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사회복지카페(†세계제일교회†) 원문보기 글쓴이: 띠띠빵빵
사회복지용어사전 [ㅇ]
아동교육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의 아동을 위해 실시하는 교육. 만 5세 이전의 어린이들로부터 초등학교 저학년에 이르는 유아교육(幼兒敎育)이라는 개념과 분리된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유아교육과 혼돈 되어 쓰이고 있으며 초등교육이라고 불리는 것이 보통이다.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자폐아동을 다른 발달장애와 구별하여 규정하기 위해 North Carolina 대학의 Schopler 등이 개발한 행동 평정척도이다. 총 15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점에서 4점까지 7점 척도화 되어 있다. 평정은 검사 상황이나 교실에서의 관찰, 부모 보고, 과거력 등을 근거로 비정상적인 행동의 특성, 빈도, 심도를 고려하여 행해진다. 진단은 전체 점수와 3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얻은 항목수에 근거해 결정된다.
아동중심 교육
사회중심․성인중심․교과중심․교사중심․서적중심 등 과거의 전통적 교육에 대하여 아동중심을 주장하는 교육운동의 하나. 이러한 주장은 18세기의 루소(J.J. Rousseau)이후 강조되어 왔는데 20세기의 초엽 근대사회의 성숙에 따른 휴머니즘(humanism), 케이(E. Key)의 「아동의 세기」, 나아가서 실험심리학과 실용주의 철학 등에서 이론적인 기초를 얻어 「교육은 어린이로부터」라는 표어 밑에 192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1896년 듀이(J. Dewey)에 의한 시카고 대학의 실험학교는 아동의 흥미․활동에 중심을 둔 전형적인 아동중심 교육․생활교육의 선구를 이루었다. 아동중심 교육은 미국의 개인주의적 자유사회를 온상으로 가장 활발하게 발전하였는데 이는 전통적 학교교육에서의 서적중심의 형식적 획일주의에 대한 반대로 일어난 교육혁신 운동의 하나였다.
안전장치
각 직종에 따라 특수한 환경․작업조건․작업방법 등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하는 제반 조치사항 및 지침.
약시
시력이 심한 손상을 입어서 20/200에서 20/70 사이의 교정 가능한 시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 다양한 보조기구나 교육기술로 약시 아동들을 맹아와 같이 취급하지 않고 정상적 시력을 갖춘 아동과 같이 교육받을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
순환성 정신병, 주기성 정신병이라고도 하며 때때로 우울 감동상태의 기간과 상쾌중동 상태의 기간을 나타내며 중간기에는 완전히 정상이다. 이들의 기간은 각 울병, 조병 이라고 부르며 교대로 나타나는 경우와 한쪽만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발병의 기간과 중간기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고 분열병보다 늦게 나타난다.
어음청력검사
인간의 귀는 음, 그 자체를 듣는 것도 중요하지만 말을 어느 정도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며 이것을 측정하는 것이 어음청력검사이다. 이 어음청력검사는 직접 말을 들려주어 복창을 하게 하거나 받아쓰기 등을 하여 측정하는 것인데 검사자의 음성 크기, 개인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상 귀는 40dB에서 90% 이상의 어음변별능력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변별능력이 80% 이상인 경우에 부자연스럽지 않으나 70% 미만에서는 귀로 듣는 것만으로서는 회화가 불가능하다.
억압
정신분석 이론에서, 만족시킬 수 없는 동기와 죄의식을 유발하는 충동, 혹은 기억을 의식에서 사라지게 함으로써 부인하는 방어기제(防禦機制). 이로 인해 불쾌하거나 죄의식을 느끼는 충동을 무의식의 영역에 계속하여 누적되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여러 가지의 이상심리가 발전된다. 이상심리의 다양한 유형은 억압된 무의식의 내용․강도 등에 따라서 제각기 다르게 된다.
언어발달
음성이나 기호를 수단으로 한 의사소통의 발달. 인류 전체나, 어떤 특정의 언어가 발전된 과정에 관심을 두는 측면과 한 개인의 성장과정에서 언어가 습득되는 과정에 관심을 두는 두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언어의 발달은 신체적 표현이나 단순한 소리에서 시작되어 복잡한 문장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언어습득의 과정은 모방(模倣)과 條件化)에 의한 습득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언어장애
발성근(發聲筋)의 이상, 뇌의 장애등으로 인해 발음 불명료, 실어증(失語症), 또는 말을 더듬는 등의 언어상의 장애. 언어를 소리로 내는 데 있어서의 불완전성을 말하며, 잘못된 구음(faulty articulation), 좋지 않은 음성 혹은 기관의 결함 때문에 일어난다. 의사소통에 방해가 됨은 물론 주의를 끌게 되며,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안감이나 부적응을 일으키게 한다. 의사표시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통틀어 말한다. 실어증, 발음장애, 발성장애로 대변(대별)할 수 있다.
Van Riper에 따르면 언어장애는 듣는 사람의 주의가 무엇을 말하는가 하는 내용보다는 말 그 자체에 쏠리어 대화를 방해하여 말하는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불안이나 부적절함을 느끼게 하거나 또는 대인 접촉을 피하려는 부적절한 행동을 유발하는 것이다.
언어지체
아동의 정상적인 언어발달 단계에서 기대된 시기에 언어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언어의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을 갖는 경우이다. 대부분 지능지체아에게서 나타나며 뇌성마비, 자폐, 행동과다, 청각장애 아동에게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아주 드문 예이나 신체적, 지적, 정서적으로 정상인데도 언어발달 지체가 보이는 경우도 있다. 원인이 어떠하든지 이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점은 언어발달이 정상 아동이 시작하는 연령보다 뚜렷하게 지체된다는 것이다. 3세가 되어도 언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4세가 되었는데 한두 마디 정도로 사용한다면 언어발달이 지체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문적인 검사 진단을 통해 현재의 상태를 적절하게 진단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언어치료
지적인 수준, 기질적․기능적인 원인, 혹은 환경적이거나 정서적인 요인 등으로 조음이나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장애적인 요소를 개선시키거나 능력을 최대 한도로 발휘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언어 치료이다. 언어치료 및 언어교육을 목적으로 행하고 있는 곳이 언어치료실이며 언어치료 및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이 언어치료사(언어치료 전문인)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종합병원, 대학 내, 장애관련복지관, 재활원 등에 언어치료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상자는 보통 1회에 30분에서 40분씩, 일주일에 2회에서 4회 정도 개별 지도 또는 소집단 지도를 받게 된다. 병원 내의 언어치료실 경우는 의료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 언어적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거나 개인 회화적응에 장애가 잇는 사람으로서 단지 정상적인 성숙에 의하여서는 증진될 것으로 기대되지 않는 사람의 언어 증진 및 교정을 위하여 계획된 프로그램.
여가
레져를 시간의 면에서 보면 생활시간에서 근로시간과 생리적 필수 시간을 뺀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그 뺀 시간을 단순히 남는 틈, 즉 여가 시간으로서 포착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구석으로부터 해방된 자유로운 시간으로서 포착하여 가고 있다. 자유로운 시간에 행해지는 자유로운 활동으로서의 레져에는 통상 다음 네 가지의 기능이 인정된다. 피로에서의 회복, 스트레스의 해소, 인간적인 연대의 증진, 자주개발, 자기실현, 여기에서 피로에서의 회복과 스트레스의 해소는 레져가 갖는 소극적 기능이고, 인간적인 연대의 증진과 자기개발, 자기실현은 적극적 기능인데 최근에는 레져활동이 갖는 적극적인 측면이 중요시 되게 되었다.
여가교육
여가를 보다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선용할 수 잇도록 지도하는 교육. 산업혁명이후 분업이 발달하고 노동을 기계가 대신함에 따라 여가시간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런 현상은 산업이 발달된 구미(歐美) 각국에서 현저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어 여가의 효율적 활용이 교육적 문제로 드러내고 있어 여가의 효율적 활용이 교육적 문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성인교육 운동이라든가 레크리에이션 운동 등은 정신적․신체적으로 여가를 선용하려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여가시간의 방치는 사회적․개인적으로 해로운 현상을 흔히 유발시키고 있기 때문에 여가교육은 청소년은 물론 성인들을 위해서도 프로그램을 만들어 그들의 취미생활, 심신의 개발과 정신위생, 소질의 개발, 창의적 생활을 하도록 돕는다. 이 프로그램은 개인의 적성과 취미를 고려하여 선택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 학교에서는 특별활동을 통하여 효과적 지도를 꾀한다.
여가지도
공부나 노동과 같이 일에 보내는 시간과 수면이나 식사 또는 그 밖의 생명의 유지에 보내는 시간을 제외하고 개인이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나 기회를 뜻있고 생산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생활지도의 한 영역. 여가를 활용하는 오락활동이나 취미활동은 정신건강의 증진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공부나 일의 능률향상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생활지도와 교육일반에서 점차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역기능
어떤 제도가 작용함으로써 사회체제에 이바지하는 결과가 초래되는지의 여부를 가릴 때 쓰여지는 개념으로 그것이 사회체제의 유지 존속에 해로울 때를 나타내는 말. 순기능(順機能)에 반대된다. 사회학자들은 이 역기능을 이른바「관료적 병리현상」의 하나로 본다. 즉, 어떤 제도가 본래 추구하던 목적과 그것의 수단이 전도되는 것을 의미하며,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념이다. 이상적으로 관료조직체는 특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형성되었고 형식적 규칙과 절차들도 그런 목표달성의 수단으로 세워진 것들이다. 실제로는 그러한 수단들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림으로써 원래의 조직목표 달성에 지장을 가져오는 때가 많다. 이것을 수단-목적 전도현상이라 한다.
역할
사회질서 속에서 차지하게 되어 있는 개인의 자리 또는 지위에 따른 정상적인 행동양식, 개인의 역할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연령과 성(sex)에 따른 역할은 물론 공적인 역할과 사적인 역할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도 있고, 선천적인 생득적 역할과 후천적으로 획득된 역할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종족에 따른 역할과 성에 따른 역할 등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쉽게 역할변경이 이루어지지 않는 데 비해서 교사․사장․장관․ 등 후천적으로 얻어진 역할은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어떤 역할을 갖게 되어 있는데, 한 가지 종류 이상을 가지게 되면 사람들은 대체로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역할 갈등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인간은 일생 동안에 수많은 역할에 직면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그가 어떤 역할에 얼마만한 시간과 노력을 바쳐야 할지를 모르게 되면 역할 혼돈에 빠져 불행하게 된다. 역할혼돈에 빠지지 않으려면 가능한 한 역할종류를 줄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지만 많은 역할 중에는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역할에 가장 많은 노력과 시간을 바치도록 해야 한다. 특히 공적인 역할은 사적인 역할보다 중요한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사회구성원들이 역할수행을 할 때 사회는 질서와 발전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역할갈등
둘 또는 그 이상의 사회적 지위(역할을 갖고 있는 사람이 상반된 기대 역할을 요구받을 때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회사업가는 클라이언트에게 즉시로 위기를 해결해 주기를 요구받으면서 수퍼바이져에게는 미리 짜여진 스케줄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요구를 받는 경우 맡겨진 일에 대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역할기대
집단이나 조직, 또는 다른 개인이 그에게 어떤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줄 것을 기대하는 것. 개인은 집단이나 사회조직 속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과정에 필수적으로 사회적 역할 또는 구실을 갖게 되어 있다. 사람들은 역할기대가 충족되지 않으면 실망하거나 그 사람의 역할수행 능력을 의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여러 집단과 조직에 속하게 됨으로써 그에 따르는 역할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교사는 학생들과 그가 속해 있는 학교조직․동료․아내․자녀․형제 및 부모들이 그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기대되는 행동, 즉 역할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나머지 역할 갈등에 빠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역할 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역할기대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요구되고 기대되는 역할능력 향상을 통해 역할기대에 따르는 갈등을 해소할 수도 있다.
역할놀이
어떤 가상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문제시되는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기법의 일종․정서적 역할 놀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재니스(Janis)와 만(Mann)은 여성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그들에게 암환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흡연량을 줄이게 한 사례를 들 수 있다. 역할놀이의 모형에는 공포-욕구모형(fear-drive model)과 동형반응모형(parallel response model)등이 있다.
역할놀이 수업모형
학생들에게 특수한 상황이나 장면에 처해보도록 하거나 특정의 역할을 실행해보도록 함으로써 자신이나 타인이 지니고 있는 가치관 혹은 신념을 깊이 있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교수방안. 이 모형은 파니 샤프텔(Fannie Shaftel)과 조지 샤프텔(George Shaftel) 부부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들은 20여년 동안 학생들에게 「인간의 존엄성」, 「정의감」, 「애정」 등의 민주적 관념들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를 가르치기 위하여 이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역할놀이는 자신이나 타인들이 현재와 같이 행동하는 이유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역할을 실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인간행동의 다양성과 유사성을 배우고 이것을 실제장면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수업모형을 성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는 다음과 같은 것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 첫째, 적절한 역할놀이 장면을 제시하거나 선정하는 일을 돕는다. 둘째, 학생들이 당황하지 않고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도록 하는 지원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셋째, 자발성과 학습을 장려하는 역할놀이 장면을 꾸민다. 넷째, 학생들이 서로를 효과적으로 관찰하고 경험하며 그들이 보고들은 바를 예리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찰과 경청기술을 가르친다. 이 수업모형을 적절히 적용하게 되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배우게 된다. 첫째, 자신의 견해를 자유로이 피력하고 다른 사람의 견해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둘째,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제안 또는 탐구한다. 셋째, 역할놀이 활동에 열성적으로 임하게 된다. 넷째, 역할놀이 장면에서 보고들은 바를 기술하고 해석하고 평가하고 또한 자신의 생활과 관련을 지어본다. 이 수업모형에서는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모두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형은 사회과나 문학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초등학교 3학년에서부터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역할놀이 수업모형에서는 교사는 결단이 필요한 대인상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아동에게도 흥미가 있어야 하며 또한 아동의 경험세계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모형을 선정함에 있어서 교사는 심리극(psycho-drama)이나 드라마(drama)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개인치료요법보다는 오히려 대인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나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
역할수행 연습
심리치료나 지도자 훈련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자발적인 역할 행동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대인관계에서의 바람직한 태도나 행동을 습득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다. 즉, 문제가 되는 생활 장면을 상담 장면에 재현하여 관계 인물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행동반응을 학습하게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연습을 통해서 내담자는 자기 행동에 대한 교정을 스스로 또는 다른 역할자의 귀환 반응을 통해 교정할 수 있다. 역할수행 연습의 시행 절차를 보면, 먼저 역할 연습의 취지와 절차를 내담자에게 설명한 후 문제 장면의 주요 역할을 배정한다. 그리고 배정된 역할 자의 전형적 행동양식과 최근에 실제로 있었던 대화 내용을 알아보고 그 과정을 분석하여 역할 연습에서 시도할 행동 및 대화 장면을 설정한다. 다음에 상담자와 내담자는 각자의 역할을 하면서 새로운 행동 반응을 가능한 한 실감나게 연습한다. 어느 정도 연습이 진행되면 서로 역할을 바꾸어 연습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나서 내담자로 하여금 연습한 행동을 실제 생활 장면에 옮기도록 하고, 다음 상담에서 어느 정도 실천이 되었는지 검토하며 필요한 조정과 추가 연습을 한다.
역할학습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조직이나 집단의 사회관계에서 차지하는 계층적 위치를 지위라고 하고, 그 지위에 기대되는 기능적 측면을 역할이라고 할 때, 역할에 합당한 행동을 학습하는 것. 어린이는 어떤 역할에 적절한 행동을 함으로써 부모나 교사 등으로부터 보상을 받지만 부적절한 행동에는 상이 제거되거나 벌을 받는다. 또한, 사회규범과 같은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사회적으로 강화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모방하는 대리적 강화를 통하여 사회적으로 학습을 하게 된다. 성인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자기 자신의 소속해 있는 사회, 집단, 문화 가운데서 자기의 지위에 적절한 행동유형,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은 역할수행을 통하여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동일성을 획득하고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와 지위에 관하여 이해를 넓혀간다. 역할이론에서는 사회심리학적 현상을 기술 설명하고 예측하여 통제하는 기반을 부여한다.
연역법
(1) 형식적 추리와 같은 뜻으로 귀납법(歸納法)에 대립되는 것. 형식논리학에서 삼단논법(三段論法)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2) 보편적 법칙이나 주장을 도출하는 사고의 방법. 형식논리학에서는 몇 개의 주어진 전제로부터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결론을 성립시키는 과정을 뜻하고, 일반적인 의미로는 주어진 가정에서 어떤 명제 혹은 법칙을 결론으로 도출하는 행위를 뜻한다.
연역적 논증
기존의 보편적 원리나 일반적 주장에 의거하여 논증을 전개하는 것. 귀납적 논증에 대립하는 개념이다.
연역적 사고
확실한 근거가 있거나 가정(假定)된 일반적 지식, 법칙, 원리에서 특수한 사례, 원리, 결론 등을 이끌어 내는 사고과정. 연역적 사고는 귀납적(歸納的) 사고에 대립되는 것으로 삼단논법(三段論法)이 그 대표적인 형식이다. 대전제(大前提)를 일반적 원리라 한다면 얻어지는 결론은 항상 대전제의 한 부분에 해당된다. 귀납법과 대립된다고는 하나 심리적인 과정에서 보면 연역적 사고와 귀납적 사고가 대립적 사고라기보다는 보완적이거나 상호관련적이라 할 수 있다. 교육활동에 있어서 연역적 사고의 과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수업을 연역적 수업이라 하며, 흔히 연역적 설명식 수업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 설명식 수업, 연역적 수업, 귀납적 사고
연역적 수업
연역적 수업계열에 의해 전개되는 수업. 연역적 수업은 대체로 학생들의 선행학습 수준이 부족한 경우, 연령수준이 낮은 경우에 적합하다고 평가되나 확정적 사실은 되지 못한다. → 연역적 수업계열, 귀납적 수업
열등감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또는 그 밖의 상태나 조건이 다른 사람보다 약하거나 낮거나 부족하다고 느끼고 생각하는 심리적 상태, 사람은 이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완전성․우월성 또는 전체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 아들러(A.Aler)는 인간의 부적응 행동이나 이상 심리의 원인이 열등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정신치료의 중점을 열등감의 극복에 두었다.
염색체 이상
염색체가 하나 많거나 적은 경우. 이 결과로 신체적․정신적 손상을 초래한다. 이 예로는 21번째 염색체 쌍에 하나가 첨가되어 47개의 비정상적인 염색체 수를 가진 자의 다운 증상(Down syndrome), X염색체가 하나가 없는 터너 증상(Turner wyndrome), X염색체가 하나 많은 여성적인 남자(Klinefelter syndrome), Y염색체가 하나 많아 사회적 행동의 장애가 유발되는 남성 등을 들 수 있다.
염색체
세포핵(細胞核)에 있는 막대 모양의 가는 섬유질. 인간은 46개의 염색체를 지니고 있으며, 이 염색체에 유전인자가 선형(線形)으로 병렬되어 있다. 염색체는 핵산(DNA)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핵산의 자기복제(自己複製)에 의해 유전적 특성을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오단계 교수설
헤르바르트(J. F. Herbart)파의 칠러(T. ziller)의 제자인 라인(W. Rein)이 처음주당한 형식적인 교수단계. 그에 의하면 모든 단원은 다음과 같은 5단계에 의해 교수된다는 것이다. ? 예비단계로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학생의 마음을 준비시킨다. ? 제사단계로서, 새로운 것에 대한 여러 가지 사실을 가르친다. ? 비교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관념을 이미 학생의 마음속에 있는 관념과 관련시킨다. ? 개괄단계로서, 구체적인 개개사실에서 일반적인 것을 추출해서 일반적인 원칙을 만들고 이것을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연관시킨다. 응용단계로서, 일반적인 원칙을 실제장면에 적응해서 이미 체득한 지식을 활용해 본다.
오류
논리학에 있어서 바르지 못한 논리적 과정, 특히 외견상 바르게 보이면서 틀린 추리(推理). 통속적 의미로는 참이 아닌 것으로 쓰이기도 하며, 착각․관측상의 오차 등으로 인한 지각상(知覺上)의 착오를 가리키기도 한다. 베이컨(F. Bacon)은, 사실을 바르게 파악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네 가지 우상(종족․동굴․시장․극장의 우상)을 일반적 오류의 근원으로 지적하였는데, 이 때의 오류는 진리의 대립개념이다. 논리학에 있어서의 오류는 크게 나누어 연역적(演繹的) 추리에 관한 것과 귀납적(歸納的) 추리에 관한 것이 있으며, 각각은 다시 여러 가지 형태의 오류로 나누어진다. 연역적 추리에 관한 오류는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 논리적 추리의 형식을 지키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형식적 또는 순논리적 오류, ? 언어의 부정확한 사용이나 의미의 애매성에 기인하는 언어적 또는 반(半) 논리적 오류 ? 전제가 애매하다든가 증명해야 할 것을 가정한다든가 하는, 사고(思考)의 대상인 자료로부터 생기는 자료적 오류 등이 그것이다. 귀납적 추리에 관한 오류는 경험적 사실을 충분히 관찰하지 못한 상태에서 선입견이나 필요한 사실의 간과(看過) 등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조급한 개괄(槪括)의 오류, 인과관계에 관한 오류 등이 있다.
외관
우리의 눈․코․혀․피부 등의 감각기관을 통해서 외부의 세계를 지각(知覺)하는 능력→내관
외부평가
평가의 목적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달성평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평가의 목적과 여건에 적합한 외부평가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평가의 방법. 외부평가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인사로서 내부인사가 평가자로서 역할 하게 되는 내부평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내부평가는 특정 프로그램의 존속과 관련된 이해관계로 인하여 객관적이고 신뢰로운 평가활동을 전개하는데 애로를 겪을 가능성이 있는 반면, 외부평가는 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설정과 관련된 상황과 프로그램을 최초로 실시할 상황에서의 투입되는 모든 관련 변인을 보다 타당하고 객관적인 준거와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동원되는 외부평가자는 그 명성과 능력 면에서 쉽게 인정받을 수 있어 프로그램 관련자와 평가 관련자들로부터 평가자에 대한 높은 신뢰감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외부평가는 그 기관이나 프로그램에 관하여 또는 그 전개과정에 관하여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렵고 예상프로그램이나 평가할 상황을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관련인사들과의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하거나 그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애로를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외상
개인이 어떤 충격적인 경험을 겪게 되었을 때에 갖는 심리적인 고통. 외상이 심한 경우에는 심리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다. 외상으로 인한 변화는 태도 및 가치관의 변화로까지 발전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변화는 지속적인 변화가 될 가능성이 있다. 외상으로 인한 심리적인 고통은 불안과 공격성을 자극시킨다. 외상은 공격적인 행동을 통하여 불만족 상태를 회복시키거나 내면적인 방어기제를 발달시키거나 욕구만족을 방법을 쇄신(刷新)시킴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외적 타당도
한 특수한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그것이 수행된 맥락(脈絡)과는 다른 상황이나 피험자(被驗者)에까지 일반화시킬 수 있나 없나를 구분하는 정도. 상황에 따른 일반화가 특히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경우는 보다 특수한 용어로서 「생태적 타당도」(ecological validity)라는 말을 쓴다. 경험적 연구는 크게 내적 타당도(intenal validity)와 외적 타당도를 검토하여 평가된다. 연구는 항상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지만 연구자는 그 연구 결과가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예컨대,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가 일상적인 상황에까지 일반화될 수 있거나, 혹은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얻은 기능과 학업성적과의 관계가 대학생에게까지 일반화 될 수 있다면 그것은 일상적인 유용도의 면에서뿐만 아니라 과학적 지식의 발전이라는 면에서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자신의 소망이 객관적인 사실을 구분 짓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하면 외적 타당도는 연구자의 기대나 소망에 의해서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의해서 검증(檢證)되어야 할 성질의 것이다.
요구평가
개인이나 집단 또는 기관 및 사회의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 일반적으로 요구는 이루어지길 바라는 것 또는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것들과 현재 이루어진 것 간의 차이(discrepancy)로 정의된다. 요구란 현재의 상태(actual status)가 표적상태(targeted status)에 못 미칠 때 생기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요구평가는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의 요구를 사정하여 기존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거나 관련집단의 요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또한 요구평가는 단점이나 문제점들을 진단하거나 발견하기 위해서도 실시되며 필요에 따라 평가모형의 구성요소가 되어 요구평가에서 얻어진 결과가 평가 보고서의 한 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교육적 요구에 대한 형식적 평가(formalized assessment)는 교육에서의 책무성(accountability)이 강조되고 교육적 계획 및 평가에 보다 정보에 입각한 모델이 적용됨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요구평가에 적용되는 전략이나 절차는 다양하지만 그 일반적인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평가가 사용된 목적과 관심을 두어야 할 분야, 관련집단 등을 규정해야 한다. 둘째, 요구가 사정될 기준을 정한다. 요구사정의 기준이 되는 표적상태(targeted status)의 형태로는 목적(goal) 또는 이상(ideals), 규준(norms), 최저만족수준(minimum satisfactory level), 또는 바램 내지 기대(desire and expectation)등을 들 수 있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적당한 사정기준 형태가 선정되어야 한다. 셋째, 자료수집 과정 및 분석과정과 결과보고과정을 고려해 연구설계를 하고 실행한다. 넷째, 확인된 요구들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 요구평가연구는 항상 결과의 활용성(utility)을 중시한다. 어떤 목적으로 요구평가가 실시되었건 간에 마지막 단계는 항상 얻어진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욕구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충족시켜야 할 기본적 욕구를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말로서 요구라고도 번역되지만 본래의 뜻과는 차이가 있어 욕구가 타당하다. 유기체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생활체 내부의 원인, 즉 식물이나 물은 동물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것이 없을 때에는 이를 얻으려고 하는 긴장 상태가 생긴다. 이러한 긴장 또는 원인을 욕구라고 하며 동기요소가 된다. 인간의 욕구는 동물과는 다른 순수한 직접적인 형태로 행동에 나타나는 일은 드물다, 즉 유전적, 선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그 기준이나 정도는 주관적, 상대적이며 경제, 사회, 문화의 조건에 의하여 다르다. 욕구는 개체 보존의 욕구:개체의 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서 고통 회피, 배설, 휴식, 음식 등 종족보존의 욕구:성욕, 임신후의 여성의 모성적 욕구 등 사회 활동의 욕구:개체와 개체가 연속되어 집단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협력의 욕구, 집합의 욕구, 집단성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경쟁과 공격의 욕구 등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욕구가 직접 어떤 행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될 때를 동인(drive)이라고 한다. 또 개인이 다른 개인 내지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서 충족하게 되는 욕구를 나타내는 경우, 정확히 이것을 사회적 욕구라 하며,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유형, 무형의 수단이 사회자원(social resources)이다.
욕구좌절
목표 지향적 활동이 전체적으로 또한 부분적으로 차단되거나 방해를 당하고 있는 상황. 물리적 장애, 보상의 감소나 철회, 반응 또는 행동의 연쇄를 차단하는 것 등이 욕구 좌절을 초래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또한 실망․패배․목표달성 과정의 방해 등으로 인해서 생기게 된 혼동․당혹․분노․비애 등의 상태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리고, 목표달성의 좌절로 인해서 생기게 된 반작용을 가리키는 것으로, 흔히 공격성․퇴행․고착, 또는 반응강도의 상승이나 하강 등의 현상이 규명되어있다.
우울신경증
비애감․무가치감․죄책감․무력감․등은 물론 인간관계에서의 이탈, 수면이나 식사 또는 성(性) 등에 대한 욕망을 상실한 정서적 상태와 행동특징을 나타내는 신경증의 일종.
우울장애
조직을 압박하는 압력이 모세혈관 압보다 더 커서 이로 인하여 장시간 조직에 빈혈을 유발하여 생긴다. 대부분 골 돌출부위 위에서 여러 시간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발생하나 이외에 영양 결핍, 부종, 빈혈 등이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예방에는 ① 뼈돌출 부위의 압박을 경감시킨다.(Air mattress, 체위변경, water mattress) ② 압박 부위의 순환 증가시킴 ③ 적절한 식이 섭취 ④ 피부의 육아조직 보호 등이 있다.
우회학습
자극-유형 학습이론의 하나. 실험 동물과 먹이의 사이에 철망이나 유리창 등의 장애물이 놓여지게 되면 실험 동물은 먹이를 먹기 위하여 반대 방향으로 우회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하여 장애물을 돌아간다는 것이 단순한 결합, 즉 시행착오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태의 이해, 즉 통찰에 의한 행동이 많다는 것이다.
운동기능
비교적 단순한 운동(적) 반응계열이 보다 복잡한 운동으로 통합된 신체적 기능. 예컨대, 피아노를 치는 것, 글씨를 쓰는 것, 공을 차는 것과 같은 것이 운동기능의 예이다. 운동기능은 지각적(知覺的) 운동기능(perceptualmotor skills), 또는 심체적(心體的) 기능(psychomotor skills)이라 불리어지기도 한다. 운동기능의 학습과 성취에는 감각․두뇌 및 근육의 작용이 요청된다. 이러한 운동기능은 학습된 신체적 운동 능력으로서 속도․정확성․힘․유연성(柔軟性)에 따라 그 수준이 판별된다. 학교학습에서는 운동기능의 학습이 중요한 역할을 하여, 저학년에 이르면 이를수록 운동기능 학습이 중요하다. 교과영역에 따라서는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운동기능의 고도화와 통합화가 더욱 강조되는 것도 있다. 스포츠․기악(器樂)․기술분야 등은 고도의 통정(統整)된 운동기능이 요구되는 대표적 분야이다.
운동발달
걷기, 기어다니기, 기어오르기, 물건을 손으로 잡기, 물건을 다루기 등, 대근육 및 소근육을 포함하는 신체적 능력이 발달하는 것. 운동발달의 일반적인 원칙으로는, ① 성숙과 학습의 정도에 따라 발달이 이루어지며, ② 예언 가능한 순서로 일어나며, ③ 발달의 단계는 예언할 수 있으며, ④ 운동 기술의 학습은 아동이 신경계통과 근육이 우선적으로 발달되어 학습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기 전에는 장기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⑤ 운동발달의 속도는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운동지각능력
블룸(B.S.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에 있어서, 심체적 영역의 제 3단계 수준에 속하는 것으로 학습자의 지각적 유형의 전부를 가리키며 이로부터 자극이 학습자에게 접수되고 고등 뇌중추에 전달되어 해석되는 능력. 이 수준은 심체적 영역뿐만 아니라 인지적 행동을 통제해 주고 있지만 많은 연구자들은 심화된 운동경험은 보통 어린이가 당면하는 수많은 사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조화하고 지각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심체적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한 개인의 효율적인 기능발휘를 위해서 이 운동지각 능력은 학습자의 지적정의적 및 심체적 영역의 발달에 필수적이 된다. 이 능력은 학습자의 자극을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어 환경에 필요한 적응을 하게 해준다. 이 능력의 발달을 위하여 학습자는 초기에 감각적 자극이 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도로 갖도록 하며, 이러한 능력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각종 동작에 대해 탐구할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 이 능력수준은 운동지각능력(preceptual abilities), 시각변별(visual discrimination), 촉각변별(auditory discrimination), 청각변별(tactile discrimination), 협응능력(co-ordinated abilities)으로 분류된다.
원인
변화, 운동 혹은 행위를 가능하게 한 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원인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① 사물의 발생을 본질적으로 결정하는 형식적(formal) 원인, ② 사물의 자료가 되는 질료적(質料的, material) 원인, ③ 결과를 야기하는 힘을 의미하는 효율적(efficient) 원인, ④ 목적을 의미하는 궁극적(final) 원인을 들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신(神)을 의미하는 제일의(first) 원인을 들기도 한다. 르네상스의 시기에는 원인을 존재하는 실체적 대상(object)으로 생각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에너지나 행위의 형태로 이해한다. 뉴우튼은 같은 결과에는 같은 한 결과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주장은 변화의 관계이며 논리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개념들로 표현될 때, 한 사건의 발생한 사건이 원인이 된다. → 결과, 인과론, 인과율
웩슬러 개인 지능검사
뉴욕에 있는 벨로이베(Belleuve) 정신병원에서 웩슬러(D. Wechsler)가 만든 지능검사. 웩슬러-벨로이베 지능검사라고도 한다. 이 지능검사에는 성인용(WAIA) て 아동용(WISC) て 취학전기아동용(WPPSI)의 세가지 검사는 각각 언어성과 동작성이라는 두 가지 검사는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있고, 언어성 검사에서 받는 언어성 IQ, 동작성 검사에서 받는 동작성 IQ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웩슬러 개인 지능검사는 임상 て 진단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에도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인 성인용(KWIS)과 아동용(KWSI)이 각각 표준화되어 있다.
유아자폐증
아동 정신분열증과 구별되는 아동정신병의 일종. 그 행동 특징을 보면 초기부터 극심한 고독에 빠져 있어 모든 사람과의 접촉을 회피하며, 언어발달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고, 일상적 생활 습관이나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저항이 심하다.
유인
어떤 목표 활동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자극으로서 실제적 목표가 될 수 있는 어떤 대상. 넓은 의미로 사용될 때에는 목표와 같은 뜻을 지닌다.
유전
어버이의 성격․체질․형상 등의 특성이 자손에게 전해지는 현상. 이 과정은 세포핵의 염색체 내에 있는 유전인자 (DNA 혹은 RNA)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와 세포질에 의한 경우가 있는데, 인간을 비롯한 고등동물의 경우 대개가 DNA에 의해 유전이 된다. DNA는 자기와 동일한 개체를 복제(復製)하는 능력을 가짐으로써 어버이가 가진 형질을 그대로 자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이상(異常)이 생기게 되는 것을 돌연변이(突然變異)에 한다.
유전상담
유전상담의 목적은 ① 어떤 기형이나 유전성 질환이 발생하였을 때 다른 어린이에게 재발의 위험성을 결정하며, ② 유전성 질환을 가지고 태어날 위험성을 결정함으로써 진단과 치료를 신속히 시작할 수 있도록 하며, ③ 유전성으로 오기 쉬운 중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는 아기의 출생을 출산전 진단을 통해서 예방하는 데에 있다. 주요한 진단법으로는 임신 14-16주에 양수천자를 시행하여 염색체 분석과 α-태아 단백 검출을 시행하는 방법과 융모막 채취(CVS)를 임신 9-11주에 시행하여 직접 DNA 분석이나 세포배양 검사를 할 수 있다. 그 외에 초음파검사, 경피적 제대혈 채취, fetoscopy 및 방사선 방법이 있다. 장애아동이 태어날 확률이 높은 부분들을 위해서 임신 전 혹은 임신 후에 유전학적 정보를 주고, 상담하는 것을 말한다. 유전상담가는 산전 진단 방법을 통한 정확한 진단 자료와 함께 장애에 관한 유전적 형태의 정보 수집은 물론 장애의 원인, 부모의 가계 조사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의 원인이 유전적 문제로 인한 것이라면 부모가 받게 될 심리적 충격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며, 산아 제한, 입양 문제, 인위적인 산아 제한이나 낙태에 대한 종교적․도덕적 신념 등을 총망라해서 다뤄야 하기 때문에 단순한 유전학자 이상의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조언을 받고 난 후 부모는 태아가 장애아동으로 태어났을 때 치뤄야 하는 고통, 아동을 평생 동안 돌보아야 할 경제적․정신적 부담, 부모들의 종교 혹은 가치관, 교육의 여건, 부모의 준비 태세, 그리고 그 박의 가족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등을 고려해서 임신을 준비하든가 출산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유희치료
놀이가 아동의 자기 표현의 자연적인 매개(媒介)라는 점에 착안하여 아동의 정서て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키고 나아가 치료적인 효과를 가져오도록 놀이를 이용하는 치료방법. 아동은 유희요법의 기회를 통해 긴장상태て욕구좌절て불안정감て공포て갈등て혼돈て공격성 등의 일상생활에서 누적된 감정을 놀이로써 표현하는 것이다. 이 표현된 감정을 아동 스스로가 직면하게 되고 나아가 그 감정을 통제하는 것을 학습하거나 그 감정을 해소시키거나 하게 된다. 유희요법은 비지시적 상담(非指示的相談)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성장과 자기지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근본적으로 인정하는 데에서 출발하므로 유희요법의 방법과 기술은 비지시적 상담의 원칙에 준거한다. 유희요법의 장소는 대체로 유희실에서 이루어지나 유희실 이외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 유희요법의 대상은 인성적(人性的)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12세 이하의 어린이로 삼는 것이 보통이나 인성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유희요법에서 사용되는 용구는 일반적으로 아동이 쉽게 놀이를 할 수 있는 놀이 시설て각종 장난감て그림 도구て찰흙て인형집 등 유치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을 이용한다
음악치료
음악치료자가 치료적인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내담자에게 음악을 듣게 하거나 적절한 연주 행동을 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통합과 바람직한 행동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등의 치료적 효과를 보게 하는 특수한 심리 치료법이다. 그 효과는 내담자의 기분뿐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에까지도 작용하는데, 음악을 통해서 심신의 건강이 심리적 원인에 의해서 영향받는다는 것을 이해시키고 음악의 기능을 통해 건강을 회복, 증진시키기는 것이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개인적인 표현과 정서적 욕구를 위하여 안전한 환경과 구조를 마련한 것이어서 내담자의 고통스러운 정서를 표현하게 하고 받아 주기 위한 그릇이라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을 되돌아보는데 안정감을 가지게 하고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도와준다. 장애아동들의 문제 가운데 하나는 언어적인 수준에서의 소통이 매우 곤란하다는 것인데, 이때 비언어적 전달 수단으로서의 음악이 치료자와 아동을 서로 결부시키는 유효한 매체로서 기능 한다. 이것은 치료를 유효하게 추진하는데 필요하고, 특히, 자폐증 아동의 경우 아동과 다른 사람들과의 인간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하며 상호 간에 의사소통의 기회를 넓힐 수 있게 도와준다. 비음악적인 행동을 수정하고, 정신 건강, 사회성 발달, 사회 적응, 운동 협응을 위해 이뤄지는 모든 형태에서 음악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때로 음악요법은 재활에서 치료적 기구로 사용되며 레크리에이션이나 교육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특수교육에 있어 음악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활동을 통해 학습을 즐겁게 촉진시켰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치료적으로 볼 때 음악은 장애아동의 성격에 심리적․생리학적인 면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행동주의자들은 행동을 바꾸고자 할 때 음악을 사용한다고 한다. Freudians는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카타르시스, 승화 그리고 효과적인 상태로의 변화를 위해서는 음악사용이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음악치료는 병원, 학교, 기관, 1:1로 치료․교육하는 임상센터 등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는 음악, 음악 기구, 춤, 음악회 참석, 작곡, 노래 부르기, 노래 듣기 등이 포함된다. 특수교육에 있어 음악요법은 보상적인 목적으로 장애아동에게 논리적인 연속으로 운동하고, 발생하며, 음악에 대해 반응하고, 참여하기, 지시 따르기 등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모든 아동에게 심리적이고 즐겁고 풍부한 경험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 음악교육과는 구분된다.
의료재활
신체장애에 대처하는 재활의학적 전문영역으로 재활복지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단순한 신체적 장애치료에 그치지 아니하고 유기체로의 인간 특성과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지향할 수 있는 재활복지의 구성 부분으로서의 개념을 가진다. 의료적 치료는 외상이나 질병에 대한 병소 치료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환자가 장애를 갖게 되었을 때, 남아 있는 기능으로 일상생활은 물론 직장생활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까지 포함한다."라고 뉴욕대학 러스크가 정의했다. 그러므로 의료재활은 의사를 비롯한 여러 전문요원이 팀을 이루어 시행하는 것으로 재활의학 전문의와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보장구 및 의지제작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등이 의견을 종합하여 장애의 종류와 장애정도를 평가하고 치료계획과 치료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선택하여 실시한다.
의식
(1) 가장 넓은 의미로는 물리적 또는 신체적 과정 등에 대립되는 심리적 정신적 과정. (2)철학적으로는 능동적 특징을 가진 의지(意志)와 수동적 특징을 가진 지각(知覺)을 포함한 인식의 근본적 조건으로서의 심리적-정신적 과정을 통칭하는 말. (3) 좁은 의미로는 무의식(無意識)과 대립되는 것으로 자신의 심리적-정신적 과정의 인식. 무의식을 의식에 포함할 경우에 흔히 잠재의식(潛在意識)이라고도 한다. 해밀턴(W. Hamilton)은 의식은 정의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는 우리가 의식이 무엇인지에 관해서 명백히 알고 있지만 그것을 명백히 타인에게 밝히기 어려운 것은, 의식이 바로 모든 인식의 근원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의식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의식의 행위(과정)와 의식의 내용(대상)으로 구분되며, 또 그 기능은 인지적(認知的)․정서적(情緖的)․의지적(意志的)인 것으로 분류된다.
의식화
한 개인 혹은 집단이 그가 처한 상황에 복종하는 태도에서 자각을 통한 비판적 시각으로 현실적 제 모순(諸矛盾)에 대항해 그것을 극복하려는 태도로 변화하는 과정 또는 그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작업. 이 말은 브라질의 민중 교육가인 프레이리(P. Freire)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그는 이것을 "사회적․정치적․경제적 모순들을 인식하고, 현실의 억압적 요소들에 대항하여 행동을 취하게 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역사적으로 지배만 당한 대다수 민중은 그들에게 불리한 현실의 사회구조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며, 감히 그것을 탈피하려는 생각을 갖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대한 일종의 두려움조차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 사회모순들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민중의 의식이 변화해야 하며, 이때 필요한 것이 민중의 의식화이다. 즉, 현실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만드는 것이며, 자기에게 불리한 여건은 누군가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그러한 모순에 대항하여 권리를 쟁취해야 된다는 의식적 자각이 의식화의 내용이다. 이러한 자각은 지배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도 요구되며, 포괄적으로 의식화는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현실적 모순에 대항․극복하려는 모든 사람들의 의식적 자각이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식의 자각을 위한 교육이 의식화교육이다.
의존성
한 개인이 존재하기 위해서 또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다른 개인이나 사회로부터 도움을 받고자 하는 성향. 아동의 의존성은 아동으로 하여금 부모나 교사를 모방하게 하고, 모방은 아동의 사회화의 기초가 된다. 그러나 의존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의존하던 대상과 떨어졌을 때는 불안해지며 성격발달이나 사회성 발달이 늦어지게 된다.
이기주의
사물의 인식과 가치의 판단에 있어서 그 근거를 자신의 내적 요인에 두는 사고방식. 일반적으로 자기 중심주의라고도 한다. 철학적으로는 자기의 마음 안에 있는 것만 인식된다고 하는 버클리(G. Berkeley)의 이론적 이기주의와 모든 것을 자기의 공리수단으로 보려는 홉즈(T. Hobbes)의 윤리적 아욕주의(我欲主義)가 있다. 쇼펜하우어(A. Schopenhauer)는 이기주의가 더욱 강조되면 부덕(不德)을 결과하여 윤리 파괴설로 격하(格下)된다고 보았다.
이상행동
적응하거나 정상적 기준에서 벗어난 행동. 흔히 부적응행동(不適應行動)․이상심리(異常心理)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을 구별하는 규준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를 찾기 힘들며, 흔히 다음과 같은 규준들이 논의되고 있다. 즉, 통계적 규준에서 벗어나는 것,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나는 것, 이상적(理想的) 인간행동유형에서 벗어나는 것, 환경적 요청의 기준에서 벗어나는 것, 개인의 심리적 요구에서 벗어나는 것, 즉 개인에게 심리적 갈등을 유발하는 정도에 따라서 규정하는 것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상행동 또는 이상심리는 신경증(神經症, neuroses)․정신병(精神病, psychoses)․성격이상(性格異常, personality disorders)․알콜과 약물중독(alcohlism and drug dependence) 등으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이상행동은 대부분 치료적 과정을 통해서 정상행동으로 변화될 수 있다. 치료방법은 크게 정신치료(精神治療)․생물학적(生物學的) 치료․환경적(環境的) 치료로 구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치료방법에는 독특한 이론체계와 구체적 치료의 절차가 발달되어 있다. 최근에 와서 이상행동의 치료보다 국민 정신건강의 증진을 통해서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입장에서 선진국가에서는 국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대적인 사업을 전개하는 추세에 있다.
이타주의
도덕의 기초를 인애(仁愛)와 동정이라 보며 타인의 행동․복리를 행위의 목적으로 삼는 주장, 이기주의에 반대되는 말로 애타주의라고도 하며 사회적 공리설로 불려지기도 한다. 콩트(A. Comte)에 의하면 사랑을 주의로 하며 질서를 기초로 하고 진보를 목적으로 하는 주의이다. 세네카(L.A.Seneca)의 사해동포관(四海同胞觀)도 여기에 속한다. 라이프니쯔(G. E. Leivniz)나 볼프(C. Wolff)등은 도덕상 자애(慈愛)의 정을 기독교적 교리로부터 도출하여 사회적 공리설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상조류는 불교나 유교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묵자(墨子)의 겸애설(兼愛說)은 그 논리가 이타주의의 윤리에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완전한 이타(利他)를 주장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자기 행복과의 일치를 구하려고 한다. 교육학에 있어서 이타주의는 교육활동의 최후 목적으로서 봉사적 자아의 형성을 주장하고 있다. 개인의 최고 가치를 타인(他人)의 행복에 둔다면 이타주의는 곧 교육의 궁극 목적이 될 수밖에 없다. 페스탈로찌(J. H. Pestalozzi)의 교육 행위는 이의 대표적인 경우이며 많은 교육적 업적들이 이 주장을 이상으로 삼고 있다.
인간관계 기술
조직의 일원으로서 효과적으로 일하고, 조직구성원의 활동을 조정하고, 목적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자극하고 동기유발(童妓誘發)하는 기술, 학교행정가는 교육위원회, 학교의 비전문직원과 전문직원,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교직전문단체, 일반인 등 관련집단 내의, 또는 그들 관련집단 간의 상충하는 기대의 한가운데 서 있는 중간층이기 때문에 어느 조직의 행정가보다도 인간관계 기술이 더욱 중요하고 복잡성을 띠게 된다. 인간관계 기술을 발전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알과 자신의 장. 단점을 알아야 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 들여 조직과 조직 속에 있는 사람들에게 변화를 일으키도록 일할 수 있는 내적 평정(平靜)을 지녀야 한다.
인간봉사
인간의 사회적 장애와 심리적 곤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원조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원조적 활동과 행동, 여기에는 정신건강 운동참가자․카운슬러․심리학자․사회사업가․법원의 관리․성직자․의사․간호원․교육자 등이 인간의 전인적(全人的) 발달과 환경과의 효과적인 적응을 이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인간성
인간의 여러 가지 가능성의 범위, 문화적 특수성으로 인한 차이가 있지만 어느 사회에서 생활하든 지간에 인간이 공통적으로 행하는 행위의 경향성이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그러한 인간특성의 범위를 인간 이외의 존재와 대조시켜 구별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인간의 본질과 목적이 가장 보편적 수준에서 관심의 대상이 될 때, 인간성을 논하는 것이 된다.
인격
개인의 지적(知的)․정적(情的)․의지적 특징 등을 포괄하는 정신적 특성을 나타내는 말. 흔히 성격 혹은 개성(personality)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성격은 천성적 특징과 우연적으로 형성된 특징까지를 포함한 보다 넓은 범주의 말임에 비하여 인격은 개체의 노력 혹은 수양에 의해서 형성된 특징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말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러므로 성격은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되지는 않으나 인격은 도덕적으로 평가를 받아 칭찬이나 비난에서 언급되는 대상이다.
인과관계
두 가지 이상의 과정, 사건, 변인들 간에 어떤 현상이 다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관계. 예컨대 A가 B의 원인이 되는 B보다 시간적으로 앞서야 하며 B가 일어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이 되어야 한다. 즉, 새로운 교수방법을 적용하여 다른 수준의 학업성취도를 얻게 되었다면 그 교수방법이 성적 변화의 원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사건이 함께 변한다고 해서 그들 사이에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두 변인 간의 높은 상관계수(相關係數)는 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주장하는 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 예컨대, 교회 수와 범죄율간에는 통계적으로 정적(正的)인 상관관계가 있지만 둘 중 어느 현상이 다른 현상의 원인이라는 결론은 성립되지 않는 다. 왜냐하면 그 상관계수는, 그 두 가지 사건이 모두 인구수라는 제3의 변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우연적인 관계에서 비롯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인도주의
인간의 경험이나 복리를 일차적인 관심사로 생각하려는 사상. 현세에서의 복지와 행복을 존중하는 반내세주의적(反來世主義的) 특징을 가진 경향도 있고, 르네상스 운동에서와 같이 고전(古典)의 정신과 사상을 부활시켜 인간의 개성과 가치를 강조하면서 종교적 제약에 반기를 든 것도 있다. 그 외에 모든 형태의 초현실적․초자연적 세계에 대한 신념을 부정하는 20세기의 철학적․종교적 노선의 형태도 있다. 즉, 그것은 현세의 모든 인류가 향유(享有)할 가치를 궁극적인 윤리적 목표로 삼고, 인간의 문제를 오직 이성과 과학과 민주주의적 방법에 의해서 해결하려는 경향으로, 「자연주의적 인도주의」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콩트(A. Comte)의 실증주의, 영국의 공리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미국의 「인도주의자협회」(American Humanist Association)가 있고, 국제적으로는 「국제 인도주의 윤리연맹」(International Humanism and Ethical Union)이 있다. 또한 인도주의는 고전 연구를 강조하는 교육운동을 일컫는 것으로도 이해되고, 톨스토이(L. Tolstoy) 등의 도덕적 문학의 경향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인물화검사
1926년 Goodenouhg에 의해 'Measurement of Intelligence by Drawings'에 소개된 검사법이다. 사람 그림을 그리게 하여 지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아동과 성인의 투사적 성격검사로서 특히 자아상(self image)이 투사되는 검사법으로 사용된다. 실시과정은 흰 종이와 연필을 주고 "사람을 그리시오"라고 지시한다. 만일 질문이 있을 경우에는 "원하는 대로 그리시오" 또는 "전체 모습을 그리시오"라고 응답할 뿐 자유롭게 피검사자의 선택에 맡긴다. 남자와 여자 두 사람의 인물을 그리게 한 다음 그려진 인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인물의 성격이나 배경, 인물의 신분에 대해 질문한다. 지능검사로 사용할 시는 채점 기준에 따라 두 그림을 채점한 점수를 합하고 그것을 둘로 나누어 규준에 따른 IQ를 산출한다.
인본주의
인간의 가치를 주된 관심사로 삼는 사상. 흔히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① 인간의 고통을 극소화하고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모든 도덕적․사회적 운동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② 신이나 자연이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오직 인간성(humanity)만이 존귀(尊貴)하다고 믿는 실증주의적 인간성 숭배의 사상을 일컫는 경우도 있다. ③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인하고 그 인격성(人格性)만을 주장하는 신학사상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된다.
인성적응훈련
직업 분야에서의 적응에 관련된 습관이나 태도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신뢰성, 타인에 대한 책임성, 인내력, 일관성, 시간관념 등이다
인식
넓은 의미의 앎에 상당하는 말로서 지각이나 기억이나 내성(內省)에 의한 깨달음. 의욕․정의(情意)와함께 의식의 기본적인 형태 혹은 기능을 이룬다. 스콜라(schola)철학에서는 인식이 직관적․포괄적․추상적․본질적인 것으로 구분된다. 직관적 인식은 대상 그 자체의 가장 명백한 형태나 영상(影像)을 직접적으로 접함으로써 깨닫는 것을 뜻하며, 대상 이외의 증거에 의해서 추리되거나 관찰된 것이 아닌 직접적 인식이다. 포괄적 인식은 대상전체를 완전히 아는 것으로, 대상 그 자체에 전적으로 상응하는 인식이다. 추상적 인식은 피조물(被造物)을 통하여 창조주인 신을 알 듯이, 어떤 대상을 직접적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물을 통하여 알거나, 대상 그 자체의 영상이나 특징이 주어지지 않아도 알게 되는 것이다. 본질적 인식은 대상의 정확한 영상에 의해서 안다는 점에서는 직관적 인식과 유사하나, 대상의 본질적이고 고유한 특성을 꿰뚫는 인식이다.
인적자원
한 사회, 또는 국민경제가 필요로 하는 재화(財貨)와 용역(用役)의 생산에 투입될 수 있는 인간의 노동력, 거시적 관점에서의 인적 자원은 그 나라의 경제활동 인구의 규모에 의해 결정되며, 미시적으로는 생산적인 재능, 기술, 지식을 갖춘 노동자의 수에 의해 그 양(量)이 결정된다. 이에 반대되는 개념은 물적 자원(物的資源)으로서 원자재. 기계. 설비. 건물. 토지 등을 일컫는다.
인지
지각(知覺)․상상․추리 및 판단 등 모든 형태의 지각 활동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개념. 인간의 정신 활동은 지(知)․정(情)․의(意)로 분류할 때 지에 해당한다.
인지구조
지각하는 현상을 믿음․태도 및 기대의 통합적이며 위계적인 형태로 조직한 것. S-R 이론이 학습을 시행착오의 반복을 통하여 고정되는 습관이라고 간주되는 데 반대하여 형태심리학에서는 학습을 통찰(洞察)에 의한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주장했다. 이때의 인지구조는 부분들의 단순한 산술적 총합이 아니라 조작된 전체라는 뜻을 갖게 된다. 예컨대 어떠한 멜로디를 이조(移調)하면 낱말의 음은 모두 달라지지만 멜로디 전체는 변하지 않는다. 형태심리학은 지각(知覺)을 먼저 원자적인 감각으로 분석하고 다시금 종합하려고 했던 연합주의적(聯合主義的) 심리학에 반대하여 지각은 처음부터 조직된 전체로 주어진다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학습 역시 이러한 전체적인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인지행동수정
사고와 인지를 행동적 절차에 의해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취급하는 행동치료의 확장된 영역. 인지행동수정은 엘리스(Ellis),백(Beck)의 연구에 힘입어 발전되었는데 이는 여타의 행동치료들과는 달리 행동적, 인지적인 다양한 기법을 포함한다. 인지행동 치료의 기본 가정은 심리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은 경험 그 자체가 아니라 그 경험에 대한 개인의 해석이라는 것이다. 치료는 비합리적인 사고를 바꾸기 위한 일련의 설득과 논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요한 생활사건에 대한 잘못된 시각과 해석을 수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과제가 부여되기도 한다. 인지행동치료가 인지적 과정의 치료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기본적으로 행동치료의 영역에 속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에 대한 학습이론의 수용과 과학적 연구절차에의 의존 때문이다.
인지행동치료
사고․신념․가치 등의 인지적 측면과 동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정신신체 행동(精神身體行動,paychomotor behavior)의 측면에 관련된 개념․원리․이론을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부적응행동을 치료하려는 정신치료의 경향. 일반적으로 조건화이론에 근거한 행동수정과, 펠리(Kelly)․엘리스(Ellis)등의 인지적 접근을 하는 인지치료를 통합하려는 카운슬링과 정신치료의 시도를 가리키는 폭 넓은 개념이다.
인테이크
어떤 사람이 문제 즉 욕구가 있어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원조에 대한 필요를 의식하고 어떤 사회사업기관 또는 시설에 찾아온다. 이 때 도움을 얻기 위해 찾아온 사람에게 그 기관에 속한 사회사업가가 처음으로 접촉하여 그의 욕구가 무엇이며 그것을 그 기관에서 충족할 수 있는 것인가를 결정하는 초기 과정으로 접수상담 또는 인테이크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인테이크는 사회사업 기관에서 클라이언트의 생산적이고 유용한 초기 접촉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이다. 일반적으로 접수상담 절차는 클라이언트에게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제공하지 못하는 서비스에 대해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포함하여 비용이나 약속 시간 등과 같은 서비스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필요한 정보(신상 …)를 수집하게 된다. 한편, 문제의 본질에 대한 예비적인 인상을 얻기 위해 면접을 하게 되며, 기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사회사업가에게 할당하는 것이다. 인테이크의 방법에는 기관과 사회사업가에 따라 조금씩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회사업가는 클라이언트가 처음 기관을 찾아왔을 때 갖게 되는 초기저항(예:말이 심하게 많음, 정보제공회피…)을 빨리 인식, 그것을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이때 사회사업가는 클라이언트에 대해 우월감을 느끼는 듯한 태도나 위협적인 태도 및 감상적인 태도 등을 삼가고 클라이언트를 수용, 이해, 그리고 그 말에 대한 충분한 경청과 감정에 대한 변함없는 태도를 보이며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를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사회사업가는 클라이언트가 하는 이야기에 대한 문제의 초점을 확실히 하여 그 문제가 복잡한 경우 이를 세분화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요구된다.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는 클라이언트 내담시 인테이크와 사회 진단을 사회사업가가 실시하게 되는데 그 내용을 보면 일반신원사항, 주호소 및 욕구진료사항, 생육사(출생전-출생시-출생후), 발달사항(신체발달-언어발달-신변처리). 현재 건강상태, 개인사항(강점, 약점-사회성), 가족사항(주양육자-양친자녀관계-장애수용도-유전적 요소), 가정환경(주택-수입-생활정도-동거), 교육사항(조기교육-학교적응), 요양, 소견 및 재활계획 등이다.
일과표
교육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활동들을 체계적으로 상세하게 정리한 하루의 일 시간표. 하루의 일과가 미리 계획되어 있더라도 아동들의 신체적 요구와 흥미에 따라서, 또는 교사의 지도계획에 따라 융통성 있게 진행할 수 있다.
일관성의 원리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에서의 조건자극(條件刺戟)이 성립되기 위한 조건 중의 하나. 강화과정에서 동일한 조건자극에 대해 일관성 있게 강화해야 한다는 원리이다. 이 원리는 자극의 일반화나 제지(制止), 도는 탈제지(脫制止) 현상 등을 미루어 보아도 알 수 있는 원리이다. → 강도의 원리
일반능력
어떤 일이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지식이나 기능 어떤 활동이나 일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심리적 조건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반능력에는 지능․적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일반능력은 지능이나 적성보다 더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적성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 예를 들면 타자를 배우기 전에 지니고 잇는 타자를 배울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키며, 지능이란 비네(A. Binet)에 의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향을 설정하고 목표도달을 위해 수단을 변경시켜 나가며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와 방법을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개인의 심리적 과정의 특징을 뜻한다. 그러나 조작적으로 보면 적성은 적성검사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를 가리키고, 지능은 지능검사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를 가리키고, 지능은 지능검사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를 뜻한다. 일반능력은 지능․ 적성․ 흥미․ 학업성취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반화
어떤 과제를 학습한 것을 학습한 상황과 다른 상황이나 다른 자극 및 과제 요구에서도 학습한 것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의 일반화는 자극의 일반화와 반응의 일반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자극의 일반화는 학습을 한 장소, 학습을 가르친 교사나 부모, 학습에 쓰인 자료가 바뀌어도 그 학습 과제를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장소, 사람, 자료에 대해서 모두 일반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반응의 일반화는 학습에서 습득한 목표 행동 이외에 이와 비슷한 다른 행동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한 자리수 + 한 자리수 덧셈을 가르쳤다면, 두 자릿수 + 한 자리 덧셈 등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학습의 일반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학습 시 사용되는 자료나 가르치는 사람은 가능한 일반 환경과 유사하게 해준다. 둘째, 학습 혹은 행동 지도 시 가능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바꾸어 실시한다. 셋째, 아동의 학습을 부모나 교사의 강요에 의해서 억지로 하게 하는 것보다는 아동 스스로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할 때 처음에는 강화를 자주 주다가 차츰 그 횟수를 줄이며 종류도 다양하게 해서 유도한다. 조건 형성에서 일단 조건 반응이 특정 자극에 대해서 확립되게 되면 비슷한 자극에 대해서도 동일한 반응을 일으킨다는 원리이다. 예를 들면,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고 하듯이 한 번 불안을 유발했던 자극 조건과 비슷한 조건과 장면에서도 불안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또, 문제 해결 및 학습의 전이에서 학습자가 한 종류의 대상, 사상이나 문제에 공통적인 특징이나 원리를 알아내어 이와 유사한 것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알고 있는 개들이 공유하는 공통적 특징을 알고 있어 새로운 종류의 개를 보고 정확하게 개라고 알 수 있는 것이다.
일상생활동작
먹기, 세수, 이닦기, 대소변 보기, 면도, 손톱깎기, 머리빗기, 옷입기 등 일상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동작을 말한다.
일제학습
일정한 집단의 피교육자들을 동일한 방법, 동일한 내용으로 일시에 지도하는 학습형태. 이 학습형태는 어떤 특정한 전문성을 지닌 학습형태라기보다는 개별학습에 반대되는 일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 기원은 18세기말부터 19세기초에 영국에서 시도한 조교제도(monitioral system)에 두고 있으며, 산업혁명 이후 다수의 근로자교육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그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그후 세계 각국에서 현대식 학교교육이 대중 교육화됨에 따라 일제학습은 그것 자체가 지니고 있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의 기본적인 방법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 학생들의 개성에 부합하고 창의성을 계발하는 새로운 피교육자 중심의 방법들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다.
일치
사회심리학의 용어로서 자신에 대해 지니고 있는 견해, 그 견해에 따른 행동에 대한 자신의 해석, 자신의 견해와 해석에 대해 타인이 어떻게 반응 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 등의 세 요소 사이에 합치가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현상. 사람은 이 세 가지 요소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 매력을 느끼고 접촉을 계속하려는 경향이 있다. 상담과 정신치료에서는 카운슬러가 말하고 행동하는 것의 일치나 내면적 경험과 그 표현이 일치되는 것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로저스(C. Rogers)는 이것이 상담관계 형성에서 수용․공감과 함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또한 내담자의 관심과 고통에 대한 카운슬러의 관심이 일치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기도 한다.
일탈행동
사회적 규범에서 일탈한 행동, 그런데 사회적 규범은 극히 다양하여 문화에 따라서 다르고, 같은 문화라도 시대에 따라서 다르며 하위문화에 따라서 다를 수도 있다. 범죄․비행․마약․매춘․폭행, 속어․비어․은어의 사용, 신(神)에 대한 모독, 정치․경제에 대한 과격한 언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일탈행동은 사회적 규범의 규정방법에 따라서 상대적인 뜻을 갖는다. 일탈자란, 일탈행동약식을 취하고, 정도가 강한 일탈행동을 하거나, 또는 정도는 가볍지만 되풀이하여 사회적 허용한계를 넘음으로써 사회, 또는 집단으로부터 일탈자라는 낙인이 찍히게 된 사람을 말한다. 레머트(E.M. Lemert)는 일탈을 개인적 일탈․상황적 일탈․체계적(집단적) 일탈의 세 가지로 나누었고, 머튼(R.K. Merton)은 혁신형(革新型)․의식형(儀式型)․반항형 등의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그밖에 파슨즈(T. Parsons) 및 듀빈(R, Du-bin) 등의 연구가 있다.
일화기록법
한 개인의 행동에 관해 제 3자의 입장에서 관찰․기록하는 것. 이것은 한 학생의 특정한 행동을 그 행동이 있을 때마다 이를 상세히 종단적으로 관찰․기록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주로 학생의 정의적 학습과 사회에 대한 평가에 사용되나 일반 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도 이용 될 수 있다. 특히 이 방법은 특정한 학생의 문제행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나의 문제행동을 해결하는 데는 그것이 어떠한 발달과 변화 과정을 거쳐왔는가에 관한 과거의 지식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교사 또는 제 3자의 의해서 기록되는 일화기록 방법에는 일정한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어떤행동이 언제, 어떤 조건하에서 발생되었는가의 사실적 기술이 있어야 한다. ② 이러한 행동에 대한 해석과 처리 방안이 각각 따로 분리되어 기록 제시되어야 한다. ③ 하나의 일화기록은 하나의 사건의 기록이 되어야 하며 여러 시기의 사건을 총괄하여 종합적으로 기록해서는 안 된다. ④ 하나의 기록된 사건은 그 학생의 발달과 성장을 이해하는 데 의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 방법은 다른 관찰 방법보다 일반적으로 비공식적이며, 그 체계성이 적다. 또한 시기에 따른 체계적인 시간표집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사건이 생길 때마다 기록되므로 다른 관찰 방법보다 덜 신뢰로울 가능성이 있다.
임상 심리학
심리학의 다른 모든 분야와 사회학 등의 인접 학문에서 연구된 이론이나 방법을 개인 또는 집단의 부적응 문제의 진단․치료에 적응시키는 심리학의 한 분야. 임상심리학은 실험연구와 측정에 근원을 둔 심리학의 학문적 연구분야로 출발하였다. 처음에는 정신이상의 분류, 개인차에 관심을 가졌으며 어린이가 주대상이었으나 차츰 진단 외에 심리치료까지 곁들이면서 대상도 성인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최근에는 연구방법․진단기술 등이 발달함에 따라 관심영역이 확대되었고 정신질환의 사회․심리적 원인과 처치방안, 사회나 국가를 단위로 한 정신건강 예방 프로그램 등에도 역점을 두게되었다. 또한 현재에는 심리적 건강을 개인적․문화적․사회적․윤리적 요인의 복합적인 현상으로 보고 다방면으로 접근하고 있다. 임상심리학이 다루는 문제는 정신병․청소년 범죄․범죄행동․약물중독․정신박약․가족갈등, 그 외의 부적응 행동들이다. 임상심리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따라 임상심리학자들은 병원․학교 등에서 치료활동을 하는 것 외에도 소년법원․직업상담소․결혼상담소․가족상담소․노인학교 등 여러 기관에서 상담활동을 하고 있다.
입소 갱생(재활)시설
의학적 치료나 생활훈련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통합을 목표로 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시설이다. 재활훈련을 받으며, 훈련이 끝나면 퇴소하여 취업 또는 자영사업운영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