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어윤대 총장이 교육부의 2008학년도 입시제도 개편방안과 관련해 “고등학교간 학력 격차를 입시에 반영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어총장의 이같은 발언은 새 입시안과 관련해 일부 대학이 본고사 부활 및 고교서열화 필요성을 제기한 가운데 나온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고려대에 따르면 ‘고대 개교 100주년 기념 해외 석탑제’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중인 어총장은 2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어총장은 고교간 학력 격차 인정 발언에 이어 “현재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중이지만 정부가 고교간 격차 반영에 반대하고 있는 만큼 이 문제로 정부와 일부 대학간 이견이 빚어질 가능성이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안대로라면 고대의 경우 수능성적과 학생부 모두 1등급인 학생들만 지원할 가능성이 커 변별력 확보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고려대의 김숭진 입시전문위원은 “2001년부터 고교간 학력 격차 자료를 축적해 고교장 추천 전형 등에 적용해 왔으며 졸업생 학업성취도와 출신 고교와의 연계성에 관한 객관적 평가 근거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인적자원부 김석수 학사지원과장은 인터넷에 올린 반박글에서 “내신은 종합등급이 아니라 학년별·과목별로 제공돼 변별력이 충분하다”며 “부정확한 학교차에 의거해 획일적으로 개인차를 인정하는 것은 자칫 ‘대학 진학 연좌제’ 논란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