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 미 >
현미란 수확한 벼를 건조,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를 벗긴 쌀을 말한다.
먼저 현미의 영향성분을 알아보자
우선 현미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현미밥을 주식으로 한다면 대장암을 충분히 피할 수 있다.
현미에는 IP6라는 물질이 있는데 IP6은 세포으 생장에 필요한 이노시톨이라는 탄수화물에 인이 6개 결합된 물질로 암 예방과 지방간,동맥경화 억제,심장혈관질환 예방에 많은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단백질,지질,당질,섬유,회분,미네랄(미네랄이 부족하면 뼈가 물러질 수 있다),비타민A,B1,B2,B6,B12,니아신,판토텐산,프로비타민C,비타민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현미에는 비타민B군,철,인,칼륨 등의 다양한 영양요소와 식이섬유가 많고 특히 쌀눈(배아)에는 비타민E가 많으며, 휘친산 및 리놀레산이 함유된 건강의 보고 중의 보고입니다.
한때는 인기 가수 손담비가 복부 다이어트를 위해 현미차를 복용했다는 말이 있는데,
현미차가 복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다.
현미가 식이섬유, 이뇨작용 등의 효능이 있기때문이다..
그러니까 현미를 우려낸 현미차도 같은 효능을 갖고 있는 것이랍니다.
현미는 정백(일반 쌀)으로 인한 영향분의 손실이 없으므로 백미에 비하여 지방,단백질,비타민B1,B2가 풍부하다.
또 가공으로 인한 양의 감소도 없다.문제라고 한다면 맛이 백미보다 못하고 영양분이 충분히 소화,흡수되지 않으며
밥짓기가 어려운 까닭으로 보급되지 않았다. 현미로 밥을 지을 때는 반나절 이상 물에 담가두는것이 좋고,밥물은 현미1에 대하여 1.5(백미에서는 1.2)의 비율로 붓는다.단시가 내에 부드럽게 밥을 지으려면 압력솥을 이용하는 것이 좋은데, 고온 때문에
비타민 B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현미 겨는 자기 보호를 위해 독성을 지니고 있다.그러나 극히 소량이기 때문에 걱정할 정도는 아니며 무로 씻어서 먹으면 된다.
그리고 현미밥을 만들어 먹을 때는 반찬은 제철에 나는 채소,된장국,김,멸치 등을 같이 먹으면 좋다.반찬에는 맛이 없더라도 화학 조미료를 넣지 말고 천연 조미료를 넣는 것이 좋다.
현미의 효능은 항암,항성인병에 탁월한 예방 기능을 갖고 있다는 것이 식품 전문가들의 증언이다.현미는 입맛을 길들이기는 쉽지 않으나 한번 길들여지면 난치성 질환은 물론,각종 성인병 예방에 뛰어난 효능을 발휘한다.
미국 메릴랜드대학 샘 스테인 교수는 대장암에 걸린 쥐에게 1%의 IP6수용액을 주사했는데 암세포 수가 극감한 것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해 현미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높였다.
또 동경대학 의학부 명예교수로 일본문화훈장을 받은 타키 겐조 박사가 "생명이 없는 식품은 생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신조로 현미식만을 고집해 94세까지 장수한 예를 들어 현미식을 예찬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도 현미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영양을 좋게하는 양성식품으로 기재해 놓은 반면 백미는 그렇지 못한 식품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현미밥을 먹을 경우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현미가 영양이 많아 몸에 좋은 것은 확실하지만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위장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경우는 과식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현미를 현미차를 만들어 마시고 더욱 효과적이라 하겠다.
현미식을 할 경우,반찬을 더 많이 먹고 현미밥은 평소 식사량의 80%만 먹는 것이 좋다.
이젠 꽤나 부유한 동네에 사는 미국인들이 우리네 현미밥을 먹는 풍경은 문화적 충격을 넘어서 당연한 시대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식이섬유가 많은 현미를 먹으면 빠른 경우 며칠내로 상쾌한 변을 경험할 수 있다. 식이섬유 파우더나 약을 따로 사서 먹지 않더라도 현미밥으로 변비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살아 있는 현미밥으로 생기있게 살아보자.
현미의 효능 : 대장암 예방,이뇨작용,복부 다이어트효과,체내 콜레스테롤 감소,
피로회복,만성변비나 숙벽제거,성인병 예방,
팁 :비타민B2 ~ 뇌세포에 다량 발견되며 성장세포의 재생에 도움을 주는 성장촉진비타민이다.
따라서 성장기의 아이들의 뇌세포활성으로 지능향상에 도움을 주며 임신부에도 좋다.
또한 시력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
첫댓글 현미가 몸에 좋다구 매일 먹긴 하는데 꺼끌꺼끌하고 입에서 맴돌아서~~
흰쌀밥이 그립습니다.
현미를 맛있게 먹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 아자씨~~~유치원생도 아니면서....
맛 있게 드시는 방법이 아주 없는것은 아니지유....
저는 시방 쌀과 현미의 비율이 2/8이며 맵쌀보단 찹쌀이 먹기에 좋긴한디...
아니면 한 사날 굶고 나서 드시유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