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울산 맥킨리 스키등반원정대
대상지 : 미국 알래스카주 데날리국립공원 내 맥킨리(6,194m, Mt. Mckinley)
원정기간 : 2008년 5월 1일부터 5월 29일까지 (29일간)
등반루트 : 웨스트 버트레스(West Buttress)
목적 : 산악 스키를 이용한 새로운 형식의 해외고산 원정등반
대원 : 원정단장 김춘생, 부단장 박만영, 원정단장 정재희, 원정대장 한영준
대원 이동대, 전가수, 김헌남, 김정상, 백두일
등 정 자 : 한영준, 이동대, 전가수, 백두일
등반일정
제1일 5월 1일(목)
울산출발
07:30 울산공항 집결(아침식사 후 집결) → 환송객 단체촬영(후원사 플랭카드) → 스키장비 수하물운임 할인 요청 → 수하물(32kg 이하 포장) 탁송 확인표 필히 챙길 것 → KE1602 08:30 울산공항 출발
09:25 김포공항 도착 → 공항버스 10:00 김포공항 출발(공항버스 40분 소요)
10:40 인천공항 도착 → 11:00 점심식사(공항 지하 식당) → 달러 환전 → 비디오카메라(김헌남) 세관신고 → 출입국신고서 작성 → 휴대폰 해외로밍 신청(정대장, 한대장) → CA 13:00 인천공항 출발
14:35 타이페이 도착 → CA 16:15 타이페이 출발
제2일 5월 2일(금)
앵커리지 현지시간 09:05 앵커리지 도착 (약 11시간 소요, 한국보다 17시간 늦음) → 미국 입국신고서 작성 → 스키장비는 별도의 전용 수하물 통로가 있다.
통관 시 음식물 종류에 대해 물으면 Dry Food 또는 Processsed Food(가공식품)라고 이야기 한다. → 세관신고서 작성 → 미국 REI 앵커리장비점 장비 구입(리스트 참고) → 동양마트에 들러 식량 구입(리스트 참고)
전용차량 와실라 이동 (약 1시간 소요) → 와실라 맛수리조트 로지호텔 숙박
제3일 5월 3일(토)
전용차량 Windy corner 장비점 장비 구입(리스트 참고) → 한국 마트에서 식량 추가 구입(리스트 참고) → 현지구입 식량 캠프별 분리, 개인장비 재 포장 작업 → 공동장비를 재 분배 할 때 L.P 먼저가는 사람 텐트 → 와실라 맛수리조트 로지호텔 숙박
제4일 5월 4일(일)
탈키트나
조식 후 탈키트나 이동(1시간 50분 소요) → 레인저사무소 입산신고 확인 및 입산교육 → 입산신고(am.09:00~pm.18:00), 여권지참, 입산료납부 → 등반 브리핑 1시간 소요되므로 최소한 17시까지 방문 → 하고 푸른색 쓰레기봉투(필히 수거해서 반납해야 함) → 와 용변용 봉투(운행중 지정 크레바스 투여) 수령 → 표식기 부착용 등반대 고유번호 스티커 수령 → 오후 탈키트나 공동묘지 고상돈, 이일교 선배 참배 → L.P → 경비행기 랜딩포인트 도착(40분 소요) 후 캠프 구축
제5일 5월 5일(월)
예비일 → 기상악화로 랜딩포인트 진입이 어려울 경우 항공사 → 창고에 비박하거나 근처에서 막영을 하며 기다려야 함 → (불필요 장비 항공사 창고 보관, 현금은 직원에게 보관)
제6일 5월 6일(화)
L.P → 고소적응 → Landing Point 캠프 1일간 체류하면서 고소적응
→ 레인저캠프 방문 베이스캠프 카드 제출하고 썰매와 연료 수령하고 하산 시 사용할 장비와 식량 데포 → 텐트 설치 시 출구를 30cm 정도 파내면 사용이 편리함. 취침전 항상 보온수통과 날진수통에 물을 채우고 날진 수통은 뜨거운 물을 넣어 침낭속에 넣고 자면 좋다.
제7일 5월 7일(수)
L.P → East Fork → C1(2,400m / 7시간) 건설, 북동빙하 캠프
(Northeast Fork Camp), 랜딩포인트에서 내리막 내려와서 빙하지대의 완만한 오르막 설사면으로 별다른 이정표나 캠프지가 많지 않다. 운행시간과 고도계로 캠프지를 확인해야 함.LP → C1 이동시 물이 많이 필요하므로 필히 LP에서 물을 2리터씩 준비하고 설사면 이동시 탈수로 인한 수분섭취가 절대 필요하므로 출발시 충분한 물을 섭취한다.
제8일 5월 8일(목)
C1 → C2 (2,900m / 7시간) 건설, 스키힐 캠프(Ski Hill Camp, 카힐티나혼 지역) → C1 → C2 이동시 햇볕이 나면 아주 더우므로 복장을 시원하게 준비하여 운행한다.
C1 → C2 이동시 행동식이나 알파미(누룽지)로 점심을 준비하고 물도 2리터씩 준비.
C1 → C2 이동시 대변을 버리는 크레바스가 있는데 잊지 말고 버리도록 할 것.
C1 → C2 구간은 오르막 경사가 심하므로 썰매가 뒤로 미끌리지 않도록 씰을 부착.
C2에 도착하면 대부분의 대원들이 가벼운 고소증세를 호소한다.
C2 캠프사이트도 운행시간과 고도계(2,900~2,950m)로 캠프지를 확인해야 함.
제9일 5월 9일(금)
C2 ↔ C3 건설(3,300m / 3시간) 후 C2 복귀(고소적응을 위해 최대한 천천히 이동)
C2에는 6인용 텐트를 쳐두고 C3에는 3인용 텐트 2동을 설치한다.
C3는 강풍이 세기 때문에 눈 블록을 높이 쌓고 불필요 장비는 데포
제10일 5월 10일(토)
C2 → C3 이동(3,300m / 3시간), C2의 6인용 텐트를 철수하여 가지고 간다.
제11일 5월 11일(일)
C3 체류 고소적응 및 예비일
제12일 5월 12일(월)
C3 ↔ 모터사이클힐(3,420m, Motor Cycle Hill, 40분) ↔ 윈디 코너(4,115m, Windy Corner / 4시간)
짐 수송 후 C3으로 복귀, 이 구간은 스키 운행이 어렵고 아이젠을 착용해야 하며, 특히 윈디코너 입구 트레버스 구간은 청빙지역과 크레바스가 많아 운행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모터사이클까지 썰매를 배낭에 달고 가면된다.
제13일 5월 13일(화)
C3 → C4 건설 (4,330m, 전진 B.C / 6시간), 맥킨리시티 캠프
(Mckinley City Camp)
C4 도착 후 레인저캠프에 도착 신고 후 CMC 캔(용변통-하이캠프 사용) 수령.
CMC 캔을 사용할 때 반드시 지급 받은 비닐을 반쯤 짤라서 사용해야 뒷처리가 편하고, 맥킨리시티로 돌아와 공용 화장실에 비닐을 버리고 빈통을 물 휴지로 깨끗이 닦아서 레인저캠프에 반환하면 하산시 무게를 들 수 있어 편리하다.
제14일 5월 14일(수)
고소적응 및 휴식일
앞쪽 헤드 월의 깎아지른 설벽, 오른쪽의 웨스트 립과 연결된 웨스트버트레스 리지 뒤쪽으로 레인저 텐트와 메디컬 텐트, 왼쪽의 헌터 봉, 오른쪽 포레이커 봉
제15일 5월 15일(목)
윈디코너(Windy Corner)에 데포해 놓은 짐을 C4로 수송
<맥킨리에서는 텐트밖에서 아주 추운 날씨에는 장갑을 벗고 맨손으로 작업을 하면 바로 동상에 걸린다는 사실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제16일 5월 16일(금)
C4, 고소적응 및 휴식일
고소적응 및 휴식일(메디컬 캠프에 가서 핑거테스트를 받는다. 산소포화도 90이상이면 고소적응이 잘 되었다고 한다. (일기예보용 CB Radio 구입 확인)
제17일 5월 17일(토)
C4 ↔ 헤드월(4,600~4,800m, Head Wall, 5시간) ↔ 엄지바위(Washburn’s Thumb / 7시간) 근처까지 운행해서 짐 데포 후 C4로 복귀
C4에는 6인용 텐트를 설치하고 C5에는 3인용 텐트 2동을 설치한다.
제18일 5월 18일(일)
C4 → 헤드월(5시간) → 엄지바위(Washburn’s Thumb, 2시간) → 웨스트버트레스(West Buttress, 1시간 30분) → C5 건설 (5,240m/8시간 30분) 맥킨리빌리지캠프 (Mckinley Village Camp), 이 구간은 경사가 심하고 약 10피치의 유마링 구간이며, 헤드월(60~70°) 정상에서 C5까지는 약 1km 구간은 리지이므로 운행에 유의해야 함
제19일 5월 19일(월)
C5, 고소적응 및 휴식일
C5 설치 후 하루 자고 고소적응이 안되면 다시 C4로 복귀하는 것이 좋다.
C4 ↔ C5 ↔ 정상 구간은 C5에서 무선 중계를 해야 상호 통신 가능하다.
제20일 5월 20일(화)
C5 → 데날리 패스(5,500m, Denali Pass, 3시간) → 데날리 패스 상단 설사면 (5,600m) → 풋볼필드(6,050m, Football Field) → 맥킨리 정상(6,194m / 6시간)
C5 → 데날리 패스 구간은 아주 가파르며, 그 이후는 청빙 구간이며 풋볼필드에서 정상까지 구간은 칼날 리지이다.
C5 ↔ 정상 구간 왕복은 9시간 이상 소요된다.
정상 공격시는 수통과 보온 물통에 물을 가득 채워서 간다. (07시 기상 09시 출발)
C5(하이캠프) - 정상 운행 요령 (07시 기상-09시 출발)
C5 → 정상(최소한 6시간 이상 소요) → 하이캠프 (약 3시간 소요)
정상 출발전에 미리 물을 끊여서 반드시 보온 커버가 있는 수통과 보온병에 가득 채우고, 식사는 음식이 잘 안 넘어가므로 먹기 좋은 황도나 누룽지 등을 준비하고
또한 간식은 잘 얼지 않는 찰떡초코파이와 식빵, 울트라겔 같은 것을 준비한다.
제20일 5월 20일(화)
하이캠프 → 정상 구간은 기온이 굉장히 낮으므로 특히 손과 발의 보온에 신경을 써야 한다. 운행 중 아취데콘스 타워 → 풋볼 필드 직전 바위옆에서 휴식하면서 간식과 물을 먹는다. 풋볼 필드를 지나 급경사의 설벽을 오르면 나타나는 전위봉은 데날리패스보다 경사가 심하고, 그 지역에서 화이트 아웃이 발생하면 길을 잃기 쉬우므로 반드시 표식기를 설치하면서 등반해야 한다.
전위봉을 지나 멀리 나이프 리지를 지나야 정상에 다다르는데, 나이프리지 오른쪽은 캐신리지이고 왼쪽은 풋볼필드와 연결되는 급경사 설사면이다. 하이캠프에서 정상까지는 최소 6시간 이상 걸리는데 정상에서는 아주 추워서 캠코더나 카메라를 오래 추위에 노출하면 금방 카메라 배터리가 얼어버리므로 자주 우모복 안에 넣어서 보온 을 하면서 촬영해야 한다. 하산 시는 나아프리지와 풋볼필드를 통과할 때 주의한다.
제21일 5월 21일(수)
C5, 악천후 대비 2차 공격을 위한 예비일
제22일 5월 22일(목)
C5, 악천후 대비 2차 공격을 위한 예비일
제23일 5월 23일(금)
C5 ↔ 맥킨리 정상(6,194m) / 2차 정상공격
제24일 5월 24일(토)
C5, 악천후 대비 2차 공격을 위한 예비일
제25일 5월 25일(일)
C5 철수 → C4 이동
제26일 5월 26일(월)
C4 철수 → C3(2시간) → C2 → C1 → Landing Point Camp(10시간 소요)
제27일 5월 27일(화)
Landing Point Camp 철수→탈키트나(Talkeetna) 이동
하산과 함께 레인저 시무실로 가서 하산신고를 하고 경비행기를 요청한다.
항공사로부터 원정대 하산 상황이 와실라산장으로 연락 됨 (항공사 무전으로 연락)
탈키트나 도착 후 레인저 사무실에 하산신고, 탈키트나모텔 1박 투숙
* 알래스카 여행(선택사항 100불/1인/1일), 킹 크랩 구입 시식
제28일 5월 28일(수)
08:00 와실라 이동 (약 1시간 50분 소요) 후 호수산장 파티24:00 → 앵커리지 이동(약 1시간 소요) → 04:15 앵커리지공항 출발(현지시간) → 06:05 타이페이공항 도착(한국시간) → 08:10
타이페이공항 출발 → 11:35 인천공항 도착 → 12:30 인천공항 점심 식사 → 13:30 김포공항 도착(공항버스 40분 소요) → 14:50 김포공항 출발 → 15:45 울산공항 도착
2009 네팔 히말라야 마칼루(8,463m) 원정대
대상지 : 네팔 쿰부히말라야 마칼루(Makalu, 8,463m)
원정기간 : 2009년 3월 19일 ~ 5월 15일
목적 : 히말라야 8천미터급 고산 원정등반
대원 : 원정대장 이상호, 부대장 조창배, 등반대장 김영태
대원 한영준, 윤치원, 이동대, 정수열, 강연룡, 이정훈
등 정 자 : 윤치원, 강연룡
등반일정
3월 18일
23시까지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집결 (출발전 여권 확인)) → 24시 30분 발 인천공항버스 탑승(강연룡, 윤치원 개인별 출발)) → (5시간 30분 소요-실제 4~5시간 소요됨,
버스 요금 편도 39,600원/1인)
3월 19일
울산(00:30) → 인천(06:00), 인천공항에 06시까지 집결 후 아침 식사) → 네팔 출, 입국 카드 작성, 비자신청서 작성 - 윤치원 사진 지참. 5시간 30분 인천공항 버스) → 07시 30분 탑승 수속(이티켓), 세븐써미트 윤인혁실장 미팅) → 인천 출발(09:45) → 카트만두 도착(14:00, 현지시간))
네팔은 한국보다 시차가 3시간 15분 늦음(한국 13시 15분 -> 네팔 10시)) → 비자신청서에 사진을 부착하고 작성한 후 도착 카드와 함께 창구에 제출) → 카트만두 공항 출입국 심사(IMMIGRATION) 맨 왼쪽 라인 Widthout Visa 창구) → 비자 신청비용 : 90일 비자 - 100달러, 30일 비자 - 40달러
3월 20일
카트만두 식량, 장비, 석유 구입, 원정대 짐 수송 방법 결정, 원정화물 확인
3월 22일
리필 산소 18개 인수($300/1통), abc Treck 스노우바 50개 구입) → EPI 가스 100개(380Rs/1EA-약 7,000원/1EA)) → 부탄가스 20개(150Rs/1EA-약 3,100원/1EA)) → 관광성 입산퍼미션(12명) 신청, 등반 브리핑, 홀리 여사 등반 인터뷰, 트레킹 퍼미션(2명) 신청, 정부연락관 배정, 대사관 방문) → 현지고용인 보험가입(정부 연락관, 현지고용인, 로컬포터), 루피화 환전) → 청소비 예치($ 3,000), 현지 고용인 지급장비(현금으로 지급)) → 원정장비 및 식량 재 포장 작업, abc Treck 대행 비용 정산하여 지급) → 버스 또는 경비행기 화물 수송 준비 및 고용인 툼링타르 이동
3월 23일
카트만두(Kathmandu)→툼링타르(Tumlingtar, 410m)
정규노선 비행기(월, 수, 목, 금, 일 운행 - 화, 목은 없음) 정규노선 항공수송 규정 1200kg / 최대 - 1500kg 수송 가능
US$ 1200 X 2 ways = U$ 2400 (화물 전체 중량 파악 후 항공사와 네고)
툼링타르→보테바스(Bhote Bash, 1,730m)/ 포터 선발
중간 마을 간드바리에서 식량과 연료 구입이 가능한다. 공식적인 짚 요금은 없으며, 2008년 가을 기준으로 편도 4,500RS (약 US$60)
2009년은 넉넉하게 짚 한 대당 5,000rd(약 US$66) 예상(현장 네고 필요)
2009년 마칼루 등반팀은 한국팀 포함 4-5팀이 예정되어 있슴
3월 24일
보테바스 → 치칠라(Chichira, 1,980m) → 눔(Num, 1,560m)
3월 25일
눔 → 세두와(Sheduwa, 1,500m) → 타쉬가온(Tashigaon, 2,100m)
3월 26일
예비일(포터 정리 및 일부 교체), 타시가온에서도 식량과 연료 구입 가능
3월 27일
타쉬가온 → 카우마(Kauma, 3,445m)
타시가온에서 카우마까지는 고도 1600m를 올라야 하는 힘든 날이다. 여기부터는 포터들도 힘들기 때문에 1인당 50루피 정도 임금을 더 주어야 한다. 포터 임금은 보통 1일 300루피 선이다.
3월 28일
카우마 → 쉽턴 라(Shipton La, 4,170m) → 뭄북 (Mumbuk, 3,520m)
카우마에서 뭄북까지 가는 중간에 눈 덮힌 쉽튼 라(4216m)를 넘어야 한다.
3월 29일
뭄북 → 사다사(Sadasa, 3,990m)
3월 30일
사다사 → 탕마르 베이스캠프(Tangmar Base Camp, 4,800m)
3월 31일
탕마르 BC 체류 (5,200m 까지 등반 고소적응 후 복귀, 포터정리)
고소포터, 셰르파(40인) : 원정장비 수송(탕마르 BC → High BC)
4월 1일
탕마르 BC→하이 BC(High Base Camp, 5,600m)
4월 2일
등반준비 및 라마제
4월 3일
대원 BC~ABC(6,000m) 짐 수송 후 BC 복귀
세르파 6,050~6,300 구간 고정로프 설치(500m) 후 BC 복귀
4월 4일
전 대원 휴식/세르파 중간캠프(6,400m) 설치
4월 5일
일부 대원 ABC 진출 후 BC 하산/나머지 대원 BC 휴식
세르파 6,400~6,800 구간 고정로프 설치(600m), 6,600m에 C1 구축 후 BC 하산
4월 6일
일부 대원 BC~데포짓캠프(6,400m) 진출 1박 / 일부 대원 ABC 진출 후 BC 복귀
세르파 BC 휴식
4월 7일
중간캠프(6,400m) 대원 BC 하산/나머지 대원 및 세르파 BC 휴식
4월 8일
전 대원 BC 휴식/세르파 BC~C1(6,600m) 진출
4월 9일
전 대원 BC 휴식 / 세르파 6,800~7,200m 구간에 고정로프 설치(800m)
4월 10일
전 대원 BC 휴식 / 세르파 7,200~7,400m 구간에 고정로프 설치(400m)
세르파 C2(7,350m) 구축 짐 데포 후 BC 복귀
4월 11일
1차 등정 대원 BC~C1 진출/세르파 BC 휴식
4월 12일
2차 등정 대원 BC~C1, 1차 등정 대원 C1~C2 진출 / 세르파 BC 휴식
4월 13일
C1 대원 C2 진출, C2 대원 BC 하산/나머지 대원 및 세르파 BC 휴식
4월 14일
C2 대원 BC 복귀/나머지 대원 및 세르파 BC 휴식
4월 15일
전 대원 BC 휴식 / 세르파 BC~C1 진출
4월 16일
1차 등정 대원 BC~C1 진출/세르C1~C2 진출 / 나머지 대원 BC 휴식
이정훈 대원 귀국 예정, 카트만두 출발(14:55) → 인천 도착(23:00)
귀국시 네팔 카트만두 공항세 납부 확인은 귀국시 카트만두 공항의 대한항공 데스크에 e-Ticket 사본 2부, 여권사본 1부를 제출하면 확인증을 발급해 준다.
4월 17일
1차 등정 대원 C1~C2 진출(후원사 깃발 지참)
세르파 C2~7,800m 구간 고정로프 설치(700m) 및 C3(7,800m) 구축
4월 18일
1차 등정 대원 C2~C3 진출/2차 등정 대원 BC~C1 진출
4월 19일
일부 대원 및 세르파 C3~정상 등정(새벽 3시 출발) / 2차 등정 대원 C1 대기
C3~프렌치 꿀와르(2시간), 프렌치 꿀와르~정상능선(2시간 30분)
정상능선~정상(1시간 30분), 오전 9시 경 정상 도착 가능(고정로프 구간 확인)
등정 후 대원 및 세르파 C2(또는 C3) 하산 / 정상~캠프3 하산 2~3시간 소요
4월 20일
1차 등정 대원 및 세르파 전원 BC로 하산 /
2차 등정 대원 C1~C2 진출
4월 21일
2차 등정 대원 C2~C3 진출 /
1차 등정조 BC 휴식
4월 22일
2차 등정 대원 C3~정상 등정(새벽 3시 출발) 후 C2(또는 C3) 하산
4월 23일
2차 등정 대원 전원 BC로 하산 /
1차 등정 대원 및 세르파 C1~C2 철수 등반
C1, C2 철수
4월 24일
캠프 철수 대원 및 세르파 전원 BC로 하산 / 일부 대원 BC 철수 준비
4월 25일
전 대원 및 세르파 BC 휴식 및 철수 준비
4월 26일 ~ 5월 4일
악천후 대비 예비일 및 3차 등정 시도
5월 5일
하이 BC(5,600m) → 탕마르 BC(4,800m) 도보운행
5월 6일
탕마르 BC → 뭄북 (3,520m)
5월 7일
뭄북 → 타쉬가온(2,100m)
5월 8일
타쉬가온 → 보테바스(1,730m)
5월 9일
보테바스 → 툼링타르(410m) 도보운행
5월 10일
툼링타르 → 카트만두 3시간 30분 경비행기(2대) 등반정리
5월 11일
카트만두 원정 마무리 및 정리 (관관성 방문, 청소비 예치금 환불, 대사관 방문) 등반정리
5월 12일
루피화 달러 환전, 고용인 임금 정리, 재반입 장비 목록 정리
5월 13일
카트만두(13:50) -> 방콕(18:25)
방콕시차는 네팔보다 1시간 15분 늦으며, 한국보다는 2시간 늦다
귀국시 네팔 카트만두 공항세 납부 확인은 카트만두 공항의 타이항공 데스크에
e-Ticket 사본 2부, 여권사본 1부를 제출하면 확인증을 발급해 준다.
타이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
5월 14일
태국 파타야 휴식
방콕 공항 ↔ 파타야 호텔 왕복 차량(한국인가이드, 기사 포함)
파타야 호텔(조식 포함) : 2인1실, 귀국시 방콕에서 석식 1회 제공
5월 15일
방콕(02:15 / 현지시간) → 부산(09:25) → 울산(11시경 도착 예정)
울산->김해 공항버스 1시간 10분 소요(10:35분 버스 탑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