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ure Sound 사실음 - 화면 중에 보이거나, 암시되는 음원을 통한 소리. 예를들어 화면상에 나타난 연기장의 대사난 시계소리, 벨소리 또는 앞장면에 나타났던 대사는 물론, 뒷장면에서 나타나게 될 소리 모두를 지칭한다. 해설과 같은 화면 밖의 음원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 (Commentative Sound 부가음과 상반되는 용어)
Angle of View 화각 -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나 렌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장면의 시야, 또는 노출계에서 받아들여지는 수용각도, 원사는 화각이 넓고 접사는 좁다. 이처럼 좁은 시야에서 넓은 시야까지를 장면의 화각범위라 한다. 일반적인 렌즈의 화각범위는 15도에서 60도다. 인간의 시각이 50도 정도이므로 표준렌즈는 45도에서 55도, 광각렌즈는 60도에서 80도, 망원렌즈는 30도 이하, 어안렌즈는 180도 정도다.
Aspect Ratio 종횡대비율 - 프레임의 가로 세로 비율.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수직과 수평길이의 대비. 기존의 표준 아카데미 아퍼추어는 1.33:1이었다. 와이드 스크린의 비율은 다양하며 유럽의 경우 1.66:1이 가장 일반적이고 미국에서는 1.85:1이다.
Auto Exposure 자동 노출 - 광량 조건에 따라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조절함으로 적정한 노출을 자동적으로 얻는 기계장치 (Exposure 노출 참고)
Auto Focus 자동 초점 - 자동적으로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계장치. 거의 대부분의 자동 카메라는 화면의 중앙부를 그 기준으로 초점을 맞추게 된다.
AE/AF Lock 자동노출/초점 잠금 - 자동노출이나 자동초점을 고정하는 기능. 일반적으로 디지털 캠코더에서 카메라의 셔터를 반정도 누르면 고정된다. 원래의 구도 그대로 촬영을 하면 파사체에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나 노출을 특정 값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한다.
Artifact - JPEG 파일이나 기타 압축 파일에서 이미지에 결정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컬러 또는 선 오류. 이미지가 뭉개진 뜻한 느낌을 주는 것이 있고 이미지가 모자이크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 있다.
Blimp 방음카바 - 동시 녹음 촬영시 카메라 자체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반영구적인 방음용 덮개
BMP - 윈도우 호환 컴에 있어서 일반적인 비트맵된(bitmapped) 파일 포맷의 일종. TIFF 파일 같은 비압축 파일이다.
CCD-RAW - CCD에서 포착한 데이터를 다른 처리 없이 그대로 저장한 파일이다. 이 형식으로 저장한 파일은 압축에 의한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고 컬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24비트의 비압축형식의 파일(TIF등)보다는 크기가 작은 편이다. 이 형식의 파일을 사진으로 보기 위해서는 촬영한 카메라에 따라 전용프로그램을 이용해 다른 사진파일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이 형식은 주로 렌즈교환식 일안리플렉스 디지털 카메라들에서 쓰인다. 촬영시 CCD의 정보만을 저장하고 그 후의 처리는 하지않기 때문에 화이트밸런스 등의 조절을 컴퓨터에서 나중에 조절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IFF (Camera Image File Format) - 많은 카메라 제조사의 합의에따라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 저장 방식.
Close Up - 프레임에서 피사체의 상세한 장면을 찍는 쇼트. 일반적으로 배우의 얼굴만을 찍은 쇼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가 가까운 화면.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해 다가가거나 그 반대 혹은 망원렌즈를 통한 피사체의 특정 부위가 프레임 가득히 나타나는 장면을 말한다. 그리피스가 인서트라는 명칭으로 사용한 이래 극적인 강조와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기능으로는 관객의 관심의 유도, 등장인물의 주체성의 확립, 장면내의 특정한 부분의 분리 시각적인 다양서의 강조, 그리고 극적암시와 강조다.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센서인 CCD를 대체할만한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또다른 센서. 현재 이것을 기반으로 나와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몇 있으나 아직은 본격적인 채택은 되지않고 있다. CCD에 비해 낮은 전력 소비가 장점으로 머지 않은 장래에는 CMOS 센서 기반의 개량형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될 것이다.
Color - 가시광선은 전자 스펙트럼의 일부분이다. 우리들이 색을 지각하는 것은 빚의 파장 혹은 주파수에 의한 것이다. 색의 지각에는 두 개의 계측 가능한 요소로 명암과 채도가 있다. 색의 명암이란 그 휘도-발광체의 경우-혹은 명도(반사체의 경우)의 차이를 말한다. 색의 채도란 그 색의 색사의 선열함이란든지 그 색과 같은 휘도 또는 명도의 회색과 차이 정도다. 컬러사진, 영화는 색이 결합되어 다른 색을 만들어내므로 가능하다. 발광체의 3원색은 빨강, 초록, 파랑이다. 컬러테크놀로지는 두 개의 상보적 혼색법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복잡해진다. 가법혼색과 감색혼법이 그것이다. 가법3원색은 가법혼색에 쓰는 기본색으로 빨강, 파랑, 초록 세가지 색을 말한다. 이 세 가지 색광을 각각 적당한 양으로 화면에 비추면 임의의 다른 색을 만들 수가 있다. 두 종류 이상의 색광을 혼합하여 원래의 색과는 다른 색을 만들어내는 혼색법을 가법혼색이라 하는데 컬러 텔레비전과 카메라 색분해 등에 이용된다. 감법 3원색에 쓰는 기본색에는 청록, 적자, 노랑이다. 3원색에서 청록은 스텍트럼의 적색부분을 흡수하며, 적자색(magenta)은 녹색 부분을, 노랑은 파랑색 부분을 흡수한다. 예를 들면 빨강은 노랑과 적자색을 적당량 섞으면 얻을 수 있고, 녹색은 청록과 노랑의 혼합으로 얻을 수 있다. 즉 감법혼색은 백색광에서 어떤 색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어떤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Color Temperature 색온도 - 광원에서부터 분류되는 다양한 분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탄소봉에 열을 가함으로써 밀폐된 탄소봉이 입사광을 발산시킬 수 없으므로 복사 에너지의 완벽한 원천이 되어 청색에서 적색에 이르는 갖가지 분광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때의 색온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백분도로 측정되는 켈빈 스케일이 사용된다. 색온도의 측정은 다양한 광원의 균형을 맞추고 이를 필름에 적용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켈빈 스케일은 특히 텅스텐 램프에 유효하거나 여타의 인공조명이나 일광에 적용할 때도 그 판단근거가 된다.
Cover Shot - 한 씬이나 시퀀스를 구성하는 등장인물들의 공간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촬영하는 단일한 롱쇼트. 인슈어런스 테이크라고도 한다. 편집시 예정된 화면이 쓰이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 촬영시 부가적으로 촬영해둔 화면. 즉 예비로 확보해둔 화면으로서 비약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 (Master Shot 참고)
Cross-Cutting 교차편집 - 각기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행위들을 시간상 전후관계로 병치시키는 편집기법. 예들 들어 추적장면 따위에 많이 쓰이며 극적 긴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Cut - 편집중에 잘라낸 특정화면의 단편. 이때는 쇼트와 동일한 개념이다. 화면을 연결시키는 방법으로서 연기동작의 연속성을 보존하고 장면을 전환시키며 이야기의 진행상 관계되는 삽입화면 등의 기능을 지닌다.
Top
Day for Night - 밤 장면을 낮에 촬영하되 밤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 이 방식은 노출 부족과 하늘의 상태, 피사체와 배경의 대비와 조화, 일광의 강도, 방향 등에 세밀한 주의를 요한다.
Deep Focus - 카메라 전방의 모든 피사체가 초점거리내에 포착되어 선명하게 보이도록 촬영되는 촬영 방식. 화면 내의 구도가 깊은 심도를 지내게 되어, 전경과 중경과 후경이 모두 깊은 초점을 형성한다. 종래에는 표준렌즈가 지닌 심도의 법칙에 따라 영상의 심도에 제한이 있었으나, 1930년대 이후 전심초점 렌즈가 사용됨으로써 이 한계를 극복하게 되었다. 오손 웰즈의 <시민 케인 Citizen Kane, 1941>에서 가장 적절히 표현되었다고 평가된다.
Depth of Field 시야심도 - 피사체의 초점이 포착되는 영역. 어떤 특정의 화면을 촬영하는데 있어 그 장면내의 피사체를 모두가 카메라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초점을 어떻게 맞추던 간에 여러 피사체들보다 선명도가 높거나 또는 그 반대의 상태로 필름에 포착되어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피사체들의 거리상의 한계를 바로 시야심도라 한다. 시야심도는 렌즈의 초점거리와 구경의 크기,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망원렌즈는 시야심도가 얕고 한정되어 있으며, 광각렌즈일수록 시야심도가 깊어진다.
Dissolve - 한 화면이 페이드 아웃됨과 동시에 그 위로 겹치면서 다른 화면이 페이드 인되면서 점차로 나타나는 장면전환방식. 촬영중에 카메라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이중노출이나 오버랩과 동일한 효과지만 인화기를 통해서 작업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다. 이처럼 인화 과정에서 취득되는 효과를 특별히 랩 디졸브라고 한다. 랩 디졸브의 효과를 위해서는 시작에 중복되는 화면의 프레임 수를 정확히 체크한 다음에 촬영해야 한다. 이때의 예정 프레임은 12, 24, 48, 72 등이 있으나 대개 48프레임, 즉 2초가 보편적이며 어느 경우든 촬영과 편집과정을 통해 준비된다.
Dolly Shot - 이동차인 Dolly를 이용하여 촬영한 모든 장면 트래블링, 트랙킹 쇼트 등과 도의어다. 카메라 움직임의 기본적인 전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해 다가가는 것을 달리 인이라고 하고 그 반대를 달리 아웃이라고 한다.
Editing 편집 - 대개의 영화촬영은 시나리오 순서대로 찍히지 않는다. 편집은 순서가 없이 촬영된 필름의 러쉬를 갖고 순서를 잡아 나가는 작업이다. 또한 화면만 아니라 동시녹음된 사운드 필름을 화면과 맞추는 일도 한다.
Effect Track 효과음대 - 여러 가지 음향효과를 담은 음대. 대사 해설, 음악 등의 음대와는 별도로, 총소리, 문닫는 소리, 바람소리처럼 촬영현장에서 녹음되지 않는 효과음까지 세밀히 추가되어 후에 믹싱을 통해 대사음악 등의 음대와 결합된다.
Exif -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사진 파일 형식으로 촬영된 사진에 촬영자, 촬영일시, 셔터속도, 조리개수치, 줌배율, 플래시 사용여부 등 여러 가지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규격. 이런 정보는 파일의 헤더 부분에 기록되며 나머지 부분은 보통의 사진파일과 같다. 따라서 보통의 이미지 프로그램에서 보게 되면 보통의 사진데이터로 보이게 되는데 이 파일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보려면 exif규격을 지원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나와있는 대다수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들이 이 규격을 지원하지 못하므로 그런 프로그램에서 원본 이미지를 수정하게 되면 기록된 부가정보가 없어지게 된다
Exposure 노출 - 촬영시 영상의 포착을 위해 카메라내의 필름에 광선을 투여시키는 일. 이론적인면에서 노출은 렌즈를 조리개와 조리개 눈금에 의해서 조절되는 동시에 광선이 필름상에 투여되는 시간. 즉 셔터속도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 촬영감독은 이들의 조절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다. 그가 임의로 운용할 수 셔터 속도는, 필름이 언제나 초당 24플레임의 속도로 이동해야 하므로 최대치가 0.02초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의 노출조정은 촬영대상이 되는 화면에 투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Exposure Range 노출범위 - 필름이 노출부족이나 노출과다 또는 정사진으로 사용될 경우에도 선명한 영상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
EV (Exposure Value) - 노출치, 노출값. 자동 노출의 한계를 벗어나 이미지를 얼마나 밝게 또는 어둡게 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CCD의 고유 감도와 피사체의 발기를 연관하여 조리개와 셔터 속도의 조합이 항상 같은 노광량을 갖도록 계열화 한 것이다.
Extreme Close-Up - 빅 클로즈업이라고도 한다. 피사체와 카메라 렌즈간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가까운 화면으로 피시체의 아주 미세한 특정의 부위만을 화면 가득히 채우는 경우를 말한다. 클로즈업에 비해 피사체에 더욱 근접하거나 또는 더 크게 확대한 화면으로, 극적인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Extreme Long Shot - 피사체와 렌즈간의 거리가 극단적으로 먼 화면. 광대한 시야를 조망케 하여 극적 이완이나 설정화면의 기능을 담당한다.
Top
F수 (F-number) - 렌즈의 초점 거리를 주어진 렌즈 구경의 반경으로 나눈 수치. 이론적으로 같은 F수의 모든 렌즈는 같은 밝기의 상을 만들어 낸다. 수치가 낮을수록 밝은 렌즈이며 F수치가 1.4배(루트2배)로 감소하게 되면 렌즈는 두 배 밝아진다. 즉 F2.0의 렌즈는 F2.8의 렌즈보다 두 배 밝다. 렌즈가 밝다는 것은 같은 조건에서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의미로 그렇게 되면 셔터속도를 더 빠르게 하거나 조리개를 더 조이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Fade-In / Fade-Out - 한 화면이 점차 어두워지기 시작하여 완전히 암흑상태로 변한 다음, 점차 밝아지기 시작하여 완전히 선명하게 나타나는 장면전환 방법의 하나. 전통적으로 페이드 인과 아웃은 극적 전개의 연속성을 분명하게 단절시킴으로써 일정한 시간이나 공간 또는 주제나 상황의 변화가 이루어지게 됨을 알리는 신호로 사용되며 영화의 한 시퀀스나 연극의 일막에 해당한다. 기술적으로는 페이드인은 영상이 충분히 밝아질 때까지 각 프레임의 노출을 점차 증진시키고, 페이드아웃 경우에는 영상이 어두워질 때가지 노출을 점차 감소시킨다.
Fast Motion 빠른 화면 - 카메라내의 필름을 정상속인 24프레임보다 더 느리게 촬영한 후, 영사기를 통해 정상속도로 스크린에 투사하면 일상적인 연기동작보다 빠르게 보이는 화면효과. 무성 영화시대의 영화를 볼 때 등장인물의 동작이 빨라 보이는 이유는 바로 무성 영화시대에는 16프레임이 정상속도였기 때문에 빠른 화면의 효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Filler Light, Fill Light 보조광선 - 필러, 필 인 라이트라고도 하며 주광선에 의해 생긴 그림자 부분을 제거시키거나 부드럽게 하여 과다한 명암대비를 없애는 데 사용되는 부차적인 광선이나 또는 그 조명기.
Film Chain - 영화를 TV로 방영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즉 영화의 작동속도인 24프레임을 비디오의 30프레임으로 변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영사기.
Film Space 영화적 공간 - 영화적 공간은 실재하는 공간과는 달리 영화 속의 스크린에서 창조되는 가상의 공간이다. 영화적 공간이 실제 공간과 다른 점은 스크린에 존재하는 공간은 2차원적 공간이며, 대상에 대한 크기의 지각을 변화시키고 평면화된 영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이유로 영화를 만드는 사람은 실제 공간을 연상시키는 외부세계의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프레임의 구도, 특정 렌즈, 카메라 움직임, 편집 등을 사용한다. 둘째 다른 장소에서 찍은 장면들을 모아서 편집한 쇼트들은 전혀 새롭고 통일된 공간을 만들어낸다. 셋째, 어떤 대상을 실제크기 보다 확대 축소 시킬 수 있다. 넷째, 실제 세계와 외부 세계는 연속적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영화에서는 편집을 통해 공간을 뛰어넘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거리와 각도를 통해 동일한 공간을 볼 수도 있다. 또한 편집을 통해 공간의 원근 관계를 축소, 확대시키기도 한다.
Final- Cut 최종편집 - 상영하게 될 최종 필름
Fish-Eye Lens 어안렌즈 - 버그 아이라고도 하며 대접사의 촬영에 사용되는 초광각 렌즈로서 거의 180도에 이르는 화각을 갖는다. 16mm 어안 렌즈는 초점거리가 약 1-7mm 폭으로 변화하고, 35mm의 경우에는 약간 폭이 넓다. 영상이 심하게 왜곡되는 특성이 있어 공상이나 악몽장면 등의 특수 효과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Flashback - 과거를 제시하는 일련의 쇼트를 삽입, 현재시점의 단절을 나타내는 편집기법. 데이비드 린치의 <광란의 사랑 Wild at Heart>에서 성냥불을 이용한 프레시백 기법은 그 효과를 잘 표현한 예라 할 수 있다.
Flash-Forward - 미래를 제시하는 쇼트를 삽입하여 현재가 중단됨을 나타내는편집기법.
Focal Length 초점 거리 - 무한대의 초점을 맞췄을 때 렌즈의 주점으로부터 초점면까지의 거리. 각 렌즈의 초점 거리는 밀리미터mm 나 인치inch로 표시한다. 35mm영화의 경우 50mm는 표준렌즈고 그 이하는 광각렌즈, 그 이상은 망원렌즈를 가리키며, 초점거리가 고정된 렌즈를 고정초점렌즈라 하고 초점거리가 다양하고 유동적인 렌즈를 줌렌즈라 한다. 일반적으로 초점거리가 긴 렌즈일수록 화각이 좁고 심도가 얕으며, 짧을수록 화각이 넓고 심도가 깊다.
Focus 초점 -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렌즈를 통과한 후 필름상의 초점면에 모여 그 피사체의 영상을 형성하는 한 점
Focus In, Out - 영상이 점점 초점에 맞추어지거나 흐려지는 과정
Follow Focus 초점 조절 - focus pull이라고도 한다. 상황의 변화에 따라 언제나 정초점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초점을 이동시키는 행위를 초점조절이라고 한다.
Follow Shot - 화면내의 피사체가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도 그 피사체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화면. 팬pan, 틸트, 달리 트랙 등의 카메라 움직임이나 고정된 촬영위치에서 줌 렌즈를 조절하여 촬영한다. 오늘날에는 영화미학상 장시간 촬영이나 미장센의 근간이 되는 촬영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Forelengthening 확대상 - 광각렌즈의 사용으로 화면의 깊이가 왜곡되어 과장된 느낌을 주는 화면.
Foreshortening 단축상 - 망원렌즈를 사용하여 화면의 길이가 왜곡되어 압축된 느낌을 주는 영상
Frame - 필름사의 단일 영상 스크린에 영사했을 때 나타나는 영상의 크기와 모양 영화를 구성하는 단위
Full Shot - 한 사람을 기준으로 할 때, 전신이 화면을 가득 채운 화면, 또는 군중일 경우 화면 가득히 채워진 군중장면 등을 가리킨다.
Top
Hand-Held 들고 찍기 - 카메라를 들고 찍는 것
IEEE-1284 - 카드리더기와 같은 기기나 프린터에 사용되는 고속의 양방향 전송 규격.
IEEE-1394 - FireWir 로 더 잘알려져 있다. 디지털 비디오와 PC에서 사용되는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 규격이다. 주로 디지털 가전 분야와 PC 멀티미디어 부문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만들어졌다.
Insert Shot 삽입화면 - 극중의 특정 액션이나 상황 또는 의미를 상세히 이해시키거나 강조하기 위해 영상적인 세부묘사를 삽입하는 것 또는 보조적으로 삽입된 화면 자체. 본래는 그리피스가 롱쇼트나 미들쇼트된 장면 뒤에 별도로 촬영된 신문의 표제어, 시계 따위를 클로즈업시킴으로서 영상적 표현을 창출한 데서부터 인서트는 곧 클로즈업의 의미로 동일시되었으며 또 때로는 평행편집이나 교차편집의 방법과도 혼용된다.
IR (Infra-Red) - 적외선(전송). 디지털 카메라와 컴 또는 디지털 카메라 상호간에 케이블 없이 무선(=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IrDA 는 적외선 전송 규격이다. 현재 IrDA 1.1은 4Mbps의 속도를 낸다.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에도 쓰였으나 느린 속도로 인해 그다지 주목받고 있지는 않다.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 규격화된 수치.ASA,DIN,JIS등으로 표시되기도 한다. 빛에 민감할 수록 수치가 높다.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환산치로 쓰인다.
JFIF - JPG 파일 포맷의 일종. EXIF 로도 알려져 있다.
JPG - 디지털 카메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파일 포맷. JPEG라고도 한다. 사진파일을 손실 압축 방법을 사용하여 압축한다. 즉 눈으로 판별이 어려운 부분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원본의 화질로 복원이 안된다. 또한 압축률을 여러 가지로 정해줄 수가 있는데 압축률을 높이게 되면 압축에 의해서 사진의 화질이 더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워낙 압축 후 용량이 작아서 사진파일에 애용되고 있다. 실제로 압축을 안한 파일의 크기가 3MB정도 되는 사진을 JPEG으로 압축하면 128KB까지 줄어들기도 한다.
Top
Key Light 주광선 - 피사체를 비추는 주조명. 대개 카메라와 피사체를 축으로 하여 45도의 각도로 설치한다. 화면내에서 가장 우선적이고도 보편적인 광원, 대상 화면의 화조와 분위기를 결정하는데, 주광선이 설치된 후 여타의 보조 조명이 뒤따르게 된다.
LCD - 액정 표시판. 디지털 카메라에는 보통의 TFT-LCD와 저온폴리실리콘 LCD가 사용되고 있다. 후자의 경우가 해상도는 더 높다. LCD의 경우 얇은 두께이면서 고해상도와 자연색의 표현이 가능한 점이 좋지만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하이브리드 LCD라고 해서 야외에서도 밝게 보이는 액정이 나오고 있다.
LED - 발광 다이오우드. 카메라나 전원 공급 장치 기타 기기에서 사용되는 빨간색, 녹색 또는 노란색의 작은 불 빛.
Lens - 사진적 영상의 재현을 위해 만곡의 측면으로 광선을 굴절시키는 투명유리체. 여러 장의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로 조합되어 있어 촬영이나 인화시에는 화상을 축소하거나 확대시켜 필름면에 전달하고 영사시에는 필름면의 영상을 스크린에 재현한다. 이때 모든 영상의 크기가 주는 광학적, 미학적 효과는 렌즈조절에 의한 초점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렌즈는 보통 초점거리에 따라 광각렌즈, 망원렌즈, 줌 렌즈로 대별된다. 일반 상업규격이 35mm 영화의 경우에는 초점거리가 50mm인 렌즈가 표준이며 75mm, 100mm, 500mm 등은 망원렌즈 그리고 16mm 영화의 경우는 25mm 렌즈가 표준이고, 그 이상은 망원, 그리고 그 이하는 광각이다.
Lighting 조명 - 영상의 주제나 분위기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식으로 피사체에 광선을 투여하는 일 또는 투사된 광선. 일반적으로 촬영에 쓰이는 조명은 촬영감독이 감독과의 상의하에 책임지며, 이에 따라 조명기사는 적절한 조명기나 그 위치를 결정한다. 조명의 기본적인 과정은 먼저 주광선을 설치한 다음 보조광선으로 주광선에 의한 날카로운 그림자를 약화시키거나 없앤 뒤 파사체의 후면에서 역광 등의 여러가지 조명을 통해 촬영감독과 조명기사는 예술적인 효과를 거두게 된다. 촬영소 무대의 촬영에는 인공조명이 주광선이지만 야외의 일광상태에서는 태양빛이 주광선이고 인공조명은 보조광선이 된다. 영상적 효과를 위한 조명방법으로는 어둡고 냉정하며 비극적인 분위기를 내는 암조와 밝고 쾌활한 분위기의 명조로 나눌 수 있다.
Live Recording 생녹음 - 재녹음과 대비되는 말로, 실제 장면의 대사나 음향을 녹음하는 것. 오리지널 레코딩이라고도 한다.
Long Shot - 대상에 대해 넓은 시야를 보여주는 화면. 관객으로 하여금 화면 내의 여러 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 형태, 위치 등을 알게 하기 때문에 일종의 개요를 소개한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어떤 환경에 처한 인물이나 이야기의 주제정보를 제공하면서 전체적인 상황을 알려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설정화면이나 마스터 쇼으로 많이 쓰인다.
Top
Master Shot - 마스터 씬이라고도 한다. 하나의 씬 전체를 다시 테이크로 촬영한 장면. 대개 롱쇼트로 이루어지며 이후의 마스터 쇼트 촬영을 통해 미디어 쇼트나 클로즈업 등으로의 연결, 교차 편집이 용이해진다. 편집자들이 이 마스터 쇼트에 의지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쇼트라고도 불린다.
Match Out - 동일한 연기동작이 커트로 연결될 때 두 장면간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촬영하고 편집하는 연결방법. 일반적으로는 한 씬에서 여러 쇼트들이 마스터 쇼트에 의해 연결될 때 적용되는 화면간의 연속성을 가리키지만 때로는 서로 다른 피사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중인 경우나 또는 유사한 내용간에 연결되는 형태전환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또는 다른 의미에서 2개의 쇼트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은유적인 대응에 의해서 연결하는 것. 매치 커트의 고전적인 3대 원칙에는 피사체의 위치의 일치, 동작 또는 방향의 일치, 시선의 일치가 있다. 이것을 준수 할 때 관객은 이야기의 방향감각을 쉽게 이해한다.
MB (MegaByte) 메가바이트 - 1024 킬로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메모리 용어. 8MB,10MB 등, 메모리 카드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쓰인다. ( MB 는 흔히, Mb(메가비트)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1바이트는 8비트이므로 예를들어 256Mb = 32MB 가 된다.)
Medium Shot - 풀 쇼트와 클로즈업 쇼트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화면. 서있는 한 인물의 무릎 위나 허리 아래쪽부터 머리끝까지 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인물의 전신에 해당된다. 특히 헐리우드 영화의 미디엄 쇼트는 무릎 위가 많다고 하여 아메리칸 쇼트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한 인물을 중심으로 했을 때의 무릎 화면과 동일하다. 미디엄 쇼트는 대개 2인 이상의 인물들간의 상호관계들 나타내주거나 한 인물과 주위 상황과의 관계에 관객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이외에는 롱 쇼트와 클로즈업 쇼트를 연결하는 전환화면으로도 가능하다.
Mise-Es-Scene - 본래의 장면의 무대화라는 연극용 용어였던 거싱 전후의 프랑스 평론가들이 비평용어로써 그리고 누벨바그 감독들이 영화미학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일반화되었다. 특히 프랑수아 뜨뤼포와 앙드레 바쟁에 의해 영화의 공간적 측면과 이에 따른 리얼리즘의 미학으로 정착되었다. 몽따주가 한 화면과 다음 화면간의 丙치에 따르는 관련성, 즉 추상적 개념을 중시하는 데 반해 미장센은 한 화면의 내부에 동시다발적인 많은 영상정보를 보유함으로써 수동적인 인상을 느끼게 하는 몽따주에 비해 능동적이며 선택적인 관객의 태도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미장센은 화면의 길이가 긴 장시간 촬영이나 롱쇼트가 우선되고 한 쇼트가 한 씬이나 시퀀스의 구실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속적이며 유동적인 카메라 움직임이 수반된다.
Mixing - 일반적으로 사운드 에디터 , 사운드 믹서의 작업을 가리키는 용어. 여러 개의 마이크, 여러 개의 테이프 그리고 그들 모두의 재녹음을 하나의 트랙으로 결합시켜 전혀 새로운 창조적인 음을 만들어내는 작업.
Moviola - 필름의 진행을 정상속도는 물론 저속과 고속으로도 볼 수 있도록 작은 뷰어가 부착된 편집기. 음향도 체크할 수 있으며 진행중인 필름의 정지, 역전도 가능하고 척수나 프레임 수까지도 셀 수 있는 것으로 상하로 운동한다. 본래는 특정 회사의 상표. 상품이던 것이 보편화되어 현대적인 편집기의 통칭처럼 쓰인다.
MP - 메가 픽셀의 약자.
Top
Nagra - 야외촬영시 사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고안된 이동식 오디오테이프 녹음기. 나그라 4.2나 IS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이며 다큐멘터리 감독이나 연기자들이 호주머니에 넣어 쓸 수 있는 SN모델도 있다. 가볍고 조작 간편한 기동력으로 영화에 커다란 공헌도를 가지고 있다. Narrative ? 일잔적으로 스토리 라인. 즉 이야기가 전개되는 서술구조
Narrative Film - 일반적으로 이야기체 중심의 극영화로서 실엄영화 시적영화와 반대개념으로 쓰인다.
Negative 음화 - 음화영상 또는 잠상을 포착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생필름으로 보통 촬영본 원본필름을 가리킨다.
NTSC -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디오 출력의 방식. 반면, 유럽쪽은 PAL 방식을 사용한다. 서로 호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구입시 방식을 확인해야 한다.
Optical Printer - 필름의 프린트를 뜨는 기계. 이미 촬영과 현상을 마친 필름의 영상을 새로은 생필름에 복사하기 위해 영사장치와 촬영장치를 서로 마주보게끔 설치한 기계. 많은 기술적인 조작은 옵티컬 프린터에서 행해지고 얻어진다. 옵티칼 프린터는 일반 밀착음화로 얻을 수 없는 여러 효과를 낼 수 있게끔 빛의 강도, 렌즈와 촬영장치의 위치, 렌지의 종류, 필름의 감광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서을 갖추고 있다. 옵티칼 프린터의 일반적 사용 목적은 장면연결로 처리하기 위해서며 디졸브 페이드 인/아웃 및 와이프 등의 광학적인 효과를 내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색의 밸런스와 콘트라스트의 보정이 가능하다.
Over-The-Shoulder Shot - 두 인물이 나타나는 장면에서 한 인물의 어깨 너머로 상대방의 모습이 보이는 장면
Top
Pan - 삼각대나 마운트를 고정시킨 채 수평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촬영.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원하는 분위기를 해치는 편집을 배제한 장면을 만드는 데도 쓰인다. 또는 주관적인 시점 장면에서처럼 연기자의 시선으로 느껴지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Parallel Montage 병행편집 -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시 발생하고 있는 행위를 번갈아가며 보여주는 편집사의 기법. 이러한 방법은 긴장감의 고조나 시간의 경과를 응축시키는 목적에 사용된다.
PCMCIA - 노트북에 마련된 확장용 카드 슬롯. 명함사이즈의 크기와 약 4mm의 두께를 가진 type2와 그것의 두 배의 두께를 가진 type3가 있다. 이 사이즈로 모뎀, 랜카드, 하드디스크 등 대부분의 주변기기가 나와있다.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 어댑터도 있다.
Pixelization - (계단 현상?) 디지털 이미징에 있어서 계단처럼 굴곡이 있거나 각이진 선. 픽셀이 작고 그 수가 많을 수록 이미지의 "pixelization" 이 줄어든다. "jaggies" 로도 알려져 있다.
Point-of-View Shot 시점쇼트 - 약자로 POV라 많이 불린다. 카메라가 등장인물의 시점으로 본 쇼트. 따라서 관객은 등장인물의 시점에서 그 화면을 주시하게 된다. 주관적 시점의 별칭이기도 하면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다.
Positive - 촬영이나 복사에 사용된 네가티브나 원본을 현상한 후 이를 복사한 인화필름의 총칭. 따라서 색채나 톤이 실제의 피사체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네거티브가 촬영용인 데 반하여 포지티브는 제작용 또는 작업용 또는 인화용 필름이다.
Post-Dubbing - 촬영 이후에 행해지는 더빙 전반을 총칭하는 것.
Practical Lighting 실제조명 - 피사체나 대상물의 시각적 효과를 위한 조명이 아니라 장면내의 실제 소도구나 고정된 갓등처럼 장면내에 직접 등장하면서 조명기의 구실을 겸하는 것.
Pull-Back Shot - 한 장면의 좌우배경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카메라를 피사체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촬영하는 화면. 이때의 움직임은 매개물에 따라 풀 백 달리, 풀 백 크레인으로 등으로 불린다.
Pull Focus 초점이동 - 촬영중인 하나의 쇼트내에서 초점을 변경시키으로써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는 일. 따라서 이 초점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해당 장면의 공간적 관계는 그대로 유지된다. 선택 초점(select focus)라고도 한다.
Top
Rack Focusing 선택적 초점 - 관객의 시선이 선명한 부분만을 쫓도록 다른 부분은 포커스 아웃 시키는 수법
Reacting Shot 반응쇼트 - 카메라의 밖이나 앞 장면에서 행해진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대해 반응하는 등장인물의 화면
Reflex Camera 반사식 카메라 - 렌즈를 통과한 빛을 뷰파인더로 반사시키는 광학 시스템의 카메라. 파인더 카메라와는 달리 직접 카메라 렌즈를 통해 구도와 초점을 조절할 수 있어 시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렌즈의 교환에 따라 뷰파인더를 일일이 변경하거나 조절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RF (Range Finder) - 어느 한 렌즈는 피사체의 구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이미지를 캡쳐하는데 사용하는 뷰파인더의 일종.
RGB - 적(Red), 녹(Green),청(Blue)의 약자. 다른 모든 컬러의 기본이 되는 색으로 빛의 3원색이다. 모두 합쳐질 경우, 흰색이 된다. RS-232 - 대부분의 PC 에서 지원하는 시리얼 데이터 전송
Scene 씬 - 영화를 구성하는 단위 중의 하나로서 동일장소, 동일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액션이나 대사. 일반적으로 쇼트와 시퀀스의 중간 길이에 해당하며 통게적으로 영화 한 작품의 경우 약 120개의 씬으로 이루어져 있다.
SCSI - 입/출력 데이터 전송 방식. 일반적으로 IBM 호환 PC에서는 E-IDE 방식을 사용하지만 SCSI방식을 사용하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보장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E-IDE방식이 주변기기를4개까지밖에 지원하지 않는데 반해 7개 이상의 입출력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예전에는 고속의 전송속도가 장점이었으나 현재는 E-IDE방식의 속도가 거의 비슷하게 빠르기 때문에 속도면의 이점은 별로 없다.
Segue - 세그웨이라고도 함. 페이드로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된 시퀀스나 또는 페이드로 시작되고 디졸브나 커트로 이어지는 자기 충족적인 장면 또는 음악이나 음향이 다른 것으로 디졸브되는 것. 하나의 음악이 끝나면서 다른 음악으로 이어지는 부분
Seqence 시퀀스 - 장소, 액션, 시간의 연속성을 통해 한의 에피소드를 이루는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 구성단위. 일련의 씬이 모여서 하나의 시퀀스가 된다.
Seqence Shot - 카레라와 연기자의 상호움직임을 통해 촬영된 장시간 촬영이나 롱쇼트, 설정화면으로 기능하거나 이어 나타나게 되는 접근장면으로 카메라나 연기자를 이동케 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Shot 쇼트 - 영화구조의 문법적 기본단위로서 한번의 테이크를 통해 촬영된 장면, 또는 커트와 커트사이의 장면, 혹은 커트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쇼트는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거리에 따라 롱쇼트와 클로즈업 사이의 장면들로, 움직임에 동원된 기재에 따라, 촬영각도에 따라 화면내의 인물 수에 따라 분류되는데, 이들 모든 쇼트는 연출 미학상의 의도에 따라 지속 시간이나 길이가 달라진다.
SLR - 일안 반사(식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 온 화상이 거울을 통해 그대로 뷰파인더에 비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촬영되는 장면이 그대로 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LR방식은 거울을 비롯한 기타 부품 때문에 카메라의 크기와 무게가 커지고 촬영시에 거울의 동작에 의한 진동이 생기게 된다. 아무리 좋은 SLR카메라도 이 진동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Slow Motion 느림화면 - 고속촬영에 의해 영사막에 나타나는 화면의 움직임. 즉 이 효과는 시각적으로 미묘한 분위기나 낭만적인 정서 또는 심리적인 정서의 강조를 제공하는 데 많이 쓰인다. 촬영시 카메라 속도를 표준속도보다 빠르게 작동시키면 영사시 화면의 행위는 표준적인 움직임에 비해 느리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Soft Focus - 특수필터나 거즈 또는 확산물질 따위를 렌즈 앞에 부착하여 영상의 선명도를 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우아하고 낭만적이며 신비로운 영상을 표현하려는 기법. 영화 <남과 여>는 이 기법을 잘 활용한 좋은 예이다.
Soundtrack 음대 - 영화필름에서의 녹음대 부분. 옵티칼 사운드 트랙은 광선의 변조에 의해서 작동한다. 이것은 필름상 넓게, 좁게 음대를 만들어 시그널의 정보를 코드화한다. 마그네틱 사운드 트랙은 테이프식 녹음처럼 특별히 준비된 면에 정보를 전자적으로 코드화한다. 최정적인 사운드 트랙은 옵티칼이든 마그네틱이든 모두 여러 개의 1차 트랙(효과음, 대사, 음악)의 혼합인 것이다.
Story Board - 촬영하게 도리 주요 장면들을 스케치 , 그림 , 사진 등으로 정리해 놓은 계획표. 대사, 음향 등의 주요사항도 아울러 표시된다.
Synchronization 동조화 - 화면내의 내용에서 직접 발생하는 거처럼 들리도록 하기위해 음향을 제자리에 놓는 일. 동시녹음시 촬여기와 녹음기를 동조시켜 영상과 음향이 일치되게 하는 일
Top
Take - 촬영된 하나의 연속적인 화면 단위. 즉 샷의 다른 말이나 현장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카메라의 스위치가 한번 작동한 때를 가리킨다. 영화작가는 각기 샷 또는 세트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이크를 촬영한다. 각각 여러 개의 테이크 중에서 단 한 개만이 최종적으로 영화에 쓰인다.
Telecine - 필름으로부터 특수 프리즘에 의해 광학적으로 결상시켜 영상신호를 얻어내는 장치. 필름을 비디오 테이프로 변환하는 데 이용된다. 텔레시네 체인에는 필름 환등기(film projector)와 직선 환등기(silde projector)가 내장되어 있고 필름 환등기와 직선 환등기에서 나오는 그림을 텔레비전 신호로 바꾸어 상영하는 특수 장치가 되어 있다. 보통 영화 필름은 초당 24프레임씩 촬영되지만 텔레비전 신화는 초당 60개의 필드로 구성되므로 텔레시네 장치에는 영화 필름의 두 화면을 텔레비전 5개 필드로 변환한다. 또 이것은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제목이나 자막 등의 텔레비전 신호도 만들어낸다.
Telephoto Lens - 망원렌즈. 좁은 각을 장초점 거리의 렌즈. 표준 렌즈에 비해 피사체를 50% 확대할 수 있는 반면에 전경과 후경의 원근감을 압축하므로 얕은 시야 심도를 나타내며 화각도 매우 좁다. 또한 피사체가 움직일 때는 속도가 실제의 그것보다 느린 것처럼 보이는 특징도 지닌다.
Tilt shot - 카메라의 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카메라 헤드를 수직방향, 즉 위(tilt-up), 아래(tilt-down)로 기울여 찍는 방법
Time Laps photography - 보통 30초에 1장씩 찍음으로써 24시간을 2분으로 압축하여 영사 할 수 있는 초고속 영사기술. 대표적인 것은 우리가 감지할 수 있도록 꽃이 천천히 벌어지는 현상을 들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초저속 영사기술은 너무나 빨리 진행되는 현상을 천천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Timing - 1영화의 경우 흑백 프린트를 인화시키는 동안의 노출조절을 말하며, 컬러 필름의 경우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 조명 등 조건의 차이에서 오는 각각의 샷과 씬의 컬러 밸런스를 보정하여 일치시키는 과정이다. 이를 통하여 프린트의 색감을 통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먼저 특정 장면에서 발췌한 시험 인화를 검토한 뒤 감독과 촬영기사와 현상소의 자문에 의해 행해진다. 2화면 밖의 소리를 정확하게 영상에 맞추는 작업을 말한다. 3한 샷이나 씬 따위의 장면에 지속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일 4동화제작에서 연기난 음향의 속도를 결정하는 일
Tone - 사진의 명암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 (영상의 색조, 영상의 명암대비나 명도) 또는 영화작품의 정서적 분위기.
Toplighting - 피사체의 위쪽에 위치하는 조명. 보통 하늘의 후광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성스러운 모습을 표현하는 장면에 많이 쓰인다.
Track - 1 필름이나 테이프 상의 음대 2테이프 상에 서로 병행하는 여러 개의 녹음채널로 일제히 동시 재생하든지 또는 따로따로 재생할 수 있는데 나중에는 몇 개의 방법에 의해 믹스되기도 하며 일부 변경되기도 한다. 3괘도이동 촬영을 위해 설치한 레일 4 촬영기를 움직여 촬영된 궤도 화면
Tracking Shot - 촬영기가 이동차에 의해 이동하면서 촬영한 장면을 총칭하여 이동화면이라고 하는데, 이중 궤도 화면은 레일 따위를 깔고 그 위를 이동차가 움직이는 것을 가리킨다. 좌우이동을 수평이동, 전후이동을 수직이동이라고 하며, 촬영기가 피사체를 향해 다가가는 것을 트랙 인, 멀어지는 움직임을 트랙 아웃이라고 하며, 들고 찍는(hand-held) 경우도 있다. 또한 이 이동화면을 트러킹 샷, 또는 트래블링 샷 이라고 한다.
TTL (Through The Lense) -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자동 초점이나 자동 노출을 수행하는 경우 쓰이는 용어. 디지털 카메라는 대개 이 방식을 쓰지만 기존 카메라의 경우 별도의 노출계 등을 이용해 렌즈와 별도로 측정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Top
Under Crank - 카메라를 표준 속도보다 느리게 작동시키는 것. 이를 정상속도롤 영사하면 빠른 화면으로 나타난다.
Viewfinder - 촬영시 화면을 구성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연기 영역을 관찰하도록 고안된 카메라내의 광학장치. 초창기에는 이 부파인더가 렌즈와 분리되어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렌즈와 일치시킨 반사식 뷰파인더(reflex viewfinder)가 보편적이다. 전자는 영상이 선명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시차가 생기는 단점이 있고, 후자는 다시 프리즘 거울을 통과한 빛을 필름과 반분하는 빔 스플리터 방식과 45도 거울을 이용하여 셔터 기능을 하는 미러 셔터 방식이 있는데, 이 중 미러 셔터 방식이 오늘날의 전문적인 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다. 논리플렉스 카메라는 뷰파인더용과 촬영용 렌즈와 별도의 광학 시스템을 갖고 있다.
Voice- Over - 연기자난 해설자 등은 화면내에 모습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대사, 해설, 생각 따위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
Wide Angle Lens - 표준렌즈에 비해 매우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렌즈. 좁은 공간을 확대시키고 원근감을 강조시키는 한편 왜곡성을 가져와 움직이는 피사체가 카메라에 다가올수록 더 빨리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를 특별히 광각효과라고도 하며 이처럼 광각 렌즈를 사용한 화면을 광각 화면이라고 한다. 한편 이보다 더 극단적인 광각의 효과로 어안 렌즈를 통해 표현된다.
Wide Screen - 스크린의 화면비율이 표준 스크린인 1 : 1.33 보다 크고 1 : 1.66 이상인 넓은 스크린 크기를 말한다. 본격적인 대형 화면은 1950년대 초반에 미국에서 텔레비전 등장에 대항하면서 선보이기 시작한 후 일반화되었다. 그 중 시테마라는 다중영사기를 쓰는 방식으로 스크린의 화면비율이 1 : 2.85다. 시네마스코프, 파나비젼 등은 애너모픽 렌즈를 사용하는 것으로 화면 비율이 1 : 2.25다. 오늘날의 대형 화면 비율은, 유럽에서는 1 : 1.65로 그리고 미국에서는 1 : 1.85로 표준화되었다. 표준화된 비율이 3 : 4 또는 1 : 1.33으로 결정된 것은 에디슨이 각 프레임의 양쪽에 4개의 필름구멍이 있는 35mm 필름을 소개하면서부터 였고, 그 이후의 대형화면 비율은 4단계로 발전해 왔다. 첫째는 표준 규격인 35mm 필름보다 폭이 넓은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 둘째는 촬영시에는 애너모픽 굴상 렌즈를 사용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방식, 셋째는 두 대 이상의 카메라와 영사기를 이용하는 방식,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기존의 35mm 필름의 프레임을 위아래로 마스킹함으로써 대형화면을 만드는 방식이다.
Wipe - 두 화면간의 장면전환 효과의 하나로 뒤에 오는 화면이 앞의 화면을 밀어내면서 나타나는 것. 30년대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별로 사용되어지지 않는 기법으로 여러 가지 타입이 있다.
Wow and Flutter - 테이프, 레코드, 필름의 사운드 트랙을 재생할 때 생기는 음향의 왜곡현상. 이것은 모터 스피드의 변동에 의해서 발생한다.
Zoom - 화면내 피사체의 상대적인 크기와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방법. 줌 렌즈는 광각에서 망원까지의 범위가 가능한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다. 줌은 때때로 이동 쇼트를 대신해서 사용되지만 그 차이는 매우 크다. 일반적으로는 카메라를 고정시킨 채 줌 렌즈를 사용하여 촬영되나 때로는 카메라가 직접 피사체로 다가가거나 멀어짐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하며, 또는 피사체나 대상물의 크기가 갑자기 변하는 것도 포함될 때가 있다. 줌 렌즈를 사용한 카메라가 줌 인(zoom-in) 하면 피사체는 크게 보이는 동시에 시야 심도는 줄어들고 반면에 줌 아웃하면 피사체는 작아지는 동시에 시야 심도는 증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