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복분자[覆盆子]
다른이름 : 大麥莓(대맥매),覆盆(복분),揷田藨(삽전표),西國草(서국초),烏藨子(오표자),畢楞伽(필릉가),茥(규),蒛葐(결분)
약 맛 : 산(酸) 감(甘)
귀 경 : 간(肝) 신(腎) 방광(膀胱)
주 치 : 尿頻, 頭髮枯萎, 目暗不明, 目翳內障, 不孕, 腎虛遺精, 夜盲症, 陽痿早泄, 遺尿, 早脫早白, 滑泄
약용부위 : 열매
처 방 : 검실환(芡實丸) : 의학입문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 : 의학입문
금 기 : 溫性으로 尿를 농축하므로, 尿量減少나 陰虛陽亢, 腎虛有火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성욕이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에도 사용을 금해야 한다.
효 능 : 補肝明目,補腎固精縮尿
주치증상 : "<別錄(별록)> : 기운을 북돋우며 몸을 가볍게 하고 흰머리가 생기지 않게 한다.
馬志(마지) : 허약한 체질을 튼튼하게 하고 손상된 신체의 회복을 돕고 성기능을 좋게 하며 피부의 색깔을 좋게 하며 五臟(오장)을 편안하게 한다.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기운을 북돋고 重病(중병)을 치료하고 허약하여 발생하는 風症(풍증)을 다스린다. 肝(간)을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찧어서 체에 걸러서 매일아침 물과 함께 세 숟가락을 복용한다.
甄權(견권) : 남자의 성기능저하를 치료하여 발기불능을 치료하고 여성이 복용하면 아기를 가질 수 있다.
陳藏器(진장기) : 이것을 먹으면 안색이 좋아지고 즙을 짜서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지 않는다.
寇宗奭(구종석) : 腎臟(신장)을 돕고 소변의 횟수를 줄이며 즙을 짜서 같은 분량의 꿀과 함께 졸여서 묽은 시럽의 형태로 만들어 틈틈이 먹으면 肺氣(폐기)가 허약하고 차가운 것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茥(규), 蒛葐(결분), 西國草(서국초), 畢楞伽(필릉가), 大麥莓(대맥매), 揷田藨(삽전표), 烏藨子(오표자)가 있다.
李當之(이당지) : 열매가 그릇을 엎어놓은 듯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寇宗奭(구종석) : 腎臟(신장)을 돕고 小便(소변)의 횟수를 줄인다. 이것을 먹으면 요강이 소변 줄기에 뒤집어진다. 때문에 복분자라는 이름이 붙었다.
李時珍(이시진) : 음력 5월에 열매가 익는데 그 색깔이 검붉은 색이다. 때문에 일반인들은 烏藨子(오표자), 大麥莓(대맥매), 揷田藨(삽전표), 栽秧藨(재앙표)라고도 한다. 甄權(견권)은 본초서에서 馬瘻(마루), 陸荊(육형)이라고 하였으나 그 의미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