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치패널은 어느 한 곳이라도 정위치가 안 눌린다면 터치보정을 하시면 됩니다. 만약 터치보정을 하고난 후에도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터치패널이 고장 난겁니다. 이 경우 터치패널을 교체하시는 것이 최선입니다.

CRT나 LCD 등과 조합시켜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누름으로써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 투명스위치에는 적외선을 사용한 광학식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ITO(인듐산화 주석)막을 피복한 투명 도전막의 접점을 사용하는 투명전극식, 스테인리스 강선을 투명 도전성 필름에 묻은 투명 도전성 필름,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식, 패널에 닿은 손끝의 압력을 패널 주변에 배치한 압력센서에 대한 힘의 배분으로부터 위치를 감지하는 것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림은 스테인리스 강선을 묻은 투명 도전성 필름형 터치패널의 구성이다. 스페이서에 의하여 2개의 필름이 닿지 않게 해 놓았다. 투명전극방식은 가격이 싸고 패턴의 자유도가 높고, 소비전력이 작은 특징이 있는 반면, 투과도와 절연 스페이서의 두드러짐, 흠 등의 문제가 있다. 광학식은 적외선 LED와 수광부를 입력면의 앞면에서 빛을 통과하도록 배열하여 손으로 빛을 차단함으로 인한 터치 위치를 읽는다.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고 표시면이 완전 투명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LED의 소비전력이 크고, 외란광(外亂光)과 먼지의 영향을 받는 점이 단점으로 되어있다. 은행의 단말이라든가, OA기기 공업계측 시스템의 조작기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