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강릉~제진(고성군 저진리) 간 철도 개설 사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예비타당성 조사비용을 내년 예산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국회를 통해 흘러나왔으니 청신호로 여겨진다. 하지만 지난해에도 올해 예산에 20억 원 반영을 검토했었으나 끝내 무산됐다. 더욱이 내년 정부 SOC 예산이 4대강 사업에 밀려 줄줄이 삭감되는 실정이다. 이러니 또 안심할 수가 없다.
이 동해북부선 철도의 필요성은 최근에 갑자기 불거진 게 아니다. 금강산 관광이 논의되던 1997년에 이미 예비타당성 조사가 실시됐다. 당시에도 이 구간은 경제성(비용편익분석 B/C 1.02)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군 제진역에서 북한 금강산역을 잇는 동해선 25.5㎣가 2007년에 시험운행을 마친 상황이다. 강릉~제진 구간만 이어 놓으면 남한의 철도망이 한반도종단철도(TKR),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연결되는 것이다. 남북 간 관광사업은 물론 물류 수송에 반드시 필요한 통로다. 2005년 5월 청와대에 `지속가능한 교통정책'에 관한 보고서가 제출됐다. 정부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로 1년6개월 동안 30여 명의 국내 저명 교통·환경 전문가들이 작성했다. 이 보고서의 요지는 친환경적인 철도와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하라는 것이다. 철도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미래 교통정책 방향 제시다.
지난해 3월 착공한 삼척~포항 간 동해중부선 철도 공사가 2014년 완료된다. 여기에 171.3㎞에 3조 원 가까이 투입한다. 강릉~제진 구간은 110.2㎞로 1조8,400여억 원이 들어갈 것이라는 계산이 나와 있다. 동해중부선의 활용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동해안 철도 완전 연결은 더 이상 미뤄둘 일이 아니다. 강릉~원주 복선전철, 동서고속화철도와도 연결하는 노선이다. 강원도와 경북 울산 등 동해안 3개 시·도가 마련하고 있는 동해안권발전종합계획, 동북아경제권과 유라시아경제권 형성이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도 동해북부선 개설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