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석 배치의 실제 <o 昭穆之序= 중앙을 상석으로 배석시 상석앞에 2位:東. 3位:西. 生者.死者공통으로 印爲上 o 印爲上 = 生者.婿東婦西. 舅東姑西. 男東席西. o 以西爲上 = 死者.神爲以西爲上考西妣東.>
예절의 방위를 알고 바른 위치와 상하석의 기준을 안다 하더라도 그것을 실제의 예의생활에 적용하지 못하면 아무런 가치가 없다. 어떤 행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좌석의 배치를 바르게 하지 못하면 참석하는 손님을 불쾌하게 한다. 위계와 석차가 일치하면 바른 손님 대접이 되어 주인과 손님이 모두 즐겁고 떳떳하지만, 위계와 석차가 뒤죽박죽이 되면 손님이 엉성하고 무례한 대접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고 주인도 민망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전통의식에서 어떻게 좌석배치를 했었는지를 먼저 알아보며 그것을 현대의식에는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살피고, 다음에는 현행 각종 행사에서의 좌석배치와 석차를 어떻게 해야 바른 것인지와 일상생활상의 석차를 알아보기로 한다.
1) 혼인예식장에서의 신랑․신부는 신랑이 동쪽이고 신부가 서쪽이다. ‘서동부서(婿東婦西)’, 이것은 우리나라의 전통 혼인례뿐 아니라 세계의 모든 종 교 의식이 그렇다. 주례의 좌측에 신랑이 서고 주례의 우측에 신부가 서며 신랑 혼주는 주례의 좌측에 앉고, 신부 혼주는 주례의 우측에 앉는다. 
2) 신부가 시부모에게 현고구례(見姑舅禮)할 때는 시아버지가 동쪽이고 시어머 니가 서쪽이다. [구동고서(舅東姑西)] 3) 수연(壽筵)에서는 남자 어른이 동쪽이고 여자어른이 서쪽이다. [장부처동 부인처서(丈夫處東 婦人處西)] 
4) 자손이 어른에게 하례(賀禮)를 드릴 때나 제의(祭儀)에서의 서차(序次)는 가 운데의 절하는 자리를 경계로 해서 서되 남자자손은 동쪽에 위치하는데 서쪽 (중앙)을 상석으로 한다. 또 여자자손은 서쪽에 위치하는데 동쪽(중앙)을 상석으로 한다. 남녀 모두 북쪽 앞쪽에 윗대, 남쪽 뒷줄에 아랫대가 열지어 선다. [남동석서상 여서석동상(男東席西上 女西席東上)] 
5) 조정에서 임금에게 조하(朝賀)를 드릴 때는 문관이 동쪽이고, 무관이 서쪽 이며 문무 모두 북쪽을 상석으로 한다. [문동무서북상(文東武西北上)] 
6) 지방, 신주의 신위와 묘지의 시체는 남편이 서쪽이고 부인이 동쪽이다. [신위이서위상 고서비동(神爲以西爲上 考西妣東)]
7) 한 사당에 고조까지 4대의 신주를 모실 때는 서쪽에서부터 고조, 중조, 조, 고의 순서로 모신다. [신위이서위상(神位以西爲上)]
8) 한 사당 시조, 선조, 윗대 부조지위와 고조까지를 모실 때는 시조, 선조, 부조지위(不祧之爲․顯祖)는 중앙 북쪽에 모시고, 고조까지는 4대는 소(昭)목 (穆)순으로 모신다. [소목지서(昭穆之序)]
9) 서원(書院) 성균관(成均館)의 남녀석차는 장부처동(丈夫處東) 이서(以西) (中央) 위상(爲上)하고 부인처서(婦人處西) 이동(印) (中央) (爲上) 즉 남 동석서상(男東席西上)하고 여서석동상(女西席東上)하고 중앙에 신도(神道)가 없으면 이동위상으로 선다. <1>.‘昭穆之序’란 (돌아가신) 조상의 신주를 사당에 모시는 순서입니다. 이 때 중앙에 (最)上位를 모시고, 昭(東)에 2위, 穆(西)에 3위, 다시 昭(東)에 4위, 穆(西)에 5위의 순으로 모십니다. [이를 圖表로 例示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昭穆之序 [昭; 陰數, 穆; 陽數] [1세] (西)穆 [3세] ===========[2세] 昭(東) [5세] ===========[4세]
<2>. “생자에도 좌의정,우의정이 왕을 중심으로 좌측 좌의정(2), 우측 우의정(3)이 되는지”의 여부는,“生者의 例”이므로 위 1항의 반대(印爲上)일 것입니다. [이를 圖表로 例示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昭穆之序[生者도 여기에 따른다]-중앙이 상석(1)으로 배석시 印爲上[東:陽數. 西:陰數]-동쪽을 차상석(2)으로 배석한다. [1] (西)穆 [3] ===========[2] 昭(東) [5] ========= [4]
<3>. 이동위상(印爲上)-동쪽을 상석으로 배석할때(生者) (현대의) 의전예절은 대체로 위의 사례를 따르고 있는데, 참고로, 이는 陰陽의 原理와 合致하는 것이다. [東洋의 傳統인‘主東客西’는 동서양의 (공통) 의전예절 이다.] (西)-(7)-(6)-(5)-(4)-(3)-(2)-(1)(東) <4>. 이서위상(以西爲上)-서쪽을 상석으로 배석할때(死者) 이는 (生時:東(陽)에 陰數, 西(陰)에 陽數가 오는데,) 死者는 반대로써 東(陰)에 陽數, 西(陽) 陰數에 가 오는데, 그 이유는 (死者의) 上席이 서쪽(以西爲上)이기 때문입니다. (西)(1)-(2)-(3)-(4)-(5)-(6)-(7)-(東) [참고자료]
古禮의 昭穆制度와 現代의 印爲上<資料> <1>. 昭 陰數, 穆 陽數[印爲上] [1] 穆 [3] [2] 昭 [5] [4] * 성균관 봉안위차도 [중앙 오성위 참조] 
△ 成均館 奉安位次圖 [中央1 孔子, 昭2 顔子, 穆3 曾子, 昭4 子思, 穆5 孟子] [참고]; 소목; 조상의 신주를 사당에 모시는 차례. 왼쪽을 소, 오른쪽을 목이라 하는데 <시조의> 1세를 가운데 모시고 2. 4. 6세를 소에, 3. 5. 7세를 목에 모심. [禮記; 天子七廟 三昭三穆 與太祖之廟而七 諸侯五廟 二昭二穆 與太祖之廟而五] <2>. 東 陽數, 西 陰數[印爲上] [1] 西[3] [2]東 [5] [4]
◈ 현대생활의 印爲上과 中央上席일때 자리배석◈ [西](4) (2) (1) (3) (5)[東]
[西](4) <총 리> <대통령> <부총리> (5)[東] 한승수 이명박 강만수 
[西](4) (2) (1) (3) (5)[東]
[西](4) <총 리> <대통령> <경제기획원장관>(5)[東] 한승수 이명박 강만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