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굳기 정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표준 광물 |
활석 |
석고 |
방해석 |
형석 |
인회석 |
정장석 |
석영 |
황옥 |
강옥 |
금강석 |
④ 광물의 굳기에 차이가 생기는 까닭 : 광물의 굳기는 광물을 구성하는 알갱이(원자)
의 배열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광물의 물리적 성
질이다. 따라서 알갱이의 종류와 배열 상태에 따
라 광물의 굳기에 차이가 생긴다.
(2) 결정형
① 광물 특유의 겉모양을 결정형이라고 한다.
② 광물은 종류에 따라 몇 개의 평면으로 둘러싸인 독특한 결정형을 가진다.
③ 석영은 육각기둥, 금강석은 팔면체, 흑운모는 육각의 얇은 판 모양, 황철석은 정육
면체 모양이다.
④ 색깔이 달라도 결정형이 같으면 같은 광물이다.
(3) 쪼개짐
① 광물에 힘을 가했을 때 일정한 방향으로 쪼개지는 성질을 쪼개짐이라고 한다.
② 방연석은 정육면체, 운모는 얇은 판상, 방해석은 기울어진 육면체의 쪼개짐이 있다.
③ 흑운모는 광물들 중에서 쪼개짐이 가장 발달한 광물이다.
④ 광물의 쪼개짐과 방향
㉠ 한 방향으로 쪼개지는 광물 : 운모
㉡ 두 방향으로 쪼개지는 광물 : 장석, 휘석, 각섬석
㉢ 세 방향으로 쪼개지는 광물 : 방해석, 방연석, 암염
㉣ 네 방향으로 쪼개지는 광물 : 형석
(4) 깨짐
① 광물에 힘을 가했을 때 일정한 방향으로 쪼개지지 않고 불규칙한 면을 보이면서 깨
어지는 성질을 깨짐이라고 한다.
② 이러한 성질은 광물을 구성하고 있는 알갱이(원자) 사이의 결합력이 사방으로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③ 석영, 황철석, 감람석, 흑요석 등은 깨짐이 나타난다.
(5) 자성
① 어떤 광물은 자석에 붙는데 이러한 광물의 성질을 자성이라고 한다.
② 자성을 이용하여 광물을 감별할 수 있으며, 자철석은 자성이 가장 강한 광물이다.
(6) 염산과의 반응
① 방해석은 칼슘, 탄소, 산소의 화합물인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거품을 낸다.
② 방해석의 표면에 거품이 생기는 것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광물을 감별할 수 있다.
(7) 밀도
① 단위 부피의 질량을 밀도라고 하는데, 광물의 종류에 따라 밀도가 다르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하여 광물을 감별할 수 있다.
② 밀도가 큰 광물 : 철, 마그네슘, 텅스텐 등과 같은 밀도가 큰 금속 원소의 화합물로
된 광물은 밀도가 크고 광물의 색깔이 어둡다. 흑운모, 각섬석, 휘석,
감람석 등이 속한다.
③ 밀도가 작은 광물 : 산소, 규소로만 이루어진 석영과 같은 광물은 철, 마그네슘 등과
같은 원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밀도가 작고 밝은 색을 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