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CAD가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의 위치(디렉토리)가 나열되어 있다.
디렉토리 지정없이 파일이름만으로 LOADING 또는 FIND(찾기)할 경우 ACADPREFIX에 나열된 디렉토리를 차례로 찾는다.
ACADPREFIX에 설정된 PATH는
1) OPEN된 도면이 있는 디렉토리
2) AutoCAD가 실행된 디렉토리
3) SET ACAD= 에서 지정된 디렉토리
4) Preferences의 Support File Search Path 에 지정된 디렉토리
5) Preferences의 Device Driver File Search Path 에 지정된 디렉토리
AutoCAD 2000에서는 Preferences(선호사항)가 Option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4)와 5)는 AutoCAD R13 for Windows, AutoCAD R14 & 2000에만
해당되는 내용이다.
ACADPREFIX에서 나열된 디렉토리는 모두 ;(세미콜론)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ACADVER>
현재 사용중인 AutoCAD의 버전을 보여준다. AutoCAD 파일(*.DWG)의 HEADER와 DXF 파일에 저장되는 $ACADVER과는 값이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
커서 또는 좌표를 입력하여 찍은 점의 위치를 임시적으로 표시해 주는 BLIP 기능을 ON/OFF한다.
OFF(0) = BLIP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
ON(1) = BLIP 기능을 사용한다.
AutoLSIP으로 그리기 또는 편집을 할 때 주로 사용하는 COMMAND 함수에서 BLIP 기능을 켜(ON)놓은 상태로 작업을 하면,
임시적으로 생기는 점이 생기게 되어, 화면이 깔끔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BLIP 기능을 OFF하여 COMMAND 함수를 사용하여, 결과만 깔끔하게 보여주는 테크닉을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BLIPMODE의 설정값은 AutoCAD R14까지는 각각의 도면에 저장되어 도면마다 다른 값이 적용되지만, AutoCAD 2000에서 부터는 따로 저장되어
모든 도면에 같은 값이 적용된다.
<CMDACTIVE>
현재 어떤 종류의 명령어가 작동 중인지 아래 수치의 합을 정수로 알려준다. 읽기전용으로 (setvar "CMDACTIVE")와 같이 사용할 수 없다.
1 = copy, line, zoom, dim 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가 작동중
2 = 보통명령어를 사용하는 도중 'zoom 과 같이 ' 기호를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작동중
4 = 스크립트가 작동중
8 = 대화 상자가 작동중
16 = AutoLISP 또는 DDE 명령이 작동중[AutoCAD R14 이상]
<CMDECHO>
AutoLISP의 command 함수를 사용하는 동안 command 함수의 진행과정을 화면에 나타내는(echo)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 한다.
0 = command 함수의 진행과정을 Command Line에 나타내지 않는다.
1 = command 함수의 진행과정을 Command Line에 나타낸다.
CMDECHO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더욱더 깔끔한 AutoLISP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CMDECHO의 값은 도면파일이나 AutoCAD 환경저장파일에 저장되지 않고, 무조건 초기값은 1로 설정된다.
즉 마지막으로 CMDECHO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도면을 저장하였다해도, 이 도면을 다시 OPEN하면 CMDECHO의 값은 1로 설정되어 있다.
<CMDNAMES>
현재 사용중인 명령어를 보여 준다. CMDNAMES의 설정값은 SETVAR 함수로 변경할 수 없다.
CMDNAMES는 주로 특정 명령어의 끝나는 시점을 알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PURGE 명령어는 불필요한 BLOCK/LAYER.. 등의 갯수만큼 물어 온다.
CMDNAMES의 값이 ""가 되는 시점을 확인 하여 PURGE 명령어가 끝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DISPSILH>
솔리드 원통등을 hide시 나타나는 지저분한 사선을 없애준다.
0 = OFF
1 = ON
<DWGNAME>
현재 OPEN된 도면의 이름이 저장되어 있다. 만약 도면이름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AutoCAD는 DRAWINGx.DWG로 설정을 할 것이다.
디렉토리 이름까지 알고 싶다면, DWGPREFIX 변수를 사용하여 확인하면 된다.
<DWGPREFIX>
현재 OPEN된 도면이 위치한 드라이브와 디렉토리의 값이 저장되어 있다.
DWGNAME과 함께 사용하면 현재 OPEN된 파일의 드라이브,디렉토리명,파일이름을 모두 알 수 있다.
<EDGEMODE>
extend나 trim시에 선이 물리지 않아도 자르거나 연장시킬수있게 해주는 옵션이다.
0 = 선이 물리지 않아도 자르거나 연장시킬수 없다.
1 = 선이 물리지 않아도 자르거나 연장시킬수 있다.
<FACETRES>
솔리드 원통의 면분할을 많이 해서 솔리드 원통이 이쁘게 나오게 합니다.
0 = OFF
1 = ON
<FILEDIA>
OPEN, WBLOCK 등에서 사용하는 파일선택/입력 대화상자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0 = 파일선택/입력 대화상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1 = 파일선택/입력 대화상자를 사용한다.
<MIRRTEXT>
MIRROR 명령어로 TEXT를 MIRROR할 때, TEXT가 뒤집어 지도록 할 것인지 설정한다.
0 = MIRROR시 TEXT가 뒤집히지 않는다.
1 = MIRROR시 TEXT까지 모두 뒤집는다.
<OFFSETDIST>
OFFSET 명령어 사용시 default 값으로 사용되는 OFFSET 거리를 설정하거나 읽어온다.
OFFSETDIST의 값이 -값(음의수) 즉, 0보다 작을 때는 default값이 <Through>로 설정된다.
OFFSET 거리는 0(zero)의 값은 설정할 수 없으나 OFFSETDIST의 값을 0으로 설정하면 가능하기는 하다.
<PICKFIRST>
물체를 먼저 선택하고 명령어를 나중에 넣울수 있는 옵션이다.
0 = 명령어를 나중에 넣을수 없다.
1 = 명령어를 나중에 넣을수 있다.
<TEXTSTYLE>
현재 설정되어 있는 TEXT STYLE을 읽어오거나 설정한다.
없는 TEXT STYLE을 현재 TEXT STYLE로 설정하려 하면 에러가 나니 주의해야 한다.
이때는 TBSEARCH 함수로 먼저 설정하려하는 TEXT STYLE이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하면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새로운 TEXT STYLE을 만든다거나, 잠시 다른 TEXT STYLE을 가지고 작업한 후, 프로그램이 종료 될 때, 원래의 TEXT STYLE로 되돌려 주면
프로그램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VIEWRES>
원이나 호는 가끔가다 찌그러져 표시되는데 그런 현상을 없애 준다. 2000정도로 설정해 주면 된다.
Command: VIEWRES
Do you want fast zooms? [Yes/No] <Y>: Y
Enter circle zoom percent (1-20000) <100>: 2000
첫댓글 주선아 너느 이거 다아냐 ? 정말 대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