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충무병원 3병동 원문보기 글쓴이: 수기 써니
- 수막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부분으로 3개의 층(경막, 지주막, 연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1) 경막(dura mater) ; 혈관이 많은 외층과 중추신경의 피막인 내층으로 이루어진 2개의 막이며 두개골 손상시 뇌를 보호 2) 지주막(arachnoid) ; 얇은 섬유성 막으로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 경막하강이 있다. 3) 연막(pia mater) ; 연막의 풍부한 혈관 그물은 뇌 속으로 확장되어 맥락총을 만들고 뇌척수액 을 분비한다. 지주막과 연막사이의 공간을 지주막하강이라 하고 이곳에 동 맥, 정맥, 지주막하 소주, 뇌척수액이 있다.
◈ 신경계 장애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Ⅰ.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개인력과 가족력 ; 통증에 대한 내성, 복용 약물, 문화, 생활습관 등 3) 사회 경제 상태 ; 대상자의 직업과 경제적인 지지체계를 파악 4) 현재 병력 ; 알레르기, 통증 내성, 투약, 일상생활활동
(2) 신체사정 ; 신경학적 사정은 대상자를 앉히거나 눕힌 상태에서 실시한다. 1) 의식상태 ; 검사의 목적을 설명하고 지지적인 방식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① 의식수준 ;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 ㉠ 혼돈(confuse), 혼미(stupor), 혼수(coma) 같은 어휘로만 그치지 말고 대상자의 행위, 말, 할 수 없는것등을 기록 ㉡ 중환자실은 24시간 계속해서 업무를 진행하므로 장기간 입원해 있으면 시간에 대한 혼돈 을 일으킬 수 있다. ㉢ CS (Glasgow coma scale) ; 의식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도구.
✦ GCS (glasgow coma scale)
② 통증 자극에 대한 반응 ; 퇴소한의 통증 자극으로 시작하여 통증의 정도를 점차 증가시킨다. ③ 기억력 ; 관련중추(변연계, 측두엽, 전전두영역, 대뇌피질연합) ㉠장기 기억이나 최근 기억, 새로운 기억등에 문제 여부를 확인. ㉡ 장기기억 ; 대뇌반구의 기능 평가. ㉢ 단기기억 ; 측두엽의 기능 평가. ④ 주의력 ㉠ 3가지의 숫자를 따라서 반복하도록 시킨다. ㉡ 교육, 직업, 문화, 흥미, 불안, 우울 등은 정신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⑤ 언어와 모방 ; 지시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이행하는가를 관찰하여 언어 능력을 사정한다. ⑥ 인지(congnition) ㉠ 실인증(agnosia) ; 물체 인식능력의 장애로 시각, 청각, 촉각 등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대 뇌피질의 이상을 안다. (익숙한 소리, 물건을 보도록 하여 인식 여부 확인) ㉡ 실행증(apraxia) ;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게 숙련된 동작으로 실행하지 못한다. (손을 들거나 안전핀을 잠그는 일) ⑦ 추리력, 판단력 ⑧ 사고과정 ; 강박증, 의심이나 우유부단, 비현실감, 망상등의 경험 유무
2) 자세와 보행 ; 직립자세와 보행을 관찰 ① 피질박리 자세 ; 뇌반구나 내포의 병소로 피질척수로가 차단될 때 나타난다.(상지는 과도 굴곡, 하지는 과도신전) ② 제뇌 자세 ; 간뇌의 병소로 인해 뇌량문에서 미측까지 퇴행이 생겨 중뇌와 뇌교 상부에 손상 이 있을 때 나타난다. (상지와 하지가 모두 과도신전)
3) 뇌신경 검사 (위의 표 참조)
4) 감각 기능 검사 ① 통증과 온도 감각 검사 ; 신경말단에서 전달 ② 가벼운 접촉 검사 ; 통증과 온도 감각이 정상이면 가벼운 접촉은 정상 ③ 판별감각 검사 ④ 자극감수성 검사(위치감각과 진동감각 검사) ㉠ 눈을 감은 상태에서 검사 ; 위치감각 검사시 ㉡ 음차를 이용한 검사 ; 진동감각 ⑤ 숫자 확인 검사와 실체감각 검사 ⑥ 비정상 감각 ㉠ 당뇨, 영양실조, 혈관성 질환으로 인한 신경병리 ; 말초신경계 영향을 미침. ㉡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문제 ; 비정상 감각과 관련. ㉢ 뇌간, 시상, 피질의 문제는 신체 반대편의 감각 소실을 초래.
5) 운동 기능 사정. ① 근육의 힘 ; 저항을 가하거나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절범위 운동을 시켜 관절과 사지의 기능을 검사. ② 뇌/뇌간의 통합 ; 두 눈을 감고 두 팔을 몸에 붙이고 손바닥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15~30초 동안 서 있게 한다. ( 뇌, 뇌간으로 인해 근 허약이 나타났다면 약한 쪽 팔이 힘없이 내회전을 하며 툭 떨어진다.) ③ 비정상 운동 ㉠ 말초장애 ; 반대편 운동피질의 손상, 신경병리, 혈관장애, 국소적 손상에 의해 초래. ㉡ 뇌졸중은 신체 반대편의 허약과 마비를 초래.
6) 소뇌 기능사정 ① 조정 ② 보행과 평형
7) 반사 사정 ① 검사 절차 ㉠ 심부건 반사 ; 이두근, 삼두근, 상완요골근, 슬개건, 아킬레스건 반사 ㉡ 표재성 반사 ; 족저반사( 모든 발가락에서 족저반사가 나타나야 정상) ㉢ Babinski 징후 ; 엄지발가락이 배굴되고 다른 발가락이 부채살 모양으로 펴지는 것으로 두 살 이상에선 비정상. ② 비정상적인 반사 ㉠ 과도 반사 ; 상부 운동신경질환, 파상풍, 칼슘 감소 ㉡ 과소 반사 ; 하부 운동신경질환(척수관 손상), 신경근육 접합 부위 질환, 근육질환, 당뇨병, 저칼륨혈증
(3) 진단검사 1) 두개골과 척추의 방사선 촬영 ; 두개골, 부비동, 척추골을 보기 위한 검사. ① 두개골 X-선 촬영 ; 두개골의 골절 유무, 뇌의 석회화, 부비동 염증, 출혈, ② 척추 X-선 촬영 ; 척추결핵, 골연화증, 골다공증, 골절, 탈구, 척추 압박골절 ③ 간호 ; 금속으로 된 물질 제거
2)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m) ① 목적 ㉠ 혈전증, 혈관 경련, 기형, 동맥류 같은 혈관의 구조적 이상. ㉡ 비혈관성 종양, 농양, 혈종으로 발생한 혈관 이상. ② 적응증 ; 두 개내 동맥류, 동맥과 정맥의 기형,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두 개내 종양, 두 개 수술시 수술 전 진단 ③ 시술과정 ㉠ 조영제를 동맥 주사하여 두 개 내외의 혈관을 볼 수 있는 침투적 방법 ㉡ 대퇴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주사. ㉢ 뇌의 동맥과 정맥 순환을 보기 위해 촬여. ④ 간호 ㉠ 조개류나 요오드 알레르기 여부 확인. ㉡ 출혈을 막기 위해 5~10분 동안 압박을 가해 주고 모래주머니, 압박 드레싱, 얼음주머니를 적용. ㉢ 위험요인 ; 혈관경련으로 인한 폐색과 허혈, 경색증, 출혈, 편마비, 언어장애, 카테터 삽입부 위에 hematoma,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의식상실, thrombosis (hematoma로 인해)
3) 디저털 감법 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① 목적 ㉠ 경동맥과 대뇌동맥을 관찰하기 위해 시술. ㉡ 검사하려는 혈관이 뼈에 가려서 보이지 않을 때 유용. ㉢ 혈관 수술이나 종양 수술을 받는 대상자의 수술 전.후 평가에 매우 유용. ② 장점 ㉠ 정맥으로 접근하여 동맥 카테터에 비해 덜 침습적. ㉡ 외래 대상자에게 사용하고 가격이 싸다. ③ 단점 ; 동맥 내 조영술보다 영상이 분명하지 않고 대상자가 부동자세로 있어야 한다. ④ 간호 ; 알레르기 사정하고 2시간 전에 수분을 제외한 음식 섭취 제한하며 방광을 비운다.
4) 척수조영술(Myelogram) ① 목적 ㉠ 요추천자를 통해 지주막하 공간에 조영제를 투여한 후 척추관을 검사하는 방사선 검사. ㉡ 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한 심한 요통, 척수종양, 척추증 같은 척수관의 문제를 진단시. ② 간호 ㉠ 간호중재는 요추천자를 실시하는 경우가 같다. ㉡ 검사 후 6~8시간 정도 Bed rest. ㉢ Meningeal irritation sign (뇌막 자극 증상) 이 있는지 관찰.
5) 컴퓨터 단층촬영 (CT) ; ① 목적 ; 척추나 척수, 두개골, 뇌의 횡단면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는 방법으로 결과는 조직의 밀도가 높은 부분은 흰색, 공기,혈관, 뇌척수액은 검은색, 뇌 조직은 회색으로 나타남 ② 진단 ; 뇌내 병변 / 뇌출혈 / 뇌수종 / 지주막하 출혈 ③ 간호 ㉠ 검사 전 4~6시간 전에 수분을 제외한 음식 제한. ㉡ 두 개내압이 상승된 경우 수액공급을 제한한다. ㉢ 대상자를 편평하게 눕혔을 경우 두 개내압이 상승될 수 있으므로 눕히기 전에 mannitol 를 주사한다.
6)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ET scan) ① 목적 ㉠ 뇌의 기능 특히, 당과 산소대사, 뇌혈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 ㉡ 방사핵을 포도당 성분과 결합시켜 정맥 내로 주입하면 방사핵은 조직내의 포도당 대사 수준을 양전자 형태로 조사하여 칼라 영상으로 나타낸다. ② 단일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SPECT) ; 방사성 핵종을 혈관이나 흡입방법으로 주입하여 관 류의 결합을 확인. ㉠ 일시적 뇌혈류 순환의 결함 ㉡ 뇌혈류 감소 / 증가
7) 자기공명영상 (MRI) ① 목적 ㉠ 비정상적인 퇴행성 질환, 허혈성 부위, 종양, 부종, 수초탈락 을 발견. ㉡ 자석, 수소, 핵, 세포를 정렬시키는 전자판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이용한 검사.
8) 요추천자 ① 목적 ㉠ 뇌척수액 (CSF)의 압력 측정과 채취 ㉡ 방사선 검사를 위한 조영제 투여 ㉢ 국소마취시 마취제 투여와 특정 약물 투여 ② 천자 부위 ; L 4~ L 5 (척수신경이 L2에서 끝나므로 척수 손상의 위험이 없다.) ③ 천자시 자세 ; 측와위로 누워 등을 구부린다. ④ 시술과정 ; 무균적으로 국소마취제를 주사. ⑤ Queckenstedt 검사 ; 양쪽 경정맥을 10초 동안 압박하면 CSF의 개방 압력이 두드러지게 올라 간다 .(400mmHg) ㉠ 주의 ; 두 개내압이 상승된 대상자에겐 위험한 검사이다. ㉡ 간호 - 방광을 비우고 측와위를 유지. - 검사 후 처음 1시간 동안 복부 아래에 베개를 댄 복위를 하게 하여 뇌척수액이 계속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 검사 후 6~24시간 동안 침대에 편평이 눕게 한다. (4~6시간정도 눕힌다 ; 순간적으로 뇌압이 상승) - 두통을 호소하는지 관찰. - 수액공급의 금기가 없다면 수분을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