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의 깊이 분석한 교설
식<識>-오관으로 사물을 식별하는 마음의 본체.
외경(外境)을 식별하고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밝힌 불교의 교설.
식에 관하여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6식설(六識說)·8식설(八識說)·9식설(九識說)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전 5식: (안.이,비,설,신)오근에 따라 일어나는 5가지 감성적 인식, 불완정한 인식
빛, 소리, 냄새, 맛, 감각을 지각하는 하는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을 말한다.
본능적인 의식. 표면의식. 죽음과 소멸되는 의식. (배고픔 ,졸림. 아픔...)
5근: 안(눈), 이(귀) ,비(코), 설(혀), 신(몸)
6근 : 안. 이. 비. 설. 신 + 의( 의식,판단분석,식별.5근 통솔)
인식주체인 인간존재의 의미
6경 : (경은 외부대상,외부경계)
색 성 향 미 촉 법 (외부대상). 법은 인식할 수 있는 외부 경계
인간 환경과 그를 둘러싼 현상
6식 :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의식(제6식: 여섯 번째 의식)
6근 + 6경 = 12처
12처설: 인간이 인식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불교세계관 설명
외부 경계 따라 식이 달라진다는 설명
6근 + 6경 + 6식 = 18계
6식(의식)은 종합적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식별함 .
외부 사물을 인식하는 감각기관인 6근이(눈[안:眼]·귀[이:耳]·코[비:鼻]·혀[설:舌]·
몸[신:身]·뜻[의:意])
외부적인 대상인 6경(境)을 대할 때 (물질[색:色]·소리[성:聲]·향기[향:香]·맛[미:味]·감촉[촉:觸]·법(法:인식하는 대상경계)) 생겨나는 여섯 가지 인식작용이 6식이다.
즉, 눈이 물질을 대할 때 보는 안식이 있으며,
귀가 소리를 대할 때 듣는 이식이 있으며,
코가 냄새를 대할 때 냄새를 맡는 비식이,
혀가 맛을 대할 때 맛을 감지하는 설식이,
몸이 감촉을 대할 때 느끼는 신식이 있으며,
의(뜻)가 법(이치.현상)을 대할 때 안다는 의식이 있다.
이와 같이, 6근·6경·6식은 서로 연관 속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그 어느 것도 독립적으로 있는 것은 없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제6식인 의식이 근본이 되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 전5식(前五識)을 통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을 심왕(心王)이라고도 한다.
5식을 분별한다.
7식 말나식은 아뢰아식이 표면으로 나타난 식.투사된 식.
제6식의 밑에서 조절하는 강한 자의식(自意識)으로서, 범부가 쉽게 감지할 수 없는 의식이다.
말나식(末那識)의 본질적 성질은 언제나 섬세하게 생각하는 것[恆審思量]으로, 이것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사량(思量)
이 말나식은 아치(我癡)·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번뇌가 자리를 잡고 있어서 이들을 제거하면 7식이 맑아져서 아공(我空)의 경지를 이룰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아치: 나의 참다운 모습을 못보고 무아의 도리를 모르는 번뇌
아견: ‘나‘라고 실제하는 존재가 있다는 견해 (나의 존재는 인연 화합인지 모르는 것)
아만: 스스로 높여서 잘난 체하고 남을 업신 여기는 것
아애: 나에게 애착하는 번뇌
제8 아뢰야식(업장): 심층의식. 잠재의식. 무몰식(없어지지 않고 남아있음.)
본질적 성질은 인과의 종자를 함장하고 인연에 따라 그 종자를 현행 상태로 일으키는 것으로, 이것을 전통적인 용어로는 집기(集起: 쌓고 일으킴)
무의식. 잠재의식. 윤회하는 의식.타고난 성품이 기록되는 자리
육신의 몸을 벗어도 남아있어 윤회의 씨앗이 된다.
예) 의식을 잃을 때: 6식 작용 안한다.
의식이 있을 때: 6식 작용함
그러나 의식을 잃었다해도 잠재의식은 존재한다.
9식 아말라식: 불성, 가장 청정한 의식 , 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