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각의 이해◈
전각(篆刻)은 서화(書畵)에서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중요한 용구이자, 하나의 예술품이다. 잘 쓰여진 서예작품이나 그림에 전각이 찍혀있지 않으면 미완성 작품으로 인식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다.
전각이란 말은 전자(篆字)의 글씨를 이용하여 새겼기 때문에 불리어지고, 흔히 낙관(落款)이란 말로 많이 불리어진다. 낙관이란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낙관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린 뒤 관지(款識)를 하고 작가의 도장을 찍는 전체를 이르는 것을 말한다.
예로부터 도장에는 전서 외에도 해서와 예서, 그림이나 동물 따위의 형상을 새겨왔었다. 인물이나 동물의 형상을 도형화시킨 것은 초형인(肖形印)이라고 한다.
오늘날 우리가 작품에 사용하는 낙관용 전각은 일반적으로 중국 명나라 문팽(文彭:字는 壽承, 別字는 三橋, 文徵明의 長男으로 江蘇省 長洲 사람이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문팽은 전각에 관한 학술적 논거(論據)를 처음으로 확립한 사람이다. 또 전각을 하나의 예술적 기호(嗜好) 및 필수품으로 등장시키는데 크게 공헌했다.
그 후 전각은 새로운 예술로 점차 확대 인식되어졌으며, 전각이 지닌 문자학적(文字學的), 서사적(書史的), 예술적 가치의 중요성이 시대가 갈수록 분명하게 인식되고 있다.
전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장법(章法)이다. 서예에서 결구(結構)라고 하는 것이 장법이다. 이 장법을 등산목 같은 이는 목수가 집을 짓기 전에 해야하는 기초공사인 '정지 작업'에 비유했다. 기초공사가 제대로 되어야 그 위에 세워지는 건물을 생각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논리이지 실제는 그와 같지는 않다. 도장이란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 형태에서 파악해야 하는 직접적인 것이며, 건물은 수용능력과 기능에 따른 연구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모든 예술은 장식성을 떠날 수 없다. 우선은 항상 정감이 가도록 해야 한다. 모처럼 제작된 것이 한두 번 보는 사이에 싫어지게 되면, 그만큼 그 작품은 조형성이 결려되어 있다는 증거다. 좋은 것은 항상 옆에 두고 보거나 사용해도 정감이 끈끈하게 흐르고 애착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도장은 모두 적색으로 찍혀 있다. 물론 붉은 문자는 주문(朱文), 백색의 문자는 백문(白文)으로 구분한다. 또 이것을 양각과 음각으로 구별한다,. 그러나 음양각으로 말하기보다는 주백문(朱白文)으로 구분하는 것이 더 올바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