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Z포스트, 메리디언 에너지 등 4,600만 달러
보너스 잔치로 전세계 여론의 역풍을 맞고 있는 미국의 최대 보험사 아메리칸인터내셔널그룹(AIG)의 경영진들이 속속 사임하고 있다. 하지만 보너스 잔치는 미국에서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뉴질랜드에서도 최근 부실 국영기업체 경영진들이 거액의 보너스를 지급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 정부는 이에 대해 철저히 조사를 하고 관련 기업체의 사장들을 모두 경질할 방침이다. 또한 일부 국영기업체 사장들은 이미 경질됐다.
보너스 잔치는 부실화된 기업들이 정부로부터 막대한 구제금융을 받고 이 돈으로 막대한 보너스를 챙긴 사건이다. AIG의 경우는 정부로부터 1천8백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구제금융을 받고 이 돈 가운데 2억1천만 달러를 보너스로 지급한 바 있다. 이 보너스 사태로 미국은 물론 전세계 시민들이 발끈했고 결국 일부 보너스는 반납한 상태이다. 또한 AIG의 금융사업 부문 자회사인 '방크(Banque) AIG'의 마우로 가브리엘레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와 제임스 셰퍼드 부사장이 최근 사임의사를 밝혔다. 또한 AIG 금융 상품 부문의 제이크 드산티스 부사장도 사임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뉴질랜드의 경우 지금까지 정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모두 15개의 국영기업체에서 모두 4천6백만 달러의 보너스가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우정기업인 NZ 포스트의 경우 모두 1천9백80만 달러의 보너스가 지급되었으며 트랜스 파워의 경우는 530만 달러가 지급됐다. 또한 솔리드 에너지의 경우는 520만 달러, 메리디언 에너지는 510만 달러, 그리고 가장 부실화된 국영기업체인 철도기업 NZ 레일웨이스는 218만 달러를 보너스로 챙겼다.
공영기업 담당 사이먼 파워장관은 현재 뉴질랜드의 경제상황을 살펴볼 때 과연 이들 경영진들이 이처럼 엄청난 보너스를 지급 받은 것이 상식적인 일인지 의문이라고 비난했다. 이들 국영기업들은 대부분 적자경영을 하는 기업들로써 그 동안 부실경영으로 정부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아왔었다. 정부의 지원이라는 것이 결국은 납세자들의 세금이므로 결국 이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막대한 보너스 잔치를 벌인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물론 이들 국영기업체 경영진들은 대부분 지난 노동당 정부 시절 임명된 사람들로써 이들은 지난 정부 때 만들어진 연봉체계로 막대한 보너스를 받은 것이다.
이번 거액 보너스 잔치로 인하여 파워장관은 지난 정부시절 임명된 대부부의 국영기업체 경영진들을 솎아낼 작정이다. 벌써 전력기업인 메리디언 에너지의 데이비드 샨드 사장이 4월 30일자로 권고사직 됐다. 데이비스 사장은 지난 정부시절 재무성 장관인 마이클 칼란의 추천으로 메리디언 에너지 사장에 임명되었으며 노동당의 배경을 갖고 있다. 그는 월드 뱅크와 IMF에서 일한 경력으로 메리디언 에너지 사장에 임명되었지만 이번 보너스 파동으로 사직하게 됐다. 그와 더불어 부사장을 역임하고 있던 폴리 바버리언씨도 같이 권고사직 당하게 됐다.
100% 국가가 소유하고 있는 전력기업들은 그 동안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서 소비자인 국민들을 상대로 이익 올리기에 급급했다. 이들 전력기업들은 지난 5년 동안 전력요금을 무려 28%나 올렸다. 메리디언 에너지, 제네시스, 마이티 리버 파워 등이 대표적인 전력기업들이다. 이들 기업들은 경영쇄신을 통한 이익창출보다는 전력요금 인상이라는 구태의연한 방식을 구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전력기업들은 서비스에서는 후진국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오클랜드 시티 일원에서 잇따라 벌어진 단전사고는 소비자들의 분노를 자아내게 했다. 또한 어려운 경제난으로 인하여 서민들의 생활고가 심각해지고 있는 이때에 또다시 전력요금 인상을 발표함으로써 경영진들이 자신들의 보너스 챙기기에 급급한 것이 아닌가 하는 공분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소비자 보호단체인 컨슈머 뉴질랜드의 슈 체트윈 회장은 전력회사들의 보너스 지급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분개했다. 그는 소비자들은 해마다 인상되는 전력요금으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는데 이들은 거액 보너스를 챙기고 있다면서 불평등을 시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존 키 수상은 최근 전력회사들에 대한 경영감사를 철저히 하라고 국영기업 담당 파워장관에게 지시했다. 파워장관은 모든 전력회사들에 대해 경영평가를 한 후 대부분의 경영진들을 재임명하지 않기로 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영진들은 오는 4월 30일 이후 재임명 탈락을 통하여 자리를 떠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 경영 컨설턴트인 랄프 래트씨는 최근 뉴질랜드의 국영기업들은 대부분 국영기업이라는 간판만 유지하고 있을 뿐 실제로 일반 기업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경영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과연 국영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국영기업들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면 질수록 결국 국영기업에 대한 민영화 조치는 앞당겨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야당 정치인들은 현정부가 국영기업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하고 있는 것은 결국 민영화로 가기 위한 수순일 뿐 이라고 폄하하고 있다. 또한 정부가 바뀌면서 지난 정부의 인맥을 청산하기 위한 여론몰이로밖에 볼 수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