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에서 일하는 지인에게 기고 받은 글입니다)
교육원 6주는 해양오염방제요원으로 선발된 화공직렬,환경직렬,해양수산직렬(항해직류, 기관직류) 4개 직류와
선박관제요원으로 선발된 해양수산직렬(선박관제직류), 전산 및 시설직렬 ...같이 입교 하였고.
시설직렬분들은 일찍 졸업하셧고 , 선박관제랑 해양오염은 첫 2주는 같이 공통교육 받았고
나머지 4주는 각자 전문과목 배웠습니다.
졸업후에는 방제는 바로 임용하였고 관제는 6주더 부산해양수산연수원으로
교육 더 받으러 가시더군요.
교육원 생활은 아침에 구보뛰고 , 저녁점호 하고 , 오와열 맞추어서 식당가고 .
일반직 공무원 에게 경찰교육생과 동일한
제식을 요구했었습니다. 교육생의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었던 기억이 납니다.
교육원에서 교육수닫으로 4주 100만원 가량의 수당받았구요.
교육생 신분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니 4대보험 떼지도 않고 , 회사 다니던
사람은 임용전까지만 회사 퇴사 하면 되더군요.
교육원 입교전에 미리 회사 퇴사 안하셔도 됩니다. 임용날짜 정해지시고 퇴사하셔도 될듯요.
교육생들 보니 가장 어린친구가 92년생 이었고 , 나이 가장 많았던 분이
82년생 10살정도 차이 더군요.
대학다니던 도중에 합격해서 온 친구도 있었고 연구소 연구원 이나 대기업, 공기업 출신
까지 나이 인적구성과 경력은 다양했습니다.
연고지는 보니 화공,환경직렬은 대다수 경기도 출신이나 그쪽 대학 졸업자 였고
해양수산직렬은 경남 . 전남 출신이나 경남, 전남소재의 해양수산계 대학 출신 자였습니다.
해양수산직렬도 금방 대학졸업 해서 해기사 면허만 가진 친구부터 해군장교
나 상선 1항기사 출신까지 다양했습니다.
교육원에서 중간고사 , 기말고사 필기 시험도 치고 실습시험, 조별발표 같은 각종 평가가 있었고
졸업 한주 전 1지망 부터 4지망까지 희망지 써서 제출하였습니다.
1지망에서 성적순으로 석차 매겨서 발령하였구요.
졸업때 발령 사항 보니 . 전국 5개 지방해양경비안전본부 해양오염방제과
,17개 해양경비안전서 의 해양오염방제과
그리고 해양경비안전연구센터로 발령되었습니다.
신임방제요원을 지방본부와 연구센터 발령 시킨경우는 올해가 처음이라고 이야기 들었습니다.
신임을 발령시키지는 않지만, 근무중에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해양오염방제국(인천) ,
해양경비안전교육원(여수-교수요원),
중앙해양특수구조단(동해, 서해 지역특구대 포함) 긴급방제팀 으로도 발령가능하고,,
중특단 긴급방제팀의 경우는 3교대하고 헬기레펠과 잠수
훈련 받습니다.
일선 발령 받고 보니 .
환경 직렬, 화공직결,해수직렬은 업무 구분 없구요. 발령지 상황에 따라
업무 받고 필요에 따라 하던 업무 새로 지정받고 그렇습니다.
크게
보면 방제계, 기동방제계, 예방지도계, 분석계 구요... 연구센터는 R&D 업무한다고 하구요..
분석계는 지방본부에만 있고. 기동방제계는 부산
이나 여수같은 사고 다발 지역에만 있으니 일선서에 가면 크게 방제계, 예방지도계 입니다.
세부 하는 일은 법제처 가셔서 법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하루생활은
9~6시가 정규 근무시간이지만 .
보통 7시에 출근해서 저녁 8시나 9시에 퇴근하는 편입니다.
사무실 와서 담당 업무하면서 각종 서류 업무 하고 , 담당업무에 따라 사무실 보다는
밖에 나가서 일할때도 많구요. 예방지도계 같은 맨날 출
장 가야되는구요...
신고오면 출동, 사고나면 출동, 새벽에도 사고나 신고 들어오면 출동, 한달에 당직 3번 정도 있고,
태풍이나 큰사고시 비상근무 해야됩니다.
군대의 군인은 아니지만 군무원과 비슷한 생활 이라고 생가되네요.
비상대기 도 있고 상황대기도 있고 있고 그렇습니다. 비상응소나 비상소집 훈련 같은거 할때고 있고.
그리고 한달에 1번씩은 방제관련 훈련
있습니다.
경찰직과 같은 건물에서 근무 하다보니, 다른 국가직 공무원과 분위기는 다른듯합니다.
월급은
9급 1호봉이 122만원 이니 여기에 초과근무수당 67시간 해서 50만원 받고 ,
각종기타수당 30~40만원 해서 230만원에서 각종세금 떼고 하면
받는 돈 세금은 30~40정도 떼면 받는 돈입니다.. 초과근무는 최대 57시간 까지만 할수 있구요
9급은 시간당 7700원 정도 구요. 일정이상 초
과근무하면 10시간 더 가산되니.
최대 67시간 51만원 정도 받을수있습니다. 호봉의 경우 1호봉부터지만 경력직 채용이기에 유사경력이나
군경력 호봉에 넣어줍니다.
그러다 보니 동기들끼리 호봉이 다릅니다. 9급 1호봉부터 직장생활 오래한 분의 경우 9급 9호봉까지 있으니..
1호봉에 8만원 정도 차이이니.
1호봉과 9호봉간의 월급 차이는 70만원 가량 되겠네요.
같은 9급의 일반직 공무원(군무원포함) 중에서 가장많은 월급을 주는 곳이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여기에 배를 타든지 , 매일 교대근무를 하는 현업직 공무원 을 제외해서 말입니다.
비현업직 공무원 중에서 젤 월급 많을듯 합니다.
생각보다많이 바쁜 생활이구요.경찰직은 특정직이니
비교대상이 아니고
다른 국가기관 일반직과 비교하면 격무라고 생각됩니다.
발령지가 연구센터 부터 특수구조단 까지 다양하니 어떻게 보면 다양한
일을 경험할수있는 곳이라는 생각이드네요.
안맞는 사람 되게안 맞는듯 합니다.
교육원에서 3명정도 그만두고 , 임용이후에는 5명 정도 그만둔듯 합니다.
자기 한테 안맞는거 같아 그만둔 분도 있고 , 다른곳에 공무원 합격이나
공기업에 입사 그만둔 분도 있습니다.
그리고 해양수산직도 전부 사무실 근무중인데요.
처음에는 방제정 가지 않나라고 생각하시던데.
현재 방제정 발령 받으신분 없구요.
방제정에는 과거 기능직 ,지금은 운영관리직군 공무원이 승선하고 계신데
얼마전 기술직군 해양수산직렬로 전직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 해양수산직렬중에서 방제정 승선하시는 경우도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그게 언제가 될지는 몰겟습니다. 현재는 발령갈일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법체처 가셔서 해양환경관리법, 국민안전처 관련법, 공무원
임용관련 법 들 읽어보시면 이해가 빠르실듯 합니다.
해경의 일반직을보니
해양오염방제국의 해양오염방제요원(해양환경감시원)들이 젤 규묘가 크구요.
해양장비기술국 소속의 vts 요원들이 그 두번째고
그다음이 각종 시설직렬분들, 과거 기능직으로 들어오신분들이 보이네요.
정비창의 경우는 아예 일반직을 따로 선발하고, 들어와서 보니 생각보다 일반직 많네요.
------------------------------------
해양오염방제과 사무실에 가면
보건직렬,환경직렬,공업직렬(화공),해양수산직렬(항해),해양수산직렬(기관) 5개 직류들이 전공구분없이
다같이 고생하고 서로 도와주며 일하고 있습니다.
정리 :
항해 기관 화공 환경 은 사무실에서 같이 일한다. 국가해양오염방제요원 및 해양환경감시원 이 된다.
인사혁신처 to받을때 선박티오로 인원 받지만 현실적으로 승선할 선박이 없습니다. 거의 100프로 사무실에서 방제요원 및 감시원으로 근무 합니다.
방제정이 있지만 방제정은 방제국소속이 아니라 일선해경서 꺼 입니다. 10명의 정원중 8명은 경찰관 2명은 과거 해경서에서 기능직으로 뽑은 분 2명 근무합니다. 물론 현재는 일반직으로 통합했지만 방제정 일반직 분들은 엄연히 방제국 소속도 아닙니다.
기능직 분들 퇴직 해도 그자리에 방제요원이 갈지는 미지수 입니다.
2017년에 hns방제정을 건조하는데
거기에는 일반직이 운용하는걸로 할거 라는데 나와봐야 알거 같습니다.
사무실 생활 피곤하니 선박직들 배타고 싶다는분 꽤 됩니다. ㅋ 서로 배타려 하시니 앞으로도 배탈일 드물듯 합니다....개중에는 차라리 특구대 가서 레펠이나 잠수 하련다 하시는분도 계시고 ㅋ 특구대 가신 상당수도 선박직 많습니다 ㅋ ㅋ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