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기능이 좋지 않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피속에 축적되어 있는 물질(빌리루빈)과 간에서 만들어내는 물질(이것도 간기능이 좋지 않으면 감소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것이 알부민이지요.)의 농도를 측정하여 간의 상태를 짐작하는 것
그리고 간세포가 파괴되면서 혈액속에 들어가는 여러 물질들(GOT, GPT, Alkaline Phosphatase 등)이 있는데 이런 물질을 측정하여 간세포가 파괴되고 따라서 기능이 나빠지는 정도를 짐작할 수도 있습니다.
즉, 간이 안좋으면 빌리루빈을 대사 하지 못하므로 빌리루빈이 많아져서 황달이 생길수 있고, 간세포가 파괴되면서 증가하는 AST, ALT, ALP가 올라간다.
1.GOT, GPT
GOT(AST와 같은 말이다)는 일반적으로 35단위 이하를 정상으로 한다. GPT는 (ALT와 같은 말이다) 보통 42정도 까지 정상으로 본다. 세포가 파괴되면 세포에서 GOT, GPT가 나와 핏속에 돌아다니게 되는데 아무런 이상이 없는 사람도 수명을 다한 세포는 죽고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지므로 핏속에 소량의 GOT, GPT가 있다. 그런데 간에 염증이 생기거나 다른 이유로 간세포가 많이 파괴되면 피속에 GOT, GPT가 올라가게 된다. 그러다가 간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으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즉 간암, 간경변이더라도 간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으면 정상수치로도 나올수 있다.
2. r-GTP( -glutamyl transpeptidase) <정상치 남성 50단위 이하,여성 30단위 이하,상습음주자 100단위 이하>GTP도 담관계 효소의 하나로 담석이나 담관의 병 등으로 인해서 증가합니다. 또 간경변이나 약제성 간장애에서도 높은 수치를 표시합니다.이는 알코올 음용과 깊은 관계가 있기에 음주자의 경우에는 따로 정상치를 마련합니다.
3. ALP(Akaline phosphatase) <정상치 10단위 이하(카인드킹법)>
ALP는 알칼리성으로 작용하는 효소이며 간장에서 만들어져 담즙 속에 배설됩니다. 악성종양의 전이나 간암일 경우에 ALP가 상승합니다.
4. T.bil(혈청빌리루빈) <정상치 총빌리루빈 0.2-1.0mg/㎗>
적혈구는 약 120일의 수명으로 간장이나 비장에서 파괴되어 빌리루빈이 됩니다.이 빌리루빈은 간장에서 다시 담즙으로 재생되어 간장에서 담도를 통해서 장내에 배설됩니다. 그런데 체내에서 용혈성 빈혈이나 담석,간장암,간염 등에 의해 담즙의 유출에 장애를 받으면 혈액 속에서 빌리루빈이 역류하여 증가합니다.이 빌리루빈은 노란색소이기에 혈청 속에 1㎗ 중 2.0mg이상 증가하면 황달을 일으킵니다.
5. 총콜레스테롤 <정상치 130-250mg/㎗> T.C로 되어있다.
콜레스테롤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이 콜레스테롤치가 높으면 핏 속의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침착하여 동맥경화를 불러 일으키기 때문입니다.또 정상치보다 낮은 것은 갑상선기능항진증(바세도씨병)으로 신진대사가 이상할 정도로 활발해지거나,간염이나 간경변으로 콜레스테롤 합성기능이 저하되거나,영양불량의 경우 등에 볼 수 있습니다.
6.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 <정상치 30-150mg/㎗> T.G로 되어있다
중성지방은 체내에서 주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데 이는 식사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에,12-16시간 정도 금식한후 이른아침 공복시에 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당뇨병,통풍이있는 사람에게서 수치가 높습니다.
7.혈당(공복시 혈당) <정상치 모세혈관혈 60-100mg/㎗,정맥혈60-100mg/㎗,정맥혈장 70-110mg/㎗> 혈액 속의 포도당을 혈당이라고 합니다.혈당의 생성과 소비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조절을 받고 있습니다.이인슐린의 작용이 저하되면 혈액 속의 포도당이 늘어나서 당뇨병이 됩니다.반대로 혈당치가 1㎗중 50mg이하로 나타나면 저혈당이라고 하며 탈력감,식은 땀,안면창백,동계,구역질 등 생명까지 위협당하는 수가 있습니다.또 저혈압은 당뇨병의 치료약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FBS : 아침 식사전 측정(120이하 정상)
- PP2 : 식사 2시간 후 측정(200이하 정상. 당뇨가 있었던 사람은 300까지 정상)
- PM4 : 식사 4시간 후 측정(200이하 정상. 당뇨가 있었던 사람은 300까지 정상)
8.알부민 글로불린비(A/G비) <정상치 1.0-2.0(염석법),1.6-2.4(전기영동법)>
혈청총단백에는 알부민과 글로불린이라는 2종류의 단백질이 있습니다.알부민이 병적으로 증가하는 일은 거의 없고,신장병 간질환일때에 감소합니다.반대로 글로불린은 감소하는 일이 극히 드물어 간경변,만성의 감염증 등에서는 오히려 증가 경향을 보입니다.즉,알부민(A)과 글로불린(G)의 비율을 보면 혈청단백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이 비율은 신증후군,간경변,영양실조,만성전염병,임신 등에서는저하합니다.
9.Ht (Hematocrit) <정상치 남자 40-50%,여자 35-45% > HCT로 되어있다.
전혈 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철 결핍성빈혈,구상적혈구증 등 적혈구 형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Ht가 변동합니다. 적혈구 수에 비해서 Ht가 큰 경우에는 대구성 빈혈,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소구성 빈혈임을 알 수 있읍니다.
10.혈색소 Hb(Hemoglobin) <정상치는 보고자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Wintrove: 남자 14.0-18.5 g/㎗,여자 12.0-16.0 g/㎗ Dacie : 남자 13.5-18.0g/㎗, 여자 11.5-16.5 g/㎗>Hb는 철과 porphyrind이 결합된 Heme과 단백부분(globulin)의 복합체로 구성된 Heme단백의 일종으로 주요 기능은 폐에서 조직으로의 산소 운반과 조직에서 폐로의 탄산가스 운반입니다.그런데 철이 부족(철 결핍성빈혈)하거나,porphrin합성 이상(철 아구성빈혈), 연중독 등과 globin 합성의 불균형(지중해빈혈) 등의 원인에 의해서 Hb가 합성되지 못해서 감소하게 되면 빈혈이 생기게 됩니다.또 Hb 가 저산소혈증,erythropoietin 생산 종양,조혈 종양 등에서는 증가 하기에 이를 진단하는데에도 응용됩니다.
첫댓글 '우하나'님이 올리신 '간기능 검사 읽기' (26-29번)와 함께 참고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좋은 자료 올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인자 좀 알겟네요.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