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화면캡쳐 사진은 방금 충청 산골에서 점심 후 커피 한 잔 하면서 인공지능과의 대화 내용임.
**질문 1은 현대시조 한 수를 소개해 달라는 주문--김소월의 <진달래꽃>이라면서 자기가 창작해서 보여 줌 ㅋㅋ
**질문 2는 서태수의 시조 한 수를 소개해 달라는 주문 - <낙동강>이라면서 역시 자기 창작품! ㅋㅋ
== 어다서 낙동강시조시인 소리는 들었는 모양.
---------------------------------------------------
<대화 내용 소개>
Gemini
Gemini와의 대화
현대시조 한수 소개해 줘요
volume_up
현대 시조 한 수 소개
김소월의 **"진달래꽃"**입니다.
진달래꽃
진달래꽃 향기는 봄바람에 실려
나를 속이고 속이고 속인다.
어느덧 꽃잎이 다 시들었으니
이제 그만 속일손 봄바람아.
김소월은 일제강점기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그의 시조는 서정적인 문체와 감성적인 표현으로 유명합니다. 이 시조는 진달래꽃 향기에 속아 봄을 만끽하던 시인의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봄바람에 실려 온 진달래꽃 향기는 시인에게 봄의 아름다움을 상징하지만, 꽃잎이 시들면서 봄은 끝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시인은 봄바람에게 더 이상 속이지 말아 달라고 간절히 호소하며, 덧없는 봄의 아름다움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합니다.
이 시조는 짧은 문장으로도 깊은 감정을 표현하고 있어, 현대 시조의 명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봄의 아름다움과 덧없음에 대한 감성을 일깨워주는 시조입니다.
share
more_vert
------------------------
edit
서태수의 시조 한 수 소개해 줘요
답안 표시
volume_up
서태수 시조 한 수 소개
**"낙동강"**입니다.
낙동강물 흐르다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니
돌멩이도 따라가네
인생살이도 이와 같다
서태수는 낙동강을 주제로 한 많은 시조를 남긴 시인으로 유명합니다. 이 시조는 낙동강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모습을 통해 인생의 덧없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돌멩이가 낙동강물을 따라가는 모습은 인간이 운명에 따라 살아가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시인은 낙동강물의 흐름을 통해 인생의 무常함을 깨닫고, 삶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이 시조는 짧은 문장으로도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 서태수 시조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삶의 덧없음과 무常함에 대한 감성을 일깨워주는 시조입니다.
-----------------
***왜 이런 기이한 대답을 하였는가????
AI(인공자능)은 아직 시조에 대한 기본 상식이 허약함.
이 이유는
한국에서 시조애 대한 지식 공유가 거의 소통되지 못한 현상 반영.
왜냐하면 인공지능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완성형 대답을 보여주는데 아직까지 시조는 빅데이터에 공유될 정도의 인지도가 없다는 의미.
다만 지금의 인공지능은 자료를 입력해주면(이는 이태극의 [시조개론] 한권으로 충분함) 금세 수용하므로 시조의 이론과 창작법을 입력시켜만 주면 금세 해결 가능함.
==서태수 니가 해 보라고?? 난 인공지능 버전이 높은 것을 구해서 연구할 의지도 필요성도 없음-----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