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윈도우 키 + E 키: 탐색기 실행
현재 PC 안에 있는 폴더 및 파일들을 확인하고자 할 때,
시작 메뉴나 바탕 화면의 ‘내 컴퓨터’나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하곤 한다.
하지만 윈도우 키와 E 키를 함께 누르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2. 윈도우 키 + F 키: 검색 기능 실행
파일이나 폴더를 PC 내부 어느 곳에 저장했는지 생각이 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검색 기능이다. 시작 메뉴에서 이를 찾아 실행해도
상관은 없지만, 윈도우 키와 F 키를 같이 누르면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다.
3. 윈도우 키 + D 키: 바탕 화면 표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작업 창들을 순간적으로 감추어야 할 때가 있다.
이를테면 비밀스런 문서를 작성하고 있는데 갑자기 외부 사람이
나타난다거나 할 때의 경우다. 이때 유용한 것이 윈도우 키와 D 키를 함께 누르면
실행되는 바탕 화면 표시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순간적으로 모든 작업 창이
최소화되면서 바탕 화면만 나타난다. 모든 창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돌아가고
싶다면 다시 한번 윈도우 키 + D 키를 눌러주면 된다.
4. 윈도우 키 + M 키: 모든 창 최소화
이 단축키 역시 윈도우 키 + D 키 단축키와 마찬가지로 모든 창들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윈도우 키 + M 키를 다시 입력해도 최소화된 창들이 원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5. 윈도우 키 + Shift 키 + M 키: 최소화한 창 원상태로 되돌리기
윈도우 키 + M 키를 이용해 최소화된 창들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단축키다.
윈도우 키 + D 키 조합에 비해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6. 윈도우 키 + Pause 키: 시스템 등록정보 확인
PC 제조사, CPU, 메모리, 운영체계 버전 등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탕화면이나 시작 메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오른쪽 클릭한 후
‘속성’을 실행한 것과 같은 효과지만, 이 단축키를 이용하면 좀 더 간편하게 볼 수 있다.
7. 윈도우 키 + Tab 키: 작업 표시줄에 위치한 작업 창 간 이동
작업 중 다른 창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윈도우 키 + Tab 키를 누르면 작업 표시줄에
위치한 순서대로 커서가 이동한다. 윈도우 7의 경우에는 ‘플립 3D(Flip 3D)’라는
특수 효과가 더해진다.
8. 윈도우 키 + L 키: 윈도우 잠금(Log off) 혹은 사용자 전환
하나의 윈도우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윈도우 + L 키를 누르면
사용자 전환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전환 외에 윈도우 화면을 잠그는(Log off) 용도로 써도 된다.
9. 윈도우 키 + B 키: 작업 표시줄 시스템 아이콘으로 커서 이동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우측 하단에는 볼륨, 날짜, 네트워크 상태 등의
시스템 아이콘이 상주하고 있다. 윈도우 키 + B 키를 누르면 이곳으로 커서가 옮겨지며,
이 상태에서 키보드의 방향키를 누르면 원하는 아이콘의 선택이 가능하다. 물론,
마우스로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보다 간단히 이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 단축키는 마우스가 없거나 고장 났을 때 유용하다.
10. 윈도우 키 + R 키: 실행창 표시
마우스 클릭이 아닌 키보드 명령어로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때 쓰이는 실행창을
표시할 때 쓰는 단축키다. 다만, 윈도우 7의 경우, 시작 메뉴에 통합 실행창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효용성이 낮은 편이다.
11. 윈도우 키 + U 키: 유틸리티 관리자(접근성 센터) 실행
- 폴더창 속도 빠르게 하기
제어판 - [폴더옵션] 실행,
[보기]=[고급설정] 부분을 찾아보시면
[폴더 및 바탕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
[압축된 파일과 폴더를 다른 색으로 표시],
[독립된 프로세스로 폴더창 실행]의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 인터넷 페이지 로딩 속도 빠르게 하기
시작 - 검색(S) -윈-도 탐색기 도구 - 폴더옵션(O) -보기 를 선택하신 후 [보기]탭에 보시면
[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검색]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의 선택을 지워줍니다
프린터 자동검색을 해제하시면 인터넷 페이지가 한번에 뜨는걸 볼 수 있습니다.
- 화면을 부드럽게 하기
화면을 이동할 때 끊기는 느낌이 들때는
익스플로러 - 도구 - 인터넷옵션 - 고급 - 부드러운 화면이동 체크를 해제 해주시면 됩니다.
- 멀티테스킹 속도 올리기
내컴퓨터 - 속성 - 고급 - 성능옵션 - 고급 탭 [프로세서 사용계획]
백그라운드 서비스와 시스템 캐시에 체크하고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즐겨찾기 창을 열고 싶으면 'Ctrl + I' 또는 'Ctrl + B'를 누르면 된다.
현재의 창을 그대로 두고 같은 주소의 새로운 창을 열고 싶을 때는 'Ctrl + N'을 사용한다.
'Ctrl + O' 또는 'Ctrl + L'을 사용하면 인터넷 주소 창만 따로 뜨는데,
그 창에 주소를 넣으면 가고자 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로 바로 갈 수 있다.
검색을 하고 싶다면 'Ctrl + E’를 누르면 검색 창이 떠 쉽게 검색을 할 수 있다.
현재 화면을 인쇄하고 싶다면 ‘Ctrl + P'를 사용한다. 'Ctrl + W'를 누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창이 닫히고 윈도우의 시작메뉴를 열고 싶으면 'Ctrl + Esc'를 누르면 된다.
① Ctrl키 사용 단축키 정리
Ctrl+C (복사)
Ctrl+V (붙여넣기)
Ctrl+X (잘라내기)
Ctrl+Z (실행 취소)
Ctrl+A (모두 선택)
Ctrl+I 또는 Ctrl+B (즐겨찾기)
Ctrl+N (현재 열려 있는 창과 같은 주소의 새 창 띄우기)
Ctrl+L 또는 Ctrl+O (주소창 만 따로 다른 띄우기)
Ctrl+E (검색 창 열기)
Ctrl+P (인쇄 대화 상자 열기)
Ctrl+W (현재 창 닫기)
Ctrl+Esc (시작 메뉴 표시)
② Alt 키 사용
인터넷을 하다가 Alt 키를 누르고 왼쪽 화살표 버튼(←)을 함께 누르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고 반대로 오른쪽 화살표 버튼(→)을 앞 페이지로 이동한다.
‘Alt + F’ 를 누르면 화면 상단의 메뉴 중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Alt + V’는 상단 메뉴 중 ‘보기’를 실행하고 싶을 때 누르면 된다.
‘Alt + F4’ 는 활성화 되어 있는 창을 닫는 기능으로 ‘Ctrl+W’ 기능과 같다.
또한 ‘Alt + Esc’ 를 누르면 컴퓨터 안에서 실행했던 화면이 순서대로 뜬다.
③ Alt 키 사용 정리
Alt + ← (이전 페이지로)
Alt + → (다음 페이지로)
Alt+F (파일 메뉴 표시)
Alt+V (보기 메뉴 표시)
Alt+F4 (활성화 된 창 닫기)
Alt+Esc (창을 연 순서화면을 순서대로 띄우기)
⑤ Windows 키 사용 정리
Windows 버튼 (시작 메뉴를 표시하거나 숨김)
Windows 버튼+D (바탕 화면 표시)
Windows 버튼+E (내 컴퓨터 열기)
Windows 버튼+F (파일이나 폴더 검색)
Windows 버튼+R (실행 대화 상자)
Shift키의 15가지 기능
① 윈도우즈 시작을 빠르게
윈도우즈가 시작될 때 Shift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시작 메뉴에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되지 않고 윈도우즈만 바로 시작된다.
② 제자리에서 파일 삭제하기
Shift키를 누른 채로 Shift키를 누르면 한번에 휴지통이 깨끗.
③ 한꺼번에 창닫기
여러 폴더를 열어 놓았다면 Shift키를 누른 상태로 현재 폴더를 닫으면 지금까지
열어 놓은 상위 폴더까지 한꺼번에 닫힌다.
④ 한 번에 파일 이동
Shift키를 누른 채로 파일을 잡아 끌면 파일 이동 끝.
⑤ 연속된 파일 선택을 쉽고 빠르게
Shift키를 누른 채 파일이나 폴더를 연결해서 선택된다.
⑥ 편한 탐색기 실행
Shift키를 누른 채로 <내 컴퓨터>를 선택하면 탐색기가 곧바로 실행된다.
또한 폴더에서도 Shift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폴더를 기준으로 하는 탐색기가 실행된다.
⑦ 연결 프로그램 변경하기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면 단축 메뉴에
<연결 프로그램>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서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런 형식의 파일을 열 때 항상 이 프로그램을 사용>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 변경.
⑧ 음악 CD 자동 실행 중지
음악 CD 를 넣으면서 Shift키를 누르고 있으면 자동 실행되지 않는다.
⑨ 시스템 재시작을 빠르게
Shift키를 누른채 재시작 메뉴의 <예>를 선택하면 윈도우즈가 빠르게 재시작된다.
⑩ 단축 메뉴 불러내기
마우스에 이상이 생겼을 때 또는 키보드를 이용한 작업 중에 바탕화면의 단축 아이콘
또는 폴더를 선택한 뒤 Shift키를 누르면 각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바로가기 메뉴가 뜬다.
⑪ 시작 프로그램 실행 안 하기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계속 실행이 되고 있어서 삭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땐 부팅시 Shift키를 누르고 있으면 된다. 이후 시작프로그램을 삭제할 수도 있고 불필요한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다.
⑫ 웹페이지 뒤로 앞으로 이동하기
Shift + 마우스 휠을 작동 하면 웹페이지에서 앞페이지 뒤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⑬ 커서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Tab키를 누르는 반대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시키고 싶다면 Shift + Tab을 누르면 가능하다.
⑭ IE의 새창을 연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링크를 클릭하면 새창이 나타난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보는 것보다 훨씬 편하다.
⑮ 마우스 오른쪽 메뉴 기능 이용하기
Shift+F10키를 같이 누르면 마우스 오른쪽키를 누른것과 같은 메뉴가 뜬다.
9. 자신의 WindowXP 정품 인증 확인 방법
바탕화면에서 좌측하단 시작 --> 실행-->oobe/msoobe /a 순서로 실행한다.
(단, 주의할 것은 /a 앞에 반드시 한 칸을 공백으로 띄움.)
10. 내컴퓨터의 <공유문서>를 보이지 않게 하려면?
역시 윈도우 시작-->실행-->regedit 으로 들어간다. 그 다음,
내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yComputerNameSpaceDelegateFolders에서 59031a47-3f72-44a7-89c5-5595fe6b30ee를 찾아서 삭제하면 공유문서가 보이지 않게 된다.
11.GIF와 JPG의 차이점은?
현재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그림(이미지)의 포맷 형식은 JPEG(JPG)와 GIF파일 형식이 대부분이다.
이 두가지는 놀라운 압축율과 여러가지 장점때문에 널리 쓰이는 범용 그래픽 포맷이기도 하다.
사진이나 색상수가 많은 그림에는 JPG를, 그외에는 GIF로 파일 형식을 쓴다.
① 투명 이미지와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GIF파일
GIF는 Graphics Interchange Format의 약자이고 256 Colors로 그림을 저장할 때 용량이
적기때문에 홈페이지 아이콘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 그림
(여러 개의 그림을 하나의 움직이는 그림으로 만든 것, 예를 들면 제 블로그에서
서울모터쇼의 레이싱 걸 이미지)과 배경이 투명한 그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② 압축율이 높은 JPG파일
JPG 파일 형식은 사진이나 색상수가 많은 그림을 저장할 때 압축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림의 용량을 놀라울 만큼 줄일 수 있다. 같은 그림을 GIF와 JPG로 저장해서 파일 크기를
비교하면 JPG로 저장한 그림이 GIF보다 용량이 훨씬 작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압축율이 높은 만큼 그림의 선명도가 많이 떨어 진다는 것이 단점이다.
12. 내 홈페이지를 링크한 사이트 알아내는 방법
알타비스타(http://www.altavista.com)로 가서 검색어 입력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link: 자신의 홈페이지 주소
예를 들면, 자신의 홈페이지가 네이버 홈페이지하고 가정하여,
네이버 홈페이지에 링크한 사이트를 알고 싶다면, link:www.naver.com 이라고 검색하면 된다.
정말 쉽고 간단하죠? 지금 한번 따라해 보세요.
13. 기타
시작--> 실행-->regedit를 쳐넣어 HKEY류의 하위 폴더를 임의 조정하여 저사양의 컴퓨터
속도를 올리는 방법들은 추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인터넷에 떠도는
'윈도우 XP 60여개 팁'을 시간을 들여 그대로 적용하여 해봐도 새로운 창을 열고 닫을 때
등에서 이전보다 속도에는 차이를 느낄 수 없으니 하지 마라. 더군다나 초보자들 중에 실수로
엉뚱한 것을 건드려 시스템 오류로 포맷을 다시 해야 하는 웃지못할 상황을 연출하여,
흔히 혹 떼려다가 오히려 하나더 붙이는 귀찮은 일이 생긴다. 그리고 그것들중에 일부 잘못
설명된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 설명들 중에 2가지는 쓸모가 있다. '컴퓨터를 끌 때(켤 때가 아님) 재빨리 시스템 종료가
되게 하는 방법' 과 Windows 폴더에서 Prefatch폴더안에 *.pf 파일들을 삭제하는 것은 실제로도
유용한 팁이다.
완전 초보라 이리저리 찾는 게 겁나서 못건드리겠다면, 시작--> 검색--> *.pf를 검색하여
삭제하면 간단하다. 즉, Windows 폴더 -> Prefatch 폴더안에 *.pf 파일들을 모두 삭제하면
그만큼 공간이 줄어들어 성능이 향상된다. 이것은 지워도 수시로 쌓이니 1주일에 한번은 지워 주자.
XP shutdown(윈도우종료) 빠르게 하기
시작 --> 실행 --> regedit를 실행하여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를
찾아서,Control을 클릭한 다음 오른쪽에 나타나는 목록에서 Wait To Kill Service Timeout을
더블 클릭 한다. 그리고 20000 으로 설정된 값을 100 으로 수정하면 윈도우 종료 속도가
이전보다 훨씬 향상된다.
그런데 정보의 바다에 범람하는 다양한 팁들을 전부 챙길 필요는 없어도 기본적인 것만은
반드시 알아두어 컴맹을 탈출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