치(border)에 매 달아 주어 균일한 조명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28 선 라이트 (sun light)
태양광선과 똑같은 효과를 내는 조명기구. 선 스폿(sun spot)과 선 플러드(sun flood)가 있다.
29. 선형 조명기 (strip light)
전구가 홈통형의 커버속에 일렬로 배열해 있는 조명기구. 작고 가벼워서 들고 다니기가 쉽다. 가로로 설치하거나 매달거나 또는 세워서 사용한다.
30. 솔라 스포트라이트 (solar spotlight)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사용한 스포트라이트용 기구. 프레넬 렌즈는 보통의 렌즈보 다 얇고 겉과 속에 표면이 거북이 등처럼 불균일한 면을 동심원 형태로 붙인 것이므로 방향성이 있는 다소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다. 광원을 렌즈의 초점 부근에 두었을 때 투광 빔이 퍼지는 각도는 최대(30도)정도가 된다. 영화, 텔레비젼용 라이트로 사용한다.
31. 스포트 라이트 (spotlight)
① 미국의 페이 케이블 네트워크 타임스 미러 케이블 텔레비젼사(Times Mirror Cable Television Inc.) 가 1981년 5월부터 국내 위성통신을 이용해서 개시한 유료 TV서비 스. 매일 24시간 극영화를 제공하고 있다.
② 강조하는 조명에 사용되는 기구로 천정에서 늘어뜨리는 것과 마루나 캣 워크(cat walk)에 설치 하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1∼2kW 혹은 5kW정도의 백열전구를 사용하 며, 오목거울 및 렌즈로 가는 빔(beam) 모양의 광선을 방사하여 목적물을 집중적으로 비춘다. 전구의 위를 이동하여 빔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 것이 많다.
32. 시일링 라이트 (ceiling light)
객석의 천정에서 무대를 비추는 라이트.
33. 실루엣 조명 (silhouette lighting)
실루엣 조명은 카메오 조명과 반대로 앞의 인물에는 조명을 주지 않고 후면 배경에만 골 고루 조명을 주는 기법이다. 이 조명은 사람과 사물의 윤곽을 뚜렷이 드러내 준다.
34. 아크 라이트 (arc light)
마주 본 두개의 탄소 막대에 전류를 통해서 강렬한 백열광을 내는 라이트. 텔레비젼에 서는 직류 전기를 쓰는 것만을 사용한다.
35. 입사 조명 (incident light)
광원에서 피사체에 직접 빛이 닿는 조명. 스폿 라이트, 태양과 같은 조명을 말한다.
36. 저조명 래그 (lowlight lag)
불충분한 조명하에서 카메라를 조작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37. 주광 (key light)
키 라이트는 정해진 위치에서 볼 때 비스듬하게 정면에서 비추어, 화면 내에서 주요피 사체에 주체성을 갖게하는 중요한 라이트를 말한다. 카메라렌즈의 조리개도 이 라이트 의 조도에 의해 생기는 피사체의 휘도에 맞추어 설정되는 수가 많다. 또한 키 라이트의 조사각도는 수평각이 카메라 광축에 대해 30∼45도, 앙각이 눈의 위치로부터 30∼45도 정도가 이상적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 투시를 대변하기 위해 카메라가 그의 눈이 되므 로, 기울어진 각도로 불안을 표현할 수도 있고 수직·수평의 이동촬영으로 등장인물의 주의관찰을 나타낼 수도 있다. 물론 이 각도는 피사체의 표현내용에 따라 크게 좌우된 다. 대체로 키 라이트에 사용되는 조명기구는 라이트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 포트 라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38. 카메오 조명 (cameo lighting)
배경에 빛을 비추지 않고 어두운 배경에 연기자에게만 하이라이트를 주는 기술. 배경을 검은 색이나 빛을 잘 흡수하는 장막을 쳐 빛이이 곳으로 흐르는 것을 세심하게 막는다.
39. 키커 라이트 (kicker light)
액센트 라이트와 같은 목적으로 쓰며 보통은 측면에서 비친다. 멀리서 작은 면적에 강 한 빛을 비쳐야 하므로 스포트 라이트를 사용한다.
※ 키커 (kicker) : 백라이트 조명에서 하이라이트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스포트 램프.
40. 텅스텐 할로겐 라이트 (tungsten-halogen light)
백열전구의 일종으로 전구내의 할로겐 물질을 투입하여 전구의 수명과 효율이 개선된 조명등. 최근 스튜디오 조명의 대부분 이 전구를 사용하고 있다.
41. 파 리아트 (PAR light)
전구안에 알루미늄으로 된 작은 파라볼라 형태의 반사경이 부착된 조명등. PAR 은 'parabolic alumined reflector'를 말한다.
42. 프레넬 스포트라이트 (fresnel spotlight)
내부 조명렌즈를 발명한 물리학자 프레넬의 이름을 딴 조명기구로 용도가 다양해 텔레 비젼 스튜디오 조명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조명은 비교적 밝고 융통성이 있으 며 조명효과도 높다. 조명의 광선은 초점장치에 의해 좁게 혹은 넓게 비추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플루드 같은 광범위한 분산광을 낼 수도 있고 초점을 맞춰 예리하고 또렷한 광선으로 스포트라이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43. 플랫 라이팅 (flat lighting)
넓고 균일한 광원을 사용해 전체를 골고루 조명하는 것. 부드러운 빛으로 넓은 범위의 배경 조명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반사경도 크게 해서 확산 반사경을 많게 하거나 조명기 구의 조리게 면적을 크게 하고 확산필터 등을 사용한다.
44. 플러드 라이팅 (flood lighting)
베이스 라이트처럼 전체를 똑같은 밝기로 비치는 것을 말함. 따라서 뱅크 라이트와 같 은 빛을 넓게 확산시키는 조명기기를 쓴다.
45. 피 라이트 (pea light)
크리스마스 트리 전구를 닮은 조그만 조명등으로 사이클로라마에 부착하여 반짝이는 별 과 같은 효과를 내는 데 쓰인다.
46. 하드 라이트 (hard light)
형태, 외형, 질감 등을 나타내기 위한 조명으로 명환한 초점과 그림자를 만들어 내는 빛 의 일정한 방향성을 지닌 조명. 스포트라이트 라고도 한다.
47. 하이라이트 (highlight)
영화나 텔레비젼에서 흥미있는 사건이나 중요한 장면 등을 가리키며, 작품이나 스포츠 경기 등의 핵심적 내용의 모음을 일컬을 때도 있다.
48. 하이 키 라이팅 (high-key lighting)
그림자 부분이 적고 화면 대부분이 밝은 부분과 중간 밝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조명
49. 하이 키 톤 (high key tone)
,조명의 밸런스, 또는 그 결과로 만들어진 화면에 대한 말로서 로우 키 톤의 반대말. 어 두운 부분이 적고 하이라이트와 중간조의 밝은 부분이 주가된다. 밝고 명랑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조명.
50. 핫 라이트 (hot light)
스튜디오에서 집중광선으로 어떤 특정한 것을 부각시키는 조명.
51. 헤어 라이트 (hair light)
역광 중의 하나. 머리의 뒷편에서 조명을 주어 배경과 선명히 분리된 윤곽을 강조한다.
52. 효과조명 (special effect light)
여러 형태의 큐칼로러스나 색 필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그림자 또는 색을 비춘 특수 조 명. 세트를 바꾸지 않고도 조명에 의한 그림자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화면 분위기를 바꿀 수 있다.
53. 키 라이트 (Key Light)
주요 피사체나 장면을 부각시키기위해 지향성 조명. 기본 조명에서 주광원 역활을 하며 명암을 밝게하거나 입체감을 주기위해 통상 TV카메라의 광축으로부터 30°∼45°양각 방향에서 동일 인물에 대해 꼭 한개의 광원으로 조명하여 부자연스러운 그림자가 생기지 않게 한다. 여기에 Back Light와 Fill Light를 추가하여 조명을 완성시킨다. 기구로는 Solar Spot, Lens Spot, Pin Spot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다음 사항에 주의 할 필요가 있다.
① 광원의 위치가 너무 높으면 턱밑이나 코밑에 그림자가 커져 보기에 좋지 않게 되며 반대로 너무 낮으면 배경에 그림자가 나오게 된다.
② 키라이트의 위치가 카메라와 같은 방향이 되면 입체감이 떨어지고 무드가 감소한다.
③ 특별한 경우 외에는 키라이트의 중심이 인물의 얼굴에서 벗어나면 안된다.
④ 키라이트에 의해서 마이크붐의 그림자 등 부자연스런 그림자가 생기는 수가 있기 때 문에 불필요한 빛은 스포트 라이트에 달아 놓은 Barn Door를 이용해 커트한다.
54. 터치 라이트 (Touch Light)
호리존트, 세트, 나무 등에 액센트를 붙이기 위한 조명이다. 사용기구는 프레넬렌즈 스 포트라이트나 볼록렌즈 스포트라이트 등을 사용한다. 또 호리존트에 색광의 스포트라 이트와 오려낸 무늬 등을 비추고 호리존트에 터치를 가하는 의미로 투영기 등을 사용하 는 일도 있다.
※ 호리존트 라이트 (Horizont Light) : ① 스튜디오의 호리존트를 조명하기위해서 설비 된 고정 조명으로서 일종의 Set Light 가 되는 셈이다.
② 피사체 뒤의 배경에 풍경이나 어떤 형태를 비추어 효과를 내는 라이트
55. 푸트 라이트 (Foot Light)
푸트라이트는 피사체의 전방 아래로부터의 조명이다. 무대조명에서 말하는 푸트라이트 는 사용하는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텔레비젼 조명에서는 일반적으로 광원이 위쪽 에 있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그림자는 아래쪽으로 나오는 것에 익숙해져 있으나 아래 쪽에서 비치면 이상한 느낌 (예를 들면 유령 같은) 을 주게되어 인물을 아름답게 드러 내려고 하는 것과는 반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빛을 약하고 부드럽게 하고 위치도 조절하면 모닥불이 어리는 장면같은 데에 도움 이 된다. 보통 회로가 3∼4색으로 나누어지고 전체를 레프트 스테이지와 라이트 스테이 지 2구분 또는 센터 스테이지를 포함하여 3구분으로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