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충무병원 3병동 원문보기 글쓴이: 수기 써니
목적 : 흉강내 삼출물, 액체, 공기 등을 제거함으로써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고 흉강내 정상 음압을 형성하여 폐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종류 1) natural drain : chest bottle에 연결하여 삽입부위보다 낮게 둔다. 2) thoracic suction 3) wall suction : PVC line을 바로 suction bottle에 연결함.
준비물 : suture set + betadine ball, Guaze 많이, 3zero blue silk나 black silk chest tube (28, 32Fr) *32Fr는 CV병동에서 빌려서 prep. chest bottle(걸이 :CV병동 차용) Lido cath : 16,18G , PVC line
방법 1) chest bottle을 열어 water seal에 멸균증류수를 표시된 부분까지 깔대기를 이용하여 붓는다. 2) collection bottle의 고무관을 waterseal chamber에 연결한다. 3) 환자쪽의 튜브 끝을 collection bottle에 연결한다.(반대쪽은 자연배액의 경우 멸균거즈로 막음) 4) chest bottle을 배액병걸이에 꽂아 놓는다. ---------------------------------------------------------------------------------------- thoracic suction의경우..!
5) 흡인조절병에 멸균증류수를 water level을 넘지 않도록 채운다. 보통 bubble이 올라오는 높이로 맞춘다.. (order대로:보통 15~20cm) *** 늑막강내에 과도한 흡인압이 걸리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임..! 6) chest bottle과 흡인기를 연결한다. 7) 흡인기를 작동시켜본다. 과도한 공기거품은 증류수를 일찍 증발시킨다.
<간호> 1) 배액병이 쓰러졌을 때 :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하고 환자에게 심호흡을 볓 번 하도록 하여 늑막강내로 들어간 공기를 배출시킨다.
2) 배액중간이 분리되었을 경우 :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근 후 V/S check하고 담당의에게 알린다.
3) 배액튜브가 빠졌을 경우 : 즉시 멸균거즈로 packing하고 sand bag으로 압력을 가한후 V/S check하고 담당의에게 알린다.
4) 흡인기 작동이 잘 안될 경우 : 다시 흡인기능이 될때까지 흡인기와 흉곽 튜브를 분리하여 자연배액을 한다. (늑막강내에 공기축적되어 긴장성 기흉이 될 수 있으므로..)
5) 배액병 교환 : 700~800cc 정도 찼을 때 (인턴) 6) dressing : QOD 7) observation - 호흡부전증상(흉통, 얕은 호흡, 청색증, 의식변화) ++ SaO2 keep - 매 근무조마다 흡인조절명에 증류수를 보충한다. - 간호일지 : 배액색깔, 양상, 양(밤번 간호사가 6A에 bottle에 표시) air leakage유무, 배액방법, 흡인압, 환자반응
------------------------------------------------------------------------------- <튜브의 제거> 배액량이 하루 50~100cc이하일 때 의사에 의해 제거함. -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는 안됨. - X-ray 상 fluid level이 보이지 않고, air leakage가 없어야 함. ------> 숨을 크게 들어마신 후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튜브를 잠그고 재빨리 제거한 후 재빨리 압박드레싱!! (공기 들어가지 않고 감염 안되게 하는것이 poi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