묄렌도르프 (한국명: 목인덕) ecustoms.tistory.com/329

한국 최초의 장기체류 선교사 알렌 (맨 왼쪽) (cafe.daum.net/bumwooroom/KKbZ/163)
독일인 묄렌도르프는(Paul Georg von Möllendorff) 1982년 원래 조선을 중국의 종속국으로 단단히 매어놓고자하는 의도를 가진 이홍장의 추천으로 한국에 온다. 묄렌도르프는 한국이름으로 목인덕 穆麟德)이라고 자신을 불렀고 한국옷을 입고 일하였다. 그는 조선을 청의 속국이 아니라 자주국가로 세워 강한 국가로 만들고자 기회를 기다렸다.
그가 조선에 왔을때 조선에선 대원군의 쇄국정책과 그의 섭정(攝政)이 끝나고 고종(高宗)의 친정이 시작되어, 고종의 왕비 민씨(閔氏)의 친척이 권력을 잡고 대원군과는 반대인 개국정책(開國政策)을 쓰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조선은 일본을 비롯하여 미국, 영국등 여러 나라와 통상수교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민씨 세력은 여전히 사대사상에 젖어 있었고, 유림(儒林)들은 여전히 서학을 반대하였다.
이때 급진적으로 조선을 개혁하고자 김옥균(金玉均)을 비롯한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등 혁신주의자들이 1884년12월4일 쿠데타를 감행하여 사대주의 사상에 젖은 민씨 일파를 몰아내고 봉건적인 제도를 타파하고 근대적인 국가를 이룩코자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삼일천하로 끝나고 말았다.
이 갑신정변중에 거사한 측의 자객의 칼에 맞아 머리의 경맥이 끊어지는 심한 부상을 입은 왕의 경호대장이요 민비의 조카였던 민영익을 묄렌도르프는 재빨리 구해 자기 사무소로 데려다 놓고, 미국 공사관의 공의 자격으로 1884년 9월에 입국해 있었던 의사요 선교사인 알렌을 불러 3개월간 치료해 완치시켰다. 이로 인해 묄렌도르프는 조선왕 고종의 전적인 신임을 얻어서 조선의 근대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민영익을 구한 의사 알렌(Horace N. Allen)은 한국에 온 최초의 장기체류 평신도 선교사요 의사로서 1884년 9월 20일 인천에 도착하였었다. 그는 원래 중국에 있을 때 동료선교사 헨델슨으로 부터 한국선교사로 일할 것을 추천받고 묄렌도르프를 소개받았다. 묄렌도르프는 한국정부에 알렌을 소개하였고, 알렌은 미국 공사관의 공의라는 신분으로 일하면서
영국, 중국, 일본 영사관의 공의도 겸하게 되었다.
묄렌도르프의 제안으로 1885 년4월 9일 한국 최초의 병원 광혜원이 열리고 미국인 의사요 선교사 혜린이 담당의사로 임명되었다. 4월 26일 고종은 이 병원을 제중원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고, 20여명의 관리와 하인을 배치하였으며 이 한 해 동안 스크랜톤(감리교)과 헤론(장로교)의 도움으로 1만 여명을 치료하였는다. 장티푸스, 천연두, 이질, 폐결핵, 매독, 나병등의 악질성 환자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이병원 부속 의학생으로 1885년 8월 5일 기녀(妓女, Dancing Girl) 5명이 첫 여자 의학생이 되었는 데, 그 이후 동료(언더우드와 헤론)들과 적대감을 가져가면서 추진된 의학교(조선 왕실 병원 제중원 부속 의학교, Medical and Scientific School)가 개교한 것은 1886년 3월 29일이었다. 이 제중원은 여러 과정을 거쳐 현재의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대학 병원이 되었다.
묄렌도르프는 왕으롤 하여금 한국 유사이래 최초로 근대적 학교제도, 병원, 우편제도, 법제도 등을 도입하여 근대화를 도모하게 한다. 또 독일, 영국, 러시아, 이태리 등 외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문호를 개방하였다. 또한 병원 (제중원)을 세워 한해에
만명이나 되는 백성들을 치료함으로 조선인들이 기독교에 대한 조선인들의 이제까지의 거부감을 해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또한 선교사들을 적극적으로 초청하고 성경을 보급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은 청의 속국으로 단단히 붙들어 놓으려고 그를 조선 정부에 추천했던 청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그는 조선을 독립국가로
든든히 세우고자하여 실시한 정책이었다.
묄렌도르프는 또 선교사들이 많이 들어와 적극적으로 활동하도록 도왔고 또 성경을 대량으로 반포하였다. 그는 조선(한국)에서 기독교가 민중의 거부감 없이 힘차게 전파되도록 기여함으로 조선(한국)에서의 복음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있었다. 한마디로 묄렌도르프는 한국 근대화와 복음화에 결정적 역할을 한 사람이다.
한편 왕실의 두터운 신임으로 인해 묄렌도르프는 점차 자고해졌다. 구츠라프를 조선왕궁에 추천해서 조선을 청의 속국으로 움직이게 하고자 의도했던 청의 이홍장은 그를
청으로 소환하여 조선을 떠난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 개혁사업들을 그와 상관없이 계속 진전되도록 하셨고 복음은 계속해서 힘차게 전파되었다. 하나님이 역사의 주관자이신 것이다.
Die katholischen Christen mussten zunächst harte Verfolgung erleiden. Ihr Leiden war aber nicht vergeblich. Gott gebrauchte ihre Leiden dazu, Korea für das Evangelium zu öffnen. Da sandte Gott seit etwa Mitte 19. Jahrhundert evangelische Missionare aus Westen nach Korea. Sie erlitten zunächst schwere Verfolgungen wie katholische Missionare. Aber seit 1885 durften die Missionare mit königlichem offiziellen Erlaubnis das Evangelium predigen, weil Allen, der ein Arzt/Missionar aus USA war, den Young-Ik Min, den Obersten der königlichen Leibwächter, heilte. Allen war im September 1984 als Arzt für den amerikanischen Konsular in Korea eingereist.
Auf die Einwirkung von Möllendorff durften Missionare aus Europa und USA, später überwiegend aus USA, nach Korea kommen. Die offizielle Erlaubnis der Mission geschah wie folgt:
Als Young-Ik Min, der Oberste der königlichen Leibwächter und ein Neffe der königlichen Ehefrau, wurde 1884 beim Gabsin-Jeongbyeon (einem Staatssteich) von einem Meuchelmörder tödlich verwundet. Sein Pulsader im Gesucht und Kopf wurde getroffen, sodass er in akuter Lebensgefahr war. Paul Georg von Möllendorff, ein deutscher Diplomat in Seoul, nahm den verwundeten Min sofort nach sein Büro und rief Dr. Allen (한국명: 안련, 安蓮) zur Behandlung. Durch diese dreimonatige Behandlung wurde Min ausgeheilt. Seine Heilung war damals ein sensationelles Wunder für Korea. Durch diese Begebenheit gewann Möllendorff das Vertrauen des koreanischen Königs und der königlichen Verwandten. Er hatte einen koreanischen Namen목 인덕 (穆麟德) und trug koreanische Kleinder. Auf seine Empfehlung hin wurde im Mai 1885 Kwanghyewon, das erste Krankenhaus Koreas, eröffnet. Dies Kwanghyewon ist der Anfang der Uniklinik der Yonse Universität.
Möllendorff setzte sich zum Ziel, Korea möglichst eigenständig und unabhängig von anderen Ländern, insbesondere von China, zu machen. Er war der wichtigste Berater des Königs und wirkte entscheidend mit an der praktischen Umsetzung des kurz vorher mit den USA geschlossenen Handelsvertrages sowie an den Verträgen, die Korea in der Folge mit Deutschland, Großbritannien, Russland und Italien schloss. Er leitete auf vielen Gebieten Entwicklungen oder Reformen ein, z.B. Wiederbelebung alter Handwerke, Industrialisierung, Währungssystem, Schulwesen, Fremdsprachenunterricht, Medizin, Strafrecht und Religionsfreiheit. In seiner Lebensweise passte er sich asiatischen Bräuchen an, führte den koreanischen Namen Mok In-Dok (穆麟德) und war bei der Bevölkerung beliebt. Er setzte sich zum Ziel, Korea möglichst eigenständig und unabhängig, auch unabhängig von China, zu machen. China war mit seiner Tätigkeit nicht einverstanden. Möllendorff wurde deshalb 1885 seiner Ämter enthoben und von Li Hongzhang nach Tianjin zurückgerufen. Auch eine versuchte Wiedereinsetzung 1888, die der koreanische König Gojong erwünschte, scheiterte am Protest der Großmäch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