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의 식물학적 분류 및 분포
감자는 식물학적 분류학상 Solanaceae과, Solanum속,Petota 아속에 속하며,아속의 하위그룹으로 18계열(Series)이 있고, 그 아 래에 약 230여 종(Species)이 자연생태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olanum속에는 약 2,000종 이상이 있으며, 그 중 덩이줄기를 형성하는 종은 약 160종에 이른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4배체(2n=4x=48) 재배종 감자의 학명은 Solanum tuberosum L.로 가스파드 보앵(Gaspard Bauhin)에 의해 1596년 처음 사용되었다.
Solanum은 라틴어의 ‘Solamen’ 즉 ‘진정(鎭靜) 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Solanum속 식물 중 진정제로쓰이는 식물이 많은데서 유래하였으며, ‘Tuberosum은 ‘덩이줄기 모양 이라는 뜻으로 감자
덩이줄기 형태를나타낸 말이다.
지정학적인 면에서 감자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의 페루와 볼리비아의 중앙 안데스산맥을 중심으로 하여 남쪽으로는 칠레의 중·남부지역(남위 45 지역)으로부터 북쪽으로는 미국의 남서부 지역(북위 약 40 , 미국 콜로라도와 유타주 지역)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 고도별로는 해발 2,000~4,000m까지 분포되어 있고, 그 중2,500~3,400m의 지역에 가장 많은 감자 유전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유전학적인 면에서 감자는 12개의 염색체(n=12)를 기본으로 하여 배수성별로 2
배체(2n=2x=24) 74%, 3배체(2n=3x=36) 4.5%, 4배체(2n=4x=48) 11.5%, 5
배체(2n=5x=60) 2.5%, 6배체(2n=6x=72) 2.5% 등으로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다. 감자의 재배종은 2배체에서 5배체까지 분포되어 있으나, 원산지인 남아메리카
의 안데스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4배체종(Solanum tuberosum)이 재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