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두 분이 좋은 마음으로 이렇게 결혼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서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결혼을 하는데,
이 마음이 십 년, 이삼십 년 가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여기 앉아 계신 분들 결혼식장에서 약속한 것 다 지키며 살고 계십니까?
지금 이 자리에서는 검은머리가 하얀 파뿌리가 될 때까지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거나, 어떤 고난이 있더라도 서로 아끼고 사랑하며 서로 돕고 살겠는가 물으면,
"예" 하며 약속을 잘 해놓고는 3일이나, 3개월, 3년을 못 넘기고
남편 때문에 못살겠다,아내 때문에 못살겠다 하면서 다툽니다.
그렇게 결혼하기를 원해 놓고는 살면서 “아이고, 괜히 결혼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안 하는 게 나았을걸“ 후회하는 마음을 냅니다.
그렇다면 안 살면 되는데 많은 사람들 앞에서 약속을 해놓고
안 살수도 없고 어영부영하다가 아이가 생기니까 또 아이 때문에 헤어질 수도 없고, 그러면서 나중에는 서로 원수가 되어버립니다. 서로를 향해 “아이고, 웬수야” 합니다.
이렇게 남편 때문에, 아내 때문에 고생 고생하다가
나이 들면서 겨우 포기하고 살만하다 싶은데, 이제 또 자식이 애를 먹입니다. 자식이 사춘기 지나면서 어긋나며 온갖 애를 먹이다가는, 죽을 때까지 걱정하게 만듭니다.
이것이 인생사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결혼할 때는 마음이 벅차올라 부러워할 것이 없지만,
한참 인생을 살다보면 여기 있는 이 스님이 부러워, “아이고 저 스님 팔자도 좋다” 이렇게 됩니다.
이것이 거꾸로 된 것 아닙니까? 스님 되는 것이 좋으면 처음부터 되지, 왜 결혼해 살면서 스님을 부러워합니까?
이렇게 인생이 괴로움 속에 돌고 도는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 제가 그 이유를 말할 테니,
두 분은 여기 앉아 있는 하객들처럼 살지 마시기 바랍니다.
서로 좋아서 결혼하는데 결혼할 때의 마음은 어떠냐?
선도 많이 보고 사귀기도 하면서 남자는 여자를, 여자는 남자를 이것저것 따져보는데, 그 따져보는 근본 심보는 덕보자고 하는 것입니다.
저 사람이 돈은 얼마나 있나, 학벌은 어떻나, 지위는 어떻나, 성질은 어떻나, 건강은 어떻나,이렇게 따져 가지고
이리저리 고르는 이유는 덕 좀 볼까 하는 마음입니다. 손해볼 마음이 눈꼽 만큼도 없습니다.
그래서 덕볼 수 있는 쪽을 고르고 고릅니다. 이렇게 골랐다는 것은 덕보겠다는 마음입니다.
아내는 남편에게 덕보고자 하고, 남편은 아내에게 덕보겠다는 바로 그 마음이, 살다가 보면 다툼의 원인이 됩니다.
아내는 30%주고 70% 덕보자고 하고, 남편도 자기가 한 30%주고 70% 덕보려고 하니, 둘이 같이 살면서 70%를 받으려고 하는데, 실제로는 30%밖에 못 받으니까 결혼을 괜히 했구나 속았나하는 생각을 십중팔구는 하게 됩니다.
속은 것은 아닌가, 손해봤다는 생각이 드니까 괜히 했다, 이런 생각이 드는거죠.
그런데 이 덕보려는 마음이 없으면 어떨까?
“아이고 내가 저분을 좀 도와줘야지, 저분 건강이 안 좋으니까 내가 평생 보살펴 줘야겠다. 저분 경제가 어려우니 내가 뒷바라지 해줘야겠다,
아이고 저분 성격이 저렇게 괄괄하니까 내가 껴안아서 편안하게 해줘야겠다.”
이렇게 베풀어줘야겠다는 마음으로 결혼을 하면, 아무하고 결혼해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덕보겠다는 생각으로 고르면, 백 명 중에 고르고 또 골라봐도, 막상 제일 엉뚱한 걸 고르게 됩니다.
그래서 옛날 조선시대에는 얼굴도 안보고 결혼해도 잘 살았습니다.
시집가면 죽었다 생각하라했거든, 죽었다 생각하고 시집을 가보니 그래도 살만하니까 웃고 사는데,
요새는 시집가고 장가가면서 좋은 일이 생길까 기대하고 가보지만 가봐도 별 볼 일이 없으니까, 괜히 결혼했나 의심을 합니다.
결혼식하고 며칠 안 돼서부터 후회하기 시작합니다. 어떤 사람은 결혼하기 전부터 후회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왜냐, 신랑신부 혼수 구하러 다니다가 의견차이가 생겨서 벌써 다투게 됩니다. 안 했으면 하지만 날짜 잡아놔서 그냥 하는 사람들도 제가 많이 봅니다 .
오늘 이 자리의 주인공이신 한 쌍의 불자여,
제일 중요한 것은 오늘 이 순간부터는 덕보겠다는 생각을 버리십시오.
내가 아내에게, 내가 남편에게 무얼 해줄 수 있을까, 저분이 나하고 살면서 그래도 덕 좀 봤다는 생각이 들도록 해줘야 하지 않겠느냐, 이렇게만 생각하면 사는데 아무 장애가 없습니다.
그런데 심보를 잘못 가지고는 자꾸 궁합을 맞춰보고 사주팔자를 뜯어봅니다.
바깥 궁합 속 궁합 다보고 삼 년을 동거하고 살아봐도 이 심보가 안 바뀌면 오래 못 갑니다.
그런데 여기 계신 하객들은 결혼생활에 산전수전 다 겪은 사람들이라 신혼부부에게 나름대로 코치를 하려듭니다.
남편에게 “왜 괜히 바보같이 마누라에게 쥐어 사나, 그렇게 살 거 뭐 있나”하고,
아내에게는 “니가 왜 그렇게 남편에게 죽어 사나, 니가 얼굴 이 못났나 왜 그렇게 죽어 사노”
이렇게 옆에서 살살 부추기며, 결혼할 땐 박수를 치지만 내일부터는 싸움을 붙입니다.
이런 말은 절대 들으면 안됩니다. 이것은 실패한 사람들이 괜히 심술을 놓는 것입니다.
남이 뭐라고 해도 나는 남편에게 덕되는 일 좀 해야 되겠다. 남이 뭐라 그러던, 어머니 아버지가 뭐라 그러던,
누가 뭐라 그러던 나는 아내에게 도움이 되는 남편이 되어야겠다 지금 이 순간 마음을 이렇게 딱 굳혀야 합니다.
애까지 낳아놓고 나중에 이혼한다고 소란 피우지 말고 지금 생각을 딱 굳혀야 해요, 그렇게 하시겠어요? 덕 봐야 돼요? 손해 봐야돼요?
“손해보는 것이 이익이다” 이것을 확실하게 알아들어야 합니다. 오늘 두분 결혼식에 참여한 사람들은 반성 좀 해야합니다.
이렇게 두 분의 마음이 딱 합해지면, 어떻게 되느냐, 아내의 오장육부가 편안해집니다.
이 오장육부가 편해지면 어떻게 되느냐, 영식(靈識, 영혼)이 태중으로 들어와야 여자가 임신을 하게 되는데 그 영식이란 게 초조 불안한 중음신도 있고, 편안하게 도 닦다 죽은 각령(覺靈)도 있습니다.
편안한 데는 편안한 게 인연을 맺어오고, 초조 불안하면 초조 불안한 것이 딱 들어옵니다. 그래서 이것을 잉태라고 합니다.
여자가 마음이 편안한 상태에서 잉태를 하면 선신을 잉태하고, 마음이 어두울 때 잉태를 하면 악신을 잉태합니다.
처음에 씨를 잘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 결혼해 가지고 덕보려고 했는데 손해를 보니까, 심사가 뒤틀려 있는 상태에서 동침하다보니 애가 생깁니다.
기도하고 정성 다해서 애가 생기는 것이 아니고, 그냥 둘이 좋아 가지고 더부덕덥덥 하다보니까 애가 생겨버립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태교가 잘못됩니다. 이렇게 잉태해 가지고는 성인 낳기는 틀린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밥 먹고 짜증내고 신경질 내면, 나중에 위를 해부해보면 소화가 안되고 그냥 있습니다.
이 자궁이라는 것은 어머니의 오장육부하고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이것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짜증을 내면 오장육부가 긴장이 되어있습니다. 안에 있는 아이가 늘 긴장 속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그래서 이것이 선천적으로 선천적 장애나 정서불안의 원인이 됩니다.
엄마가 편안한 마음을 갖고 있고 원기가 늘 따뜻하게 돌면, 아이가 그 안에 있으면 그렇게 편안할 수가 없어요.
이 아이는 태어나면 선천적으로 도인처럼 편안한 사람이 됩니다.
그러니까 남편이 어떻든, 세상이 어떻든
애를 가진 이는 편안해야 합니다. 편안하려면 수행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아내가 편안한 것은 누구의 영향을 받느냐
바로 남편의 영향을 받습니다.
남편이 애는 좋은 애를 낳고 싶다면 아내를 걱정시키지 마세요.
아내가 애를 가졌다고 하면 집에 일찍 들어오고, 나쁜 것은 안 보여주고,늘 아껴주고 사랑해주고 거들어 줘야합니다.
시어머니들도 훌륭한 손자를 보고 싶다면, 며느리를 들볶지 말고 편안하게 해주세요.
본인이 편안한 것이 제일 좋고, 주위에서도 편안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어야 합니다.
첫 번째가 편안한 마음상태이라면, 두 번째는 음식을 가려먹어야 합니다. 육식을 조금하고 채식을 많이 하고, 술 담배를 멀리해야 아이에게 좋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아이를 낳은 후에 아이가 있는 데서 서로 싸우면 안됩니다.
한국에 태어나면 한국말 배우고, 미국에 태어나면 미국말 배우고, 일본에 태어나면 일본말 배우고, 원숭이 무리에서 자라면 원숭이가 되는 것이 아이의 민감한 감수성입니다.
그러니까 어릴 때 부모가 하는 것을 그대로 본받아 아이의 심성이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옛날부터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기가 조그만 하다고 애를 옆에 두고 둘이서 짜증내고 다투면, 사진 찍듯이 그대로 아기 심성이 닮아갑니다.
그래서 아버지가 술 주정하고 그러면 아이가 나는 크면 절대로 그렇게 안 할거야 하지만 크면 술 주정합니다.
다투는 집에서 태어나면 자기는 크면 절대로 다투지 않겠다고 하지만 크면 다투게 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대로 모방해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아이를 낳으려면 아내는 직장을 다니지 말아요. 그럴 형편이 못되면 3년동안은 휴직을 해요. 아니면 아이를 업고 직장에 나가든지. 이렇게 해서 아이를 우선적으로 해야합니다.
아이를 우선적으로 하려면 아이를 낳고, 그렇지 못 할것 같으면 낳지 말아야 합니다.
안 그러면 아이가 복 덩어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을 망치는 고생덩어리가 됩니다.
제 말 잘 들으십시오.
이렇게 안 하려면 낳지를 말고 낳으려면 반드시 이렇게 하십시오.
그래야 나도 좋고 자식도 좋고 세상도 좋습니다. 잘못 애 낳아 놓으면 세상이 시끄럽습니다.
반드시 이것을 첫째 명심하십시오. 가정에서 이것이 첫째입니다.
두 번째, 제가 신도 분들 만나보면, 애 때문에 시골에 있는 남편 떼어놓고 애 데리고 서울로 이사가는 사람, 애 데리고 미국에 가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절대 안됩니다.
부부는 아이가 세 살 때까지는 애를 우선적으로 하고
그 이후에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남편은 아내, 아내는 남편을 우선으로 해야합니다.
아이는 늘 이차적으로 생각하십시오. 대학에 떨어지든지 말든지 신경 쓰지 마십시오.
누가 제일 중요하냐, 아내와 남편이 첫째입니다. 남편이 다른 곳으로 전근가면 무조건 따라 가십시요. 돈도 필요 없습니다. 애가 학교 몇 번 옮겨도 괜찮습니다.
이렇게 남편은 아내를, 아내는 남편을 중심으로 놓고 세상을 살면 아이들은 전학을 열 번 가도 아무 문제없이 잘삽니다.
그런데 애를 중심으로 놓고 오냐오냐하면서 자꾸 부부가 헤어지고 갈라지면, 애는 아무리 잘해줘도 망칩니다.
지금 이 자리에도 그렇게 사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오늘부터 정신차리십시오.
제 얘기를 선물로 받아 가십시오. 이렇게 해야 가정이 중심이 서고 가정이 화목해집니다.
먼저 가정의 화목을 도모하고 내가 사는 세상에도 기여를 해야합니다.
우리만 잘산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니까 늘 내 자식만 귀엽게 생각말고, 이웃집 아이도 귀엽게 생각하고,
내 부모만 좋게 생각하지 말고 이웃집 노인도 좋게 생각하고,
이런 선한 마음을 내야만 나 자신이 성숙하게 되고
자식도 나의 좋은 면을 본받게 됩니다.
자식에게 정성을 쏟으면서도 자기 부모께는 불효한다면 반드시 그 자식은 어긋나고 불효합니다.
그러니 늘 자식보다는 부모를, 자식보다는 아내와 남편을 먼저로 할 때 자식교육이 똑바로 됩니다.
매를 들고 애를 가르칠 필요 없이, 내가 늘 부모를 먼저 생각하면 자식이 저절로 됩니다.
그러니까 애를 키우다 나중에 저게 누굴 닮아 저렇나 하면 안됩니다. 누굴 닮겠습니까. 둘을 닮았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나쁜 인연을 지어서 나쁜 과보를 받아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처음에 조금 노력하여 인연을 잘 지어 놓으면
나중에 평생 편안하게 살수 있습니다.
두 부부는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려고 해야합니다.
자식을 낳으려면 잉태 할 때와 뱃속에 있을 때, 세살 때까지가 중요하니 부부가 화합하여 마음을 편하게 가져야 합니다.
주로 결혼해서 틈이 생길 때 애가 들어서고, 저 남자와 못살겠다고 할 때, 아이를 키우기 때문에 아이들이 사춘기가 되면, 부모에게 반항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애가 중학교까지 잘 다니다가 고등학교 가더니 그렇다, 친구 잘못 사귀어서 그렇다고 하지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납니다. 그러니 아이가 이미 그렇게 되었거든 지금 엎드려서 참회를 하여야 고쳐집니다.
지금 이 부부는 꼭 훌륭한 자식을 가지기를 바랍니다.
세 번째, 남편은 아내를, 아내는 남편을 서로 우선시 하고 자식을 우선시 하지 않습니다.
남편이나 아내보다도 부모를 우선시 하면 안됩니다. 그것은 옛날 이야기입니다.
아내와 남편이 제일 먼저요, 두 번째가 부모, 세 번째가 자식입니다. 이렇게 우선 순위를 두어야 집안이 편안해집니다. 그리고 나서 사회에 기여를 해야 합니다.
두 부부는 이것을 중심에 놓고 살아야 합니다. 그러면 인생이 즐겁지 않겠어요. 마음이 즐거워야 남편이 사업을 하면 사업이 잘되고, 뭐든지 잘됩니다.
그런데 돈과 권력과 자기 개인의 이익에 눈이 어두워가지고
자기 생각 고집해서 살면 결혼 안 하느니보다 못합니다.
지금 이 좋은 마음 죽을 때까지, 내생에까지 가지고 갈 수 있기를 빕니다.
이렇게 산다면 머리 깍고 스님이 되지 않아도
해탈하고 열반할 것입니다.
그것이 대승보살의 길입니다. 제가 부주 대신 이렇게 말로 부주를 하니까 두 분이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 |
첫댓글 눈물날정도로 웃음이 나와 혼자 실컷 웃었어용....ㅎㅎㅎ죄송
스크랩해서 개인 카폐에 올려도 될까요?
예, 그러세요. 그런데 무엇이 그렇게 우습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